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환경행정조직

Dalam dokumen 2 0 1 8 - 환경백서 (Halaman 50-55)

가. 환경관리 조직

환경관리업무를 담당하는 조직은 1949년 8월 15일 경기도 인천부에서 인천시로 승격되고 1960년 10월 보건과 위생계가 설치되어 보건분야의 업무를 취급하는 계단 위로 운영되다 1970년 4월 보사국 위생과 공해방지계로, 1987년 3월에야 비로서 공해방지계를 청소과와 통합한 환경관리과(환경관리계, 환경지도계, 청소계)로 기능 이 보강되면서 실질적인 환경관리업무를 전담하게 되었다. 1989년 9월 환경관리과의 청소업무가 분리되면서 환경보호과로 개편되었고 1991년 7월에는 보건사회국 내의 환경보호과와 청소과, 도시계획국내의 녹지과를 통합한 환경녹지국이 신설되었다.

1992년 7월에는 환경보호과가 환경관리계, 환경지도계의 2계에서 환경보전종합계획 을 담당하는 환경기획계 신설과 함께 환경지도계가 각각 환경지도1계, 환경지도2계 로 분리되었고, 1994년 5월 환경관리계가 대기보전계로, 환경지도1계가 수질보전계 로, 환경지도2계가 공해관리계로 다시 명칭변경 되었다. 1996년 7월 연안오염을 전 담하는 해양오염방지계가 신설되어 5개 계로 환경보호과 기능이 대폭 보강되었으며 1998년 9월 물관리업무 일원화 및 구조조정으로 인하여 환경기획팀, 대기보전팀, 자연환경팀으로 구성된 환경보전과로 개편되었다.

2002년 10월에는 국가에서 관리해오던 국가·지방산업단지에 대한 환경관리 업무 가 인천광역시를 비롯한 각 지방자치단체로 위임됨에 따라 지방환경행정 업무에 큰 변화가 생겼으며, 위임 업무처리를 위해 환경보전과에 공단관리팀이 신설된 후 2003 년 1월 조직 개편에 따라 환경보전과에 민간환경운동지원과 자동차배출가스 저감을 위한 환경운동지원팀이 신설되었으며 공단관리 업무를 수질보전과에서 담당하면서 기존 하천, 하수업무가 신설 부서인 하천하수과로 이관되었고, 2003년 7월 수질보

전과 내에 기존 공단관리팀 외에 사업장 지도·단속을 전담하는 공단지도1·2팀이 새 롭게 편성되면서 산업단지 내 사업장에 대한 환경행정업무를 본격적으로 추진하게 되었으며, 2005년 2월 환경보전과의 환경운동지원팀이 차량공해팀으로 명칭이 개편 되었다.

2005년 2월 조직개편으로 수질보전과에서 공단환경관리업무가 공단환경관리과의 신설로 3개 담당(공단관리, 공단지도1, 공단지도2)으로 개편 되었고, 하천하수과와 수질보전과가 통합되여 물관리과로 개편 5개 담당(물관리행정, 하천환경, 오수관리, 하수시설, 해양환경)으로 업무가 조정되었다. 2007년 1월 환경기초시설의 효율적 운영과 공공성·전문성 확보를 위한 공단조직 설립으로 8개 환경사업소의 업무와 3 개 민간 위탁시설(청라 자원환경센터 소각 및 자원화시설, 공촌하수처리장)등 총9개 시설을 위탁관리하고자 환경시설공단(現 인천환경공단)의 주요 업무로 추진하게 되 었으며, 2007년 3월 해양업무의 종합적 추진을 위해 물관리과의 해양환경업무가 항 만물류국 수산과로 이전되어 2017년 현재 해양도서정책과 해양환경팀으로 이어지 고 있다.

2008년 8월 조직개편으로 환경보전과에 있던 대기정책팀과 대기개선팀이 대기보 전과로 이관되었고 환경보전과는 환경정책과로 명칭을 변경하고 기후변화대응을 위 한 업무를 위하여 기후변화대응담당을 신설하여 4개 담당(환경기획, 자연환경, 생활 환경, 기후변화대응) 업무를 조정하였다.

