•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강화·옹진 생활권

Dalam dokumen 시 보 선 (Halaman 123-130)

변 경

5) 강화·옹진 생활권

섬 평화관광 테마를 활용한 차별화 된 섬 관광 프로그램 개발

· 강화 및 옹진지역은 역사자원, 문화자원, 관광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DMZ 내륙 평화 관광 테마, 백령도 및 서해5도 해양평화관광 브랜드 구축 등 다양한 관광프로그램 발 굴 및 홍보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통합 플랫폼 조성

· 관광객과 주민이 함께 이용하는 생활문화 인프라 확충으로 생활밀착형 문화예술 여건을 조성하고, 소외계층을 위한 다양한 문화예술 교육 및 나눔사업 지원

· 접근성・편의성을 고려하여 근린생활권 문화・체육시설의 적정규모 분산 배치 유도

도서지역 특성에 맞춘 경제 활성화

· 섬 특화 관광프로그램 및 브랜드 구축을 위하여, 관광과 산업이 결합된 섬지역 특화 산업을 육성하고, 주변 도시와 연계해 MICE산업 거점 연계・조성

· 관광과 농업의 유통 및 판매를 연계・활용한 6차 산업 육성

그림 강화·옹진재생권 기본구상

자료 : 저자작성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지정 가.

지정절차 및 기준

총 8단계의 활성화지역 도출과정을 거처 총 44개소 지역 선정

- 1단계 쇠퇴도 검토 : 읍면동 집계구 자료기준, 활성화지역 법적 지정기준을 만족하는 지역 추출

- 2단계 수요조사 : Bottom-Up 방식으로, 활성화계획 수립 예정지역에 대한 사전 수요조사 실시

- 3단계 인천원도심균형발전계획 기본구상 반영 : Top-Down 방식으로, 생활 권 별 특화거점지역(도시경제기반형, 중심시가지형) 발굴. 빈집밀집지역/정비 해제구역 등을 고려한 노후환경개선이 필요한 지역(근린재생형) 발굴

- 4단계 군·구 협의 : 3단계에 걸쳐 나온 도시재생활성화지역(전체 Pool)에 대한 각 지자체 별 의견수렴

- 5단계 현장조사 : 현장조사를 통한 대상지 검토

- 6단계 추가지역 검토 : 더불어마을 사업구역 등 연계사업 검토

- 7단계 활성화지역 지정 : 관계기관협의를 통한 활성화지역 총 44개소 선정 - 8단계 우선순위 선정 : 전문가 평가 등 의견수렴을 통한 우선순위 결정 * 우선순위선정은 총 5단계를 거쳐 시행(보고서 참조)

<도시재생활성화지역 도출과정>

그림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지정(44개소)

표 활성화지역 총괄표

번호 유형 군·구 활성화지역(명) 규모(㎡) 비고

A1 도시경제 기반형

중구 인천개항창조도시

3,900,000 구역변경 [2016 도시재생]

약 3,400,000

A2 미추홀구 인천기계일반산업단지 일원 약 630,000 신규 B1

근린재생형 중심시가지

중구 연안부두어시장 약 699,000

약 366,000 구역변경

B2 동구 동인천 1구역 일원 약 80,000 신규

B3 미추홀구 용현 Triple C 약 270,000 변경없음

B4 제물포역 일원 약 245,000 신규

B5 부평구

인천을 선도하는 지속가능

부평11번가 약 230,000 변경없음 [2017 도시재생뉴딜]

B6 동암역 일원 약 190,000 신규

B7

서구

가좌·십정 스마트재생 약 210,000

구역·명칭 변경 문화산업 거점 약 540,000

B8 50년을 돌아온, 사람의 길 약 290,000 신규

[2018 도시재생뉴딜]

C1

근린재생형 일반형

중구 (1개소)

신흥동 일원 약 621,000 구역·명칭 변경 [2018 도시재생뉴딜]

신흥동 공감마을 약 89,000

C2

동구 (3개소)

패밀리-컬처노믹스타운,

송림골 약 160,000 변경없음

[2017 도시재생뉴딜]

C3 창영초교 일원 약 150,000 신규

C4 쭈꾸미마을 일원 약 80,000 신규

C5

미추홀구 (4개소)

보행친화마을 잇플레이스 약 140,000

구역변경

약 190,000

C6 다시날자! 비룡공감 2080 약 170,000 변경없음

[2019 도시재생뉴딜]

C7 장사래마을 약 57,000 변경없음

C8 수봉마을 약 22,000 신규

[2019 도시재생뉴딜]

C9

연수구 (3개소)

함박마을 약 230,000 변경없음

C10 송도역전시장 일원 약 170,000 신규

C11 안골마을 약 110,000 변경없음

[2019 도시재생뉴딜]

C12

남동구 (8개소)

주민이 만드는 살고싶은

남촌동 약 220,000 변경없음

C13 만부구역 주변 약 235,000

구역·명칭 변경 만부마을 주변 약 170,000

C14

근린재생 일반형

남동구 (8개소)

만수3지구 약 130,000 신규

C15 간석3동 일원 약 110,000 신규

C16 용천 양계마을 약 110,000 신규

C17 간석2구역 약 85,000 신규

C18 삼희아파트 해제지역

일원 약 69,000 신규

C19 동부초교 주변 약 59,000 신규

C20

부평구 (4개소)

부평아울렛 주변 약 170,000 변경없음

C21 백운1 해제지역 일원 약 120,000 신규

C22 부개삼이마을 약 110,000 신규

C23 일신시장 일원 약 92,000 신규

C24

계양구 (2개소)

효성지구 약 170,000 신규

C25 효성마을 약 110,000 신규

[2018 도시재생뉴딜]

C26

서구 (5개소)

가좌1동 저층주거지

도시재생사업 약 150,000 신규

C27 석남5·6 해제지역 일원 약 120,000 신규

C28 상생마을 약 100,000 변경없음

[2017 도시재생뉴딜]

C29 석남2·3 해제지역 일원 약 98,000 신규

C30 가재울마을 주변

약 100,000

구역변경 약 90,000

C31

강화군 (4개소)

강화군청 주변

약 1,010,000

구역변경 [2016 도시재생]

약 950,000

C32 동문안마을 약 130,000 신규

C33 남산마을 약 91,000 신규

[2018 도시재생뉴딜]

C34 교동대룡시장 주변 약 78,000 변경없음

※ 활성화지역에 대한 세부 계획내용은 보고서 참조

성과관리 및 재원조달 방안, 신규제도 대응방안 등 가. 성과관리방안

나. 재원조달방안

다. 신규제도 대응방안

인천광역시종합건설본부공고 제2019–491호

행정대집행 계고서(1차) 공시송달 공고

인천광역시 도시계획시설 인가고시 제2019-147(2019.07.01)호로 고시된

『인천가족공원(3-1단계) 조성사업』구간에 편입되는 분묘에 대하여 연고자의

주소·거소, 그 밖의 송달장소 불명 등으로 행정대집행 계고서(1차) 송달이

불가능한 연고자에 대하여「행정절차법」제14조 제4항의 규정에 따라 아래와

같이 공시송달 공고합니다.

Dalam dokumen 시 보 선 (Halaman 123-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