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인천광역시 유치 주요 국제기구

Dalam dokumen 2 0 1 8 - 환경백서 (Halaman 78-85)

연번 기 구 명 설립일 위 치 인원

(명) 기구 성격

관리 부서

1

UNESCAP(아태경제사회위원회) 동북아지역사무소

(UN Economic and Social Commission for Asia and the Pacific Subregional Office for East and North-East Asia)

2010.

5.17.

미추홀 타워 17층

15 유엔 기구

국제 협력 담당관 2

NEASPEC(동북아 환경협력프로그램) 사무국 병설운영 (North-East Asian Subregional Programme for Environmental Cooperation)

국제 기구

3

UN ISDR (유엔 재해경감 국제전략) 동북아사무소 및 국제방재연수원

(UN International Strategy for Disaster Reduction Northeast Asia Office & Global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e)

2009.

8.11.

미추홀 타워 18층

13 유엔 기구

재난 안전 본부

4 EAAFP(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 파트너쉽) 사무국 (East Asian-Australasian Flyway Partnership)

2009.

7. 1.

송도

G-타워 7 국제 기구

환경 정책과

5 UNOSD(UN지속가능발전센터)

(UN Offic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2012.

6.8.

연세대 송도 캠퍼스

6 유엔 기구

환경 정책과

6 GCF(녹색기후기금) 본부 (Green Climate Fund)

2012.

10.20.

송도

G-타워 104 국제 기구

녹색 기후과

가. UN ESCAP(아 · 태 경제사회이사회) 동북아지역사무소

◦ 설립의의

- 유엔총회 결의(2008. 12. 24, 총회의결 63/260)

․ UNESCAP 내 3개 지역사무소 신설 : 동북아, 중앙아시아, 서남아시아

◦ 설립경과

- 2008. 3. : NEASPEC 몽골회의 시 ESCAP 지역사무소 신설동향 인지 - 2008. 9. : ESCAP 사무총장 인천 방문 시 유치의사 표명

- 2008. 12. : ESCAP 사무총장 서울 방문 시 유치의사 재 전달

- 2008. 12. : 제63차 유엔총회에서 3개의 ESCAP 지역사무소 설립 안 승인 - 2009. 2. : 외교부, ESCAP 지역사무소 유치의사 표명

- 2009. 3. : ESCAP 지역사무소 유치 제안서 ESCAP측에 제출 - 2009. 6. : ESCAP 실사단 방한

- 2009. 8. : ESCAP 동북아지역사무소 인천설립 최종 확정

- 2010. 4. : ESCAP 동북아지역사무소 설립관련 LOI 교환(외통부↔ESCAP) - 2010. 5. : 사무소 개소(5. 17.)

◦ 설립개요

- 장 소 : 송도 미추홀빌딩 17층(1,806㎡)

- 대상국가 : 동북아 6개국(남·북한, 일본, 몽골, 중국, 러시아) - 주요기능

․ 지속가능한 개발(녹색성장, 에너지 효율성) ․ 정보통신기술 및 재난위험저감·재난위험관리

․ 인프라, 무역증진 및 교통발전을 통한 상호 연결성 강화 ․ 식량안보, 가난퇴치 등

나. NEASPEC (동북아환경협력프로그램) 사무국

◦ 설립연혁

- 1992년 UNCED(유엔환경개발회의) 브라질 리오선언 이후 동북아 지역차원의 생태보전과 환경협력을 추구하기 위해 대한민국의 주도로 1993년 설립된 동북아 6개국 정부간 환경협력기구

- 1992년 이후 UN ESCAP에서 임시사무국 역할 수행(태국 방콕)

◦ 추진경과

- 2009. 9. : ESCAP동북아지역사무소 인천설립과 연계 유치추진 ․ ESCAP 사무국 기능에 NEASPEC 기능 포괄전략 구사 - 2009. 12. : NEASPEC 사무소 유치관련 외통부 실무자 면담

․ NEASPEC 업무를 ESCAP동북아사무소와 연계 운영하는 방안 강구 (NEASPEC 사무국을 방콕에서 인천으로 이전)

- 2010. 1. : NEASPEC 유치관련 실무협의(인천광역시, 외통부, 환경부) - 2010. 3. : 제15차 NEASPEC 고위급회의 참석(일본 동경)

․ NEASPEC 사무기능이 인천에서 수행되도록 합의안 채택 - 2010. 5. : 제66차 ESCAP총회 시 ESCAP SRO에서 병설운영 확정

․ NEASPEC 사무국 인천이전 운영개시(태국 방콕 ⇒ 인천 송도)

◦ 주요사업

- NEASPEC은 동북아 6개국간 포괄적 정부간 환경협력 메커니즘으로 환경·개발 정책 논의 및 구체 협력사업을 추진

- 에너지 및 대기오염 저감사업, 동북아 자연보존사업, 조림사업, 생태효율성 증진사업, 생태계 관리사업, 멸종위기 철새보호 등

다. UNISDR (유엔재해경감국제전략) 동북아사무소 및 국제방재연수원

◦ 설립개요

- 개 소 일 : 2009. 8. 11.