2012년 11월 GCF 사무국의 인천 유치를 바탕으로 GCF 사무국의 안정적인 정착 을 위하여 GCF T/F팀을 신설하여 기존 기후변화대응팀에서 하던 GCF 업무를 조정 하였다.

2013년 6월 GCF 전략과의 신설로 인하여 GCF업무와 기후변화대응업무가 이관되 었고, 환경정책과에는 지속가능발전과 환경교육네트워크 업무를 담당하는 지속가 능협력팀이 신설되고 그 후에 생물다양성팀으로 변경되었다.

2015년 1월부터 조직개편으로 환경정책팀, 자연환경팀, 생활환경팀, 생물다양성팀 으로 운영되고 있다

나. 대기관리 조직

대기관리를 담당하는 조직은 환경보전과 대기보전팀, 대기개선팀 등으로 운영되다가 2008년 8월 조직개편으로 공단환경관리과가 대기보전과로 변경되면서 통합되었다.

2011년 2월 조직개편으로 환경정책과의 차량공해관리팀이 이관되어 현재의 4개 담당(대기정책, 대기개선, 공단환경, 차량공해관리)으로 운영되고 있다.

다. 청소 조직

청소업무를 전담하는 조직은 1963년 5월 28일 보건과 청소계로 시작된 이래 1979년 5월 1일 청소과 신설로 운영되다 1987년 3월 21일 공해방지계를 통합한 환경관리과로 개편하였으나 1989년 9월 1일 다시 청소과(청소1계, 청소2계)로 분리 되었다.

1990년대에 들어 소비문화와 함께 일회용품 사용이 급증함에 따라 체계적인 폐기 물 관리가 요구되어 1991년 7월 15일 환경녹지국 신설과 함께 청소과가 폐기물관 리과로 명칭 변경되었다.

1992년 5월 26일 청소시설계가 신설되면서 청소과로 다시 개편되었고 1995년 11월 13일 매립지관리업무를 전담하는 매립지원계가 신설되어 기존 청소행정계, 폐기 물재활용계, 폐기물시설계 등과 함께 4개계로 청소과가 운영되었으며 1998년 9월 18일 구조조정으로 3개 담당(청소행정담당, 재활용담당, 폐기물시설담당)의 청소행 정과로 개편되었다.

또한, 청라광역생활폐기물소각장 건설이 완료됨에 따라 2002년 1월 1일 청소행정 과에 소각장관리팀이 신설되었으며, 2005년 1월 1일자로 폐기물자원과로 개편되었다 가 2008년 청소행정, 재활용, 폐기물시설, 소각장관리의 4개 담당으로 구성된 자원순 환과로, 2011년에는 인천아시아경기대회 등 대규모 국제행사 대비 거리환경 미화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명칭을 청소과로 다시 변경하고 청소행정, 청소, 폐기물자 원화, 수도권매립지관리의 4개 담당으로 구성하여 운영되었으나 2013년 1월 18일자 로 지속성장을 위한 녹색성장 및 5R운동 추진 등 폐기물 자원의 자원순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과명칭을 자원순환과로 변경하고 4개 담당(자원순환, 도시환경, 폐기 물시설, 수도권매립지)으로 구성하였다.

2013년 9월에 자원의 재활용 및 자원순환을 강조하고 부각시키고자 자원순환담당 을 자원순환행정담당으로 도시환경담당을 자원재활용담당으로 2개의 명칭이 변경되고, 2014년 2월에는 수도권매립지 현안문제에 대한 전략적 대응과 수도권매립지 및 주 변지역의 환경개선, 지역개발 자원 등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수도권매립지 담당의 명칭을 전략환경담당으로 변경하였다.

수도권매립지 정책 세부이행 합의에 따른 후속 조치의 기관 간 협의 및 의견 조정 등을 위한 전담 기구 필요에 따라 2015년 8월 21일자로 수도권매립지정책개선단 T/F(정책개선담당, 전략환경담당)가 구성되어 기존 전략환경담당에서 추진하던 수도 권매립지 업무를 조정하였다.

