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 경
5. 관계도서: 열람 장소에 놓음(생략). 끝
- 사람과 문화, 산업이 공존하는 활력있는 인천만들기 -
2030년 인천도시재생전략계획
�
계획의 배경 및 목적
도시개발에서 삶의 질 개선을 위한 도시재생으로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으나, 원도심의 쇠퇴가 가속화되는 등 신도시 및 원도심의 지역 간 불균형이 심각해짐 이에, 우리시는 ‘인천원도심균형발전계획’을 수립 완료하였으며, 이와 연계한
실천적 계획으로 ‘2030년 도시재생전략계획’을 수립하여, 새로운 도시재생 사업 여건 변화를 반영
�
계획의 개요
가. 시간적 범위
기준년도 : 2019년 목표연도 : 2020~2030년 나. 공간적 범위
인천광역시 원도심지역 921.74㎢(전체 1,063㎢ 중 신규 도시지역 141.26㎢ 제외)
�
추진경위
2018. 06월:「인천원도심균형발전계획」(2025년 인천도시재생전략계획(변경).
2030년 인천도시재생전략계획 포함) 용역체결 2018. 09월: 군·구 활성화지역 수요조사
2018. 11월: 군·구 재생담당자 간담회
2019. 01월: 시민공청회(2025년 인천도시재생전략계획(변경) 2019. 01월: 인천광역시의회 의견청취
2019. 02월: 도시재생위원회 심의
2019. 03월: 「2025년 인천도시재생전략계획(변경)」확정 공고 2019. 04월~05월: 군·구 활성화지역 수요조사
2019. 08월: 도시재생활성화지역(안) 사전협의 2019. 10월: 주민공청회 개최
2019. 11월: 인천광역시의회 의견청취 2019. 12월: 인천도시재생위원회 심의
2019. 12월: 「2030년 인천도시재생전략계획」확정 공고(예정)
�
도시재생 비전, 기본방향, 추진전략
가. 비전
사람과 문화, 산업이 공존하는 활력있는 인천 만들기
나. 기본방향
인천다움을 강화하기 위한 역사·문화·환경 재생(문화재생) → 단절되어 있던 개별자원 및 자원 간 연계를 통한 장소마케팅
4차 산업시대 스마트재생을 위한 산업공간 재생(경제활력) → 저·미이용 시설공간을 활용한 혁신거점 조성 및 연계
지속가능하고 어디서나 살기 좋은 주거지 재생(사람중심의 주거지활력) → 노후주거 재생 유관산업 체계적 관리를 통한 단계적 주거지 재생
다. 추진전략
�
도시재생권역 설정
가. 권역설정 기준 및 기본방향
도시의 최상위계획인 「2030 인천도시기본계획」의 생활권 구분을 동일하게 적용하여 인천시 도시계획 방향과 상호 연계
재생권역은 법적으로 도시지역에 한정토록 되어 있어 2030 인천도시기본계획의 5개 생활권(중부, 남부, 동북, 서북, 강화·옹진)의 정책방향에 부합하도록 설정 5개의 생활권은(중부, 남부, 동북, 서북, 강화·옹진생활권) 지역의 자원과 잠
재력을 고려하여 특성있게 제시하고, 기초생활인프라 공급을 통한 안정적 주거지 재생방향 제시
- 중부 재생권역 : 중구, 동구, 미추홀구 - 남부 재생권역 : 연수구, 남동구
- 동북 재생권역 : 부평구, 계양구 - 서북 재생권역 : 서구
- 강화・옹진 재생권역 : 강화군, 옹진군
그림 공간적 범위
자료 : 인천시, 주민들록인구(2018.12)/인천시(2018). 통계연보
나. 재생축 설정
4가지 재생축을 제시하고 활성화 방향 제시
역사·문화축 : 역사문화자우너과 관광서비스산업을 연계한 지역활성화 경제·산업축 : 경제·산업 거점 네트워크를 통한 창업-경제 생태계 조성
균형발전축 : 신도시로 치우진 개발과 원도심 쇠퇴에 대응하는 균형발전 축 조성 생태녹지축 : 생활환경 개선 및 관광활성화를 위한 인천을 관통하는 녹지축 조성
그림 도시재생 기본구상 종합(안)
Dalam dokumen
시 보 선
(Halaman 113-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