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하수도 관리
하수도는 본래 도심지 내 우수를 신속히 배제함으로써 침수에 의한 도시 재해를 예방하는데 주 기능을 가지고 있으나, 그 동안 삶의 질이 향상됨에 따라 수거식 변소 는 수세식화로 변화되고 생활오수의 질과 양이 증가하였으며, 또한 각종 공장에서 배 출하는 폐수로 인하여 도시하천이 오염되어 근래에 와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도시 내 하수관로는 당초 우수의 신속한 배제를 위해 건설되어 오수관로 로서의 기능이 결여되고 공공수역의 수질보전이라는 보다 광역적인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으로 우·오수배제 및 처리 등의 두 가지 기능을 보완하여 침수해소 와 수질보전이라는 하수도의 본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각종 하수도시설의 체계 적인 파악, 기존 하수도시설의 개선 및 계획, 원활한 유지관리 등을 목적으로 인천 광역시에서는 1984년 하수도정비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지속적으로 변경 수립하여 활 용하고, 최근에는 2015년 하수도정비 기본계획 변경 승인(환경부 : 2015. 10)하였 으며, 하수처리시설 및 도시위생환경시설에 대한 정비확충을 통하여 환경친화적인 도시발전을 꾀하고 있으며, 이후 계속되는 도시개발과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관로 연장이 증가하고 있다.
〈표 3-78〉 하수관로 현황
(2017.12.31. , 단위 : km)
총연장 합 류 식 관거 분 류 식 관거
계 암 거 개 거 측 구 계 오수관로 우수관로
5,820 2,836 2,708 32 96 2,984 1,319 1,665
※ 자료 : 하수과
나. 하수도사업 추진실태
하수도 관리는 기존 시설의 유지, 보수, 노후시설의 대체 및 개량과 관로에 퇴적 한 토사, 쓰레기의 제거, 유수지내의 토사를 준설하여 하수 소통을 원활히 하는데 목적이 있다.
근래 산업시설의 확대와 도시인구 집중으로 도시환경 오염이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어 하수도의 중요성이 강화되어 하수도 신설 및 정비에 만전을 기하고 있으나, 하 수도 유지관리의 작업이 날로 늘어나고 있는 실정으로 기동력과 장비의 현대화를 요구하게 되어 연차적으로 하수도 사업비를 늘려 관로 준설작업을 하는 등 방대한 사업 추진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표 3-79〉 하수관로 정비사업 추진실적(2017)
[하수처리시설 건설] (단위 : 백만원) 구 분 하수관로
신 설
하수관로 개보수
준 설 비 고
합류식 분류식
규 모 40㎞ 43,146m 5,163m 446,032m, 29,648ton
사 업 비 26,779 8,451 2,960
※ 자료 : 하수과
〈표 3-80〉 하수도사업 추진계획(2018)
[하수처리시설 건설] (단위 : 백만원)
구 분 규모
(천㎥/일) 사 업 기 간 총사업비 사업방식
계 (관거포함) 4.96 ’10 ~’19 147,921
강 화 군
온수 0.70 ’12 ~’19 16,606
턴키
교동 0.12 ’13 ~’19 5,727
동막 0.24 ’13 ~’19 3,064
외포 0.48 ’15 ~’19 14,424
기타
주문 0.07 ’16 ~’21 2,295
내가 0.11 ’17 ~’21 5,670
상방 0.43 ’17 ~’21 21,859
석모 0.12 ’18 ~’21 9,812
옹 진 군
진두 0.70 ’11 ~’18 18,974
내리 1.30 ’12 ~’18 24,975 턴키
선재 0.45 ’15 ~’20 16,048
기타
장봉2 0.09 ’16 ~’20 3,592
서내 0.15 ’16 ~’20 4,875
※ 출처 : 하수과
〈표 3-81〉 2018년 하수관로 정비사업 추진계획
[하수관로 정비] (단위 : 백만원)
구 분 계 신 설 정비교체 준 설
규 모 3,062건 492㎞
3건 5,957m (계속사업)
9개 군·구 3,050건
9개 군·구 486㎞
사 업 비 22,298 11,072 8,182 3,044
