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 KLIPS 가구용 자료가 가구를 분석단위로 하고 있다면 개인용 자료는 가구에 속한

15세 이상의 가구원을 분석단위로 한다. 개인자료는 가구자료와 동일하게 key변수 와 주제별 변수로 구성된다.

□ 23차년도를 기준으로 개인용 자료의 key변수와 구성변수, 그 외의 주제별 변수는 다음과 같다.

- key변수 : pid, hhid01~hhid23, hmem23 - 주제별 변수 : key변수를 제외한 모든 변수

□ 주제별 변수는 그 변수가 어떤 설문지에서 만들어졌는가에 따라 변수레이블 앞에

‘(가구정보)’, ‘(주된 일자리)’, ‘(모든 응답자)’, ‘(취업)’, ‘(미취업)’, ‘(신규조사자)’라는 라벨이 붙는다.

◉ 주제별 변수의 구성

- (가구정보) : 가구자료에서 조사된 가구원 정보를 개인자료에 연결한 변수이다. 개 인의 주된 인구학적 특성을 담고 있다.

- (주된 일자리) : 취업자가 응답한 유형 설문의 내용 중 ‘주된 일자리’라고 응답한 일자리 관련 변수들이다.

- (모든응답자) : 취업자 개인과 미취업자 개인 설문 중 취업자 미취업자 모두에게 공통 적으로 질문한 설문내용에 관한 변수로 각 변수에는 취업자와 미취업 자 모두의 응답내용이 들어 있다.

- (취업) : 취업자 설문 중 취업자에게만 해당하는 내용에 관한 변수이다. - (미취업) : 미취업자 설문 중 미취업자에게만 해당하는 내용에 관한 변수이다. - (신규조사자) : 1차년도 응답자 및 만 15세가 되어 처음 조사되거나 합가 등의 이

유로 추가된 가구원에게만 해당하는 내용에 관한 변수들이다.

□ 개인 자료에서 변수레이블 앞에 ‘(주된 일자리)’라고 입력된 변수들은 취업자설문과 유형설문을 토대로 별도로 가공된 자료이다. 이 변수들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 KLIPS는 개인이 여러 가지 일자리를 가지고 있을 경우 유형 설문을 통해 모든

일자리에 관한 응답을 받고 있다. 단 취업자 개인 설문은 주된 일자리를 기준으 로 응답받는다.

- 주된 일자리는 현재의 일자리(유형1, 3, 5, 7 설문) 중에서 응답자가 판단하기에 가장 중요한 일자리로 정의된다.

□ 개인용 자료의 (주된 일자리)변수들이 담고 있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취업(사업)시작 시기

- 산업, 직업, 직위 - 기업의 형태 및 규모

- 고용형태와 근로계약유무 및 기간, 근로시간 형태, 종사상 지위

- 근로시간, 임금

- 사회보험 가입여부 및 수급

- 노동조합

- 농업일자리(12차년도부터 추가)

2.2 개인자료의 내용

2.2.1 평소의 경제활동

□ 평소의 경제활동은 개인용 자료의 (모든응답자)변수로 지난주 주요 활동과 지난주

소득 활동, 지난주 직장유무, 지난주 일 하지 않은 이유를 묻고 있다.

□ 평소 경제활동 관련 문항은 1차년도에는 가구용 설문지에 있었으나 자료상에는 개인용에서 제공된다. 3차∼23차년도에는 개인용 설문에서 묻고 있으며 개인용 자 료에서 제공된다.

<표 Ⅴ-10> 평소의 경제활동관련 변수

변수명 1차-23차

평소 활동 p**0202 3차-23차

지난 1주 주요활동 p**0203

1차-23차

지난 1주간 소득활동 p**0204

지난주 일자리 소유여부 p**0205

지난주 일하지 않은 이유 p**0206

2.2.2 구직활동

□ 구직활동은 취업자의 구직활동과 미취업자의 구직활동으로 구분된다.

- 1차년도 개인용 자료에서 취업자의 구직활동 관련해서는 희망 종사상 지위, 희 망 근로시간, 희망하는 일의 종류, 구직방법, 구직시 어려움, 구직기간 등의 자세 한 내용을 담고 있다. 미취업자의 구직활동은 실업자의 구직활동과 비경제활동 인구의 구직활동에 관한 내용으로 구분된다.

- 2, 3차년도의 구직 관련 변수는 취업자에 대해서는 현재 직장의 구직 과정 관련

사항과 취업 중 구직활동(on the job search)에 관한 사항을 묻고 있다. 미취업자 의 경우에는 실업자를 대상으로 구직활동에 관한 내용을 묻고 있다.