- 인 원 : 13명 (UN 직원 9명, 방재청 2명, 인천광역시 2명) - [UNISDR 인천동북아사무소] 주요기능

․ 태풍, 황사, 지진, 가뭄 등 재해공동 예측 및 대응

․ 동북아 공통의 재해요소 경감을 위한 예보·관측 기술공유 ․ 동북아 6개 국가 재해기술 협력관계 구축

․ 재해관련 동북아시아 방재프로그램 지원

․ UN 주도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상호협력체계 구축 등 - [UNISDR 방재연수원] 주요기능

․ 전 세계 대상 교육훈련 및 방재전문가 양성 ․ 재해경감 기술축적 및 공유, 네트워킹 구축 ․ 타 교육기관과 차별화된 방재교육 훈련 운영

◦ 추진경과

- 2006. 12. : UNISDR에서 방재교육·연구센터 한국설립을 제안 - 2007. 1. : UNISDR 사무국장(Salvano Briceno) 면담(2회) - 2007. 8. : 인천광역시, 국제기구 인천유치 제안서 제출 - 2008. 3. : MOU 체결(제네바 유엔본부)

- 2008. 7. 1. ~ 2009. 6.30. : 기구설립 관련 타당성조사 실시

- 2008. 11. : 기구설립을 위한 공식서한 전달(UNISDR→외통부, 방재청) - 2009. 8. : UNISDR 동북아사무소 개소

◦ 기대효과

- 재난문제해결 및 협력강화에 있어 인천광역시 위상 강화 - 동북아시아 지역의 대규모 재난발생시 지원창구 역할기대 - UN을 중심으로 한 선진방재기술 및 선진방재기법 도입

라. EAAF(동아시아〜대양주 철새 이동경로) 파트너십 사무국

◦ 목 적

- 동아시아~대양주 이동경로(East Asian-Australasian Flyway)상의 철새 및 서식지 보전을 위한 협력 촉진

- 파트너십 활성화로 EAAF 이동경로상의 물새류, 서식지 보전을 위한 국가간 협력방안 및 적극적인 관리방안 논의

- EAAF 이동경로상의 서식지 사이트 지정에 따른 각 국가 및 지역 간의 네트워크 활성화

◦ 파트너 및 서식지(사이트)네트워크 현황

- 파트너 : 총 24개(12개국 정부, 3개 국제기구, 9개 국제민간단체)

(의장 : 대한민국 환경부 자연자원국장, 부의장 : 일본 환경성 야생생물과장) - 네트워크 사이트 : 총135개

◦ 추진경과

- 2006. 11. : MWCC(1996~2005)가 해산되고 EAAF 파트너쉽 공식출범 - 2008. 11.28. : 사무국 유치제안서를 의장국(호주)에 제출

- 2008. 12.24. : 인천을 사무국 유치도시로 최종 확정·통보 - 2009. 11. 2. : 사무국장 입국 및 업무개시

- 2010. 2. 14. : 사무국 개소식 및 제4차 EAAF 파트너십 총회 개최

◦ 사무국의 권한과 역할

- 파트너십 정보관리 및 교육·홍보

- Data Base 구축, 철새보호 Network 관리

- 이동경로상 중요한 지역(Flyway Site) 인증, 교육, 홍보, 후원 등 - 프로젝트 연구·개발 및 재원조달

- 철새와 그 서식지에 대한 연구·모니터링

- 파트너십 목적달성을 위한 다양한 프로젝트 연구·개발과 이행 - 연구활동 및 행정지원 등

마. UNOSD (UN 지속가능발전센터)

◦ 설립배경

- 개발도상국의 지속가능발전전략 수립·이행 지원 등을 위해 UN DESA(경제사회국) 소속 센터 설립을 한국에 요청(2007. 9.)

- 인천광역시 환경부에 제안서 제출로 유치(2009. 4.)