라. 물관리 조직

상수도 분야는 1940년 4월 1일 인천부에 수도과가 신설된 이래 1966년 12월 3 일 수도국 신설, 1967년 1월 1일 부평정수사업소 설치, 1967년 12월 8일 수도사업 소(중부·북부수도사업소)설치, 1987년 4월 1일 수도국에서 건설국 하수과를 흡수 한 상·하수국(업무과, 시설과, 급수과, 하수과)으로 개편되어 1국 4과 체제가 되었으 며, 보다 효율적인 상수원관리를 위하여 1989년 9월 1일에는 상·하수국이 폐지되고 상수도사업본부를 발족하였으며, 그 후 물소비량이 급증함에 따라 1992년 10월 29 일 남동정수사업소 신설, 1996년 9월 30일 공촌정수사업소 신설, 2001년 12월 31 일 수산정수사업소 신설, 2004년 11월 8일 연수수도사업소를 신설하였다. 이후 공촌 정수장 증설, 백령정수장 통수 및 푸른송도배수지 준공 등 상수도 공급량 증대에 대 응하였으며, 2013년 9월 17일 기구개편으로 중부수도사업소(남부 및 중동부수도사 업소 통합), 남동부수도사업소(남동 및 연수수도사업소 통합), 북부수도사업소(계양 및 북부수도사업소 통합)로 통합되어 3부·1연구소· 1관리소·4정수사업소·5수도사업소 체제로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다.

하수분야는 1979년 7월 25일 하수과가 신설된 이래 1987년 4월 1일 상수도 분 야와 통합되어 상하수국으로 개편되었다. 1989년 9월 1일 상수도사업본부가 발족되 면서 건설국 하수과로 운영되다 1995년 6월 8일 상수도, 약수터, 지하수 등 먹는 물 을 전담하는 수질관리계가 신설되면서 상·하수관리과(하수관리계, 하수시설계, 수질 관리계)로 명칭이 변경되어 운영되었으며 1998년 9월 18일 물관리업무 일원화 및

구조조정으로 물관리과로 개편된 후 2004년 1월 하천, 하수 업무를 전담하는 하천 하수과가 3개 담당(하천담당, 하수관리담당, 하수시설담당)으로 새롭게 신설되어 오 다가, 2005년 2월 1일 조직개편의 일환으로 하천하수과와 수질보전과가 통합되어 물관리과로 개편 5개 담당(물관리행정, 하천환경, 오수관리, 하수시설, 해양환경) 물 관리 업무가 강화 되었고, 2007년 조직개편으로 해양환경업무가 해양수산과로 이전 되어, 2010년 물관리과는 물관리행정, 하천환경, 수질보전, 오수관리, 하수시설의 5 개 담당으로 운영되었다.

2011년 2월 수질보전업무와 하수업무를 세분화하는 조직개편으로 인해, 현재 수질환경과는 수계총량팀, 하천환경팀, 생활용수팀, 수질보전팀으로, 하수과는 하수 행정팀, 하수계획팀, 하수시설팀으로 운영되고 있다.

2013년 3월 수질총량 및 수계관리업무를 총괄하는 수계총량담당이 수질보전하천 과에 신설되었으며, 2014년 4월에는 수질에 관련된 환경업무에 대하여 총괄담당하 고자 수질보전하천과에서 수질환경과로 부서 명칭이 변경되었다.

마. 녹지 조직

녹지·공원·산림 업무를 담당하는 녹지분야는 1973년 8월 31일 녹지과(녹지계, 산림 계)가 설치된 이래 1987년 9월 1일 공원계 신설되어 3계(녹지계, 공원계, 산림계) 로 녹지과가 운영되었다.

1996년 9월 17일 인천대공원 관리를 전담하는 공원관리사업소 신설, 1998년 9월 18일 구조조정으로 녹지조경과(녹지조경담당, 공원담당, 산림담당)로 변경, 2003년 2월 도시녹화팀이 신설되었다

2007년 4월 직제개편 이후 공원녹지과(녹지정책담당, 공원기획담당, 공원조성관리 담당, 도시숲관리담당, 도시녹화담당, 조경관리담당)로 변경되어 6개팀으로 운영되었으 며, 현재 공원녹지과(녹지정책담당, 공원기획담당, 공원조성담당, 민간공원담당, 산 림자원담당, 산림휴양담당, 도시녹화담당)는 7개팀으로 이루어져 있다

Dalam dokumen 2 0 1 8 - 환경백서 (Halaman 50-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