- 4차~9차년도의 구직활동 관련 변수구성은 3차와 동일하다. 단 4차년도부터 새 로운 일자리에 대한 구직 방법 외에 성공한 구직방법과 구체적인 일자리 진입방 법 변수가 추가되었고, 구직방법에 대한 세부 항목이 구체화되었다. 9차년도에는 미취업자의 구직활동 변수 중 지난 조사이후 구직활동여부, 마지막 구직활동시 기(년, 월), 지난주 일자리 제의 여부, 제의받은 일자리에 취업하지 않은 이유에 관한 내용이 추가되었다.

<표 Ⅴ-11> 1-23차년도 구직활동 관련 변수

변수명 1차-23차

취업자의 구직활동 p**2901~p**3020 1차-4차

미취업자의 구직활동 p**2801~p**2885 1차-23차

2.2.3 고용형태(정규/비정규여부) 및 근로계약

□ KLIPS에서 임금근로자의 고용형태는 정규직․비정규직 여부를 의미한다. 정규직 여부

는 개인의 주관적인 판단 하에 자기 응답식으로 측정되었다. 그밖에 임금근로자의 고 용형태 관련 항목은 Ⅳ. 변수 가이드의 1.key변수의 이해와 활용에 제시되어 있다.

□ 임금근로자의 근로계약관련변수는 근로계약기간유무, 근로계약기간, 계속근로가능 여부, 근로계약문서 수령여부, 근로계약갱신여부, 향후근무예상기간으로 구성된다. 근로계약관련변수의 연도별 변화사항은 다음과 같다.

- 1차∼23차년도 조사에서 근로계약기간 유무와 근로계약기간은 동일하게 조사되 었다.

- 계속 근로 가능 여부는 2차를 제외한 1, 3차년도에 조사되었다. - 근로계약문서 수령여부는 3차∼23차년도에 조사되었다.

- 근로계약 갱신여부는 3차, 5차∼23차년도에 조사되었다.

<표 Ⅴ-12> 1-23차년도 근로계약 관련 변수

변수명 1차-23차

근로 계약 기간 유무 p**0501

1차-23차 근로 계약 기간 p**0502~p**0504

근로 계약 갱신 여부 p**0505 5차-23차

불규칙적인 일자리 여부 p**0508 5차-23차

근로 계약문서 수령 p**0509 3차-23차

□ 노동패널조사에서 ‘향후 이 일자리에서 계속 근로가 가능한지 여부’는 3차년도 조 사에서는 임금근로자의 유형설문에서 조사되었다. 동일한 문항에 대해 5차년도에 는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 중 2002년 비정규직 관련 부가조사를 통해 유사한 문항이 설문되었다. 노동패널 조사에서도 이를 반영하기 위해서 5차년도 조사에서 부터는 취업자 공통 설문에서 이를 조사하였다.

- 이중 향후 계속 근로가능기간에 대해서도 4차년도 조사에서 ‘1년 이상’과 ‘1년 미만’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즉, 기간제(단기 계약직) 근로자에 대해서는 5차년 도 이전조사에서도 파악이 가능하였다고 볼 수 있다.

- 5차∼11차년도에는 향후 근로가능 기간에 대해 경제활동인구조사와 응답항목을 통일시켜 ‘(1) 1년 이하(_개월), (2) 1년-3년 이하 (3) 3년 초과’와 같이 세 가지 형 태로, 12차년도 이후에는 (1) 1년 이하, (2) 1년 초과∼2년 이하, (3) 1년 초과∼3

년 이하, (4) 3년 초과로 네 가지로 나누어 질문하였다.

- 그 외에 호출 근로나 시간제 근로와 같은 형태는 노동패널내의 기존 유형설문에 서 판별이 가능하였기 때문에, <표 Ⅴ-13>과 같이 파견/용역근로여부, 독립도급 여부, 가내 근로 여부 등에 대해서만 추가로 조사하였다.