※ 자료 : 하수과
다. 하수처리장 건설현황 및 계획
도시 생활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하수도정비 기본계획을 수립, 하수도 사업을 추진 하고 있으며, 또한 배수면적 확장과 수세식 화장실의 보급, 공장폐수에 의한 수질의 오염방지를 위하여 장·단기적인 하수처리장 건설계획을 수립 및 확충 중에 있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표 3-82〉 하수처리시설현황
처리장명 계 획 가동중 신․증 계획
비 고
공사중 계획
계 1,635 1,501.5 46 147.5
도 심 지 역
가 좌 350 350
승 기 275 275 시설현대화
남 항 125 125
공 촌 65 65
영종 용유
운북 23 23
영종 24 24
송산 30 30
용유 31 31 신설 계획
만 수 105 70 35 증설 계획
송 도 108 72.5 35.5 증설 계획
검 단 132 40 46 46 증설 계획
굴 포 427 427
(2017. 12월말 현재, 천㎥/일)
(2017. 12월말 현재, 천㎥/일) 처리장명 계 획 가동중 신․증 계획
비 고
공사중 계획
계 19.24 11.41 3.06 4.77
도 서 지 역
강 화 군
소 계 12.94 9.00 1.06 2.88
강화(강화읍) 9.00 9.00 가동 중
온수(길상면) 0.70 0.70 공사 착공
교동(교동면) 0.12 0.12 공사 착공
동막(화도면) 0.24 0.24 공사 착공
외포(내가면) 0.48 0.48 기본 및 실시설계용역 중
주문(서도면) 0.07 0.07 기본 및 실시설계용역 중
내가(내가면) 0.11 0.11 기본 및 실시설계용역 중
상방(화도면) 0.43 0.43 기본 및 실시설계용역 중
석모(삼산면) 0.12 0.12 기본 및 실시설계용역 중
내정 등 1.67 1.67 신설계획(12개소)
옹 진 군
소계 6.30 2.41 2.00 1.89
가을(백령면) 0.75 0.75 가동중
진촌(백령면) 0.56 0.56 가동중
사탄(대청면) 0.05 0.05 가동중
선진(대청면) 0.13 0.13 가동중
소청(대청면) 0.08 0.08 가동중
서내(대청면) 0.14 0.14 기본 및 실시설계용역 중
대연평(연평면) 0.40 0.30 0.1 가동중(2020년 증설 0.1㎥/일 )
자월(자월면) 0.13 0.13 가동중
서포(덕적면) 0.30 0.30 가동중
장봉2(북도면) 0.09 0.09 기본 및 실시설계용역 중
장봉3(북도면) 0.11 0.11 가동중
진두(영흥면) 0.70 0.70 공사 착공
내리(영흥면) 1.30 1.30 공사 착공
선재(영흥면) 0.45 0.45 기본 및 실시설계용역 중
진리 등 1.11 1.11 신설계획(15개소)
※ 자료 : 하수과
라. 하수도 사용료
1) 하수도 사용료의 성격
하수도사업은 조세에 의한 재원을 충당하는 일반회계와는 달리 시민에게 편리한 서 비스 제공을 최우선으로 하고, 수익자 부담의 원칙을 도입한 기업성을 바탕으로 독 립채산제의 지방공기업 하수도사업특별회계로 운영되고 있다.
하수도사용료 수입은 2017년도의 경우 171,621백만원으로 하수처리장 운영, 하수 관로 정비 등 공공하수도 관리에 관한 비용으로 편성 사용되었다.
2) 하수도 사용요율의 체계
현재 인천광역시의 하수도 사용요율 구조는 원가 분석방식에 입각하고 있다. 또한 획일적인 수익자 부담의 원칙 적용이 아닌 누진율을 가미한 차등요율 체계를 택하고 있다.
또한, 우수 또는 오수를 원활히 배출하고 생활환경을 개선하여 건전한 도시생활 기 반확충을 위해 1983년 10월부터 최초로 징수하고 있는 하수도 사용료의 업종은 아래 하수도사용 요율표와 같이 가정용, 업무용, 영업용, 욕탕용, 산업용의 5종으로 구분 적용·운용하고 있다.
〈표 3-83〉 하수도 사용료 요율표
구분 업종
사용요율 사용구분
(㎥/월) ㎥당 단가
(원)
가 정 용
1~10 11~20 21~30 31~40 41~50 51이상
320 510 560 750 860 1,470
업 무 용 1~100
101이상
470 960
영 업 용 1~100
101이상
790 1,570 욕 탕 용
1~1,000 1,001~3,000
3,001이상
410 690 1,030
산 업 용 1㎥당 590
※ 자료 :「하수도사용조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