◦ 현 황

- 소 속 : UN DESA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 위 치 : 연수구 송도동 5.7공구 경제자유구역 연세대학교 내 - 규 모 : 연세대국제캠퍼스 인문과 2층 364.5㎡

◦ 주요 기능

- 국가 지속가능발전전략 수립·지원을 위한 협력 - 국가들의 지속가능발전지표 개발·적용

- 그룹·개인 학습용 교육자료 개발 및 교육 실시 - 도서관, 온라인교육, Web-Site 활용정보 제공·공유

◦ 추진경과

- 2009. 4. : 정부(환경부) 제안에 대한 인천광역시 유치의견 통보 - 2009. 4. : 연세대 참여의사 통보

- 2009.12. : 유엔지속가능발전센터 설립 양해각서 체결(환경부, 인천광역시, 연세대) - 2010.12. 8. : 사무소 설치 협정 체결(UN, 대한민국 정부)

- 2010.12. 1. : 유엔지속가능발전센터 설치운영에 관한 협약 체결 (환경부, 인천광역시, 연세대)

- 2012. 6. 8. : 사무소 개소

◦ 기대효과

- 대한민국 녹색성장 전략 및 정책을 전파하는 교두보로 활용

- 단기적으로는 경기침체에 대응하고, 중·장기적으로 녹색일자리 창출 및 국가 발전의 성장 동력 확보가능

- 유엔센터 유치를 통해 정책적·외교적·경제적 효과 기대 - 국가들의 녹색성장전략 수립·이행의 구심체 역할 수행 - ODA 확대를 통한 대외이미지 및 국가신인도 제고 - 장기적으로 우리 기업의 해외 환경산업 진출 기회 확대

바. 녹색기후기금(GCF, Green Climate Fund) 본부

◦ 설립배경 : 기후변화 가속화, 피해 확산

- 온실가스 증가로 인한 지구 평균기온과 해수면 상승 가속화 - 태풍, 폭우, 폭설, 가뭄, 산불, 사막화 등 자연재해 발생 빈번 - 생태계 파괴, 식량과 식수 부족, 각종 질병 발생 등 문제에 직면

◦ 설립목적 : 기후변화 대응

- 저탄소·기후 회복력 있는 지속가능한 발전경로로 패러다임을 전환하기 위해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적응과 온실가스 감축을 지원하기 위함

◦ 설립근거 : UNFCCC(유엔기후변화협약)의 제3조 1항

- 기후변화에 대한 “공통의 그러나 차별화된 책임”으로 선진국이 개발도상 국의 기후변화 대응 재정지원

◦ 설립개요

- 개 소 일 : 2013. 12. 4.

- 장 소 : 인천 송도 G-Tower 9〜12층

- 지원사업 :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적응과 온실가스 감축(50:50)

◦ 설립경과 : UNFCCC COP(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에서 기금 설립 주도 - 2009. 12. : 기금 설립 논의 시작(COP15)

- 2010. 12. : 기금 설립 합의(COP16) - 2011. 12. : 기금 설계방안 채택(COP17)

- 2012. 2. 22. : GCF 유치도시로 지명(기획재정부⟶인천광역시, 서울시) - 2012. 3. 5. : GCF 유치 후보도시 신청서 제출(인천광역시⟶기획재정부) - 2012. 3. 13. : 국내 유치도시로 인천광역시 확정(기획재정부 유치도시선정위원회)

- 2012. 4. 15. : GCF 정부 유치신청서 제출(GCF 임시 사무국)

※ 신청국가(6개국) : 대한민국, 독일, 스위스, 멕시코, 폴란드, 나미비아 - 2012. 8.23. ~ 8.25. : GCF 사무국 유치국가 선정절차 협의-멀티플 라운딩 방식 (GCF 제1차 이사회, 스위스 제네바)

- 2012. 9.16. ~ 9.18. : 평가결과 우리나라, 독일, 스위스가 평가기준 충족 (GCF 사무국 유치 평가위원회, 미국 워싱턴) - 2012.10.18. ~10.20. : GCF 사무국 대한민국 인천 송도로 확정 (GCF 제2차 이사회, 대한민국 인천)

- 2012.11.12. ~ 12. 7. : GCF 사무국 대한민국 인천(송도)로 최종 인준 (제18차 UN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카타르 도하) - 2013.12. 4. : GCF 사무국 출범

◦ 기대효과

- 녹색금융, 서비스산업, 기후변화 관련 기관 및 전문가 역량 강화 - 국제기구 및 국제행사(회의) 유치로 인천의 도시브랜드 가치 상승 - GCF 후속사업 추진으로 고용 창출 및 경제 활성화

◦ 「환경정책기본법」제14조의3【시·도 환경보전계획의 수립 등】

☞ 시·도지사는 국가환경종합계획 및 중기계획에 따라 관할구역의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당해 시·도의 환경보전계획 수립·시행

제2장 환경정책 기능과 환경관리 기반 강화

제2부 환경관리 기반조성

제1절 인천광역시 환경보전종합계획

Dalam dokumen 2 0 1 8 - 환경백서 (Halaman 78-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