변수명 3차 4차 5차-23차

계속 근로가능 여부 p**0601

-

향후 계속근로가능기간 p**0603~p**0604

계속근로불가능이유 p**0605 -

파견/용역여부 p**0611

독립도급여부 p**0612 -

가내(재택)근로 여부 p**0613 -

<표 Ⅴ-13> 비정규직 측정과 관련된 다양한 변수들

□ 10차년도 부가조사에서 조사되었던 ‘고용형태’문항들은 11차년도부터 개인용 취업 자 설문에 포함시켜 조사하였다.고용형태 자료 내용은 <표Ⅴ-14>와 같으며 각각의 내 용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User notes :비정규직 근로자의 판별(FAQ Q23참조)

5차년도 조사부터는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의 비정규직 관련 부가조사(2002)의 내용들을 반영함으로 써 보다 다양한 형태의 비정규직 구분이 가능하게 되었다.한국노동패널에서 측정가능한 비정규직의 개념들 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종사상 지위 :상용직,임시직,일용직 기준 p**0314을 참조할 것. 2.주관적 판단에 의한 비정규직 여부 <Ⅴ-13>을 참조할 것.

3.다양한 형태의 대안적 근로(단기계약,호출근로,파견근로,용역근로,독립도급근로,가내근로,시간제 근로)

※ ‘다양한 형태의 대안적 근로(alternative work arrangements)'와 관련된 분석에 사용된 변수들을 제시하면 다 음과 같다.

항 목 변수명

한시적 근로 기간제근로 비기간제근로 시간제근로 비전형근로 파견근로 용역근로 독립도급근로 가정내근로 일일(단기)근로

p**0501(=1)

p**0501(=2) & p**0601(=2) & p**0605(=1,2,3,4,5,6), p**0501(=2) & p**0602(=2)

p**0315(=1) p**0611(=2) p**0611(=3) p**0612(=1) p**0613(=1) p**0508(=1)

통계청에서 실시한 경제활동인구조사 의 비정규직 부가조사의 내용을 비교하기 위해서는 홍민기 외 2015, 동패널자료 연구(I),3장 한국노동패널조사에서 나타난 비정규직 현황과 추세(성재민),을 참조하기 바란다.

- 임시적 고용 : 근로계약 기간이 임시적이거나 업무의 성격이 임시적이기 때문에 불안정성을 가지고 있는 고용형태이다. 여기에는 한시근로, 프로젝트베이스, 대 체근로, 성과계약제, 임시직, 계절근로 등이 포함된다.

- 간접고용 : 일하는 곳과 임금을 지급하는 곳이 다른 고용형태에는 파견/용역근로 나 사내하청 등이 포함된다.

- 일일/호출근로 : 근로계약의 유무에 제약받지 않고 ‘필요할 때 연락을 받고 며칠 또는 몇 주 동안 고용’되거나 ‘인력시장, 직업소개소 등 일정한 장소에서 대기하 고 있다가 고용주나 고용할 업체 등에서 일할 사람을 선택하면 일일 단위로 일 하는’ 경우 등을 의미한다.

- 특수고용 : 임금과 비임금의 경계선상에 있는 특수형태 고용은 임금근로자 뿐만 아니라 ‘일정한 사업장이 없는 비임금근로자’ 중에서 보험설계사, 학습지교사, 퀵

서비스 배달기사 등과 같이 임금근로자와 자영자의 경계가 모호한 고용형태를 의미한다.

- 시간제 근로 : 파트타임․아르바이트로 일하거나, 같은 업무에 종사하는 사람들 보다 적은 시간 동안 일하거나, 임금이 시간 단위로 지급되는 경우로 정의된다.

□ 17차년도 조사부터는 기존의 방대한 비정규직 판별문항을 대폭 삭제하여 간소화 하였다.

<표 Ⅴ-14> 고용형태 자료의 변수

내 용 10차(부가조사) 11차-16차(취업자) 17차-23차(취업자) 고용형태 판별 a105101-a105121 pa**5101-pa**5121

pa**5101-pa**5103 pa**5107, pa**5108 pa**5900-pa**5911

한시근로 및 임시적 계약형태 a105200-a105223 pa**5200-pa**5223

pa**5200-pa**5202, pa**5211, pa**5215, pa**5216

간접고용 a105300-a105369 pa**5300-pa**5369 삭제

일일호출근로 a105400-a105405 pa**5400-pa**5405 삭제

특수형태고용 a105500-a105535 pa**5500-pa**5535 pa**5500-pa**5504, pa**5509 시간제 근로 a105600-a105618 pa**5600-pa**5618 삭제 직장상황 및 적응 a105700-a105705 pa**5700-pa**5705 삭제

2.2.4 근로시간

□ 정규근로시간은 임금근로자에게만 해당하는 변수이다. 정규근로시간과 관련해서는 정규근로시간유무여부, 주당정규근로시간 및 일수, 초과근로여부, 주당초과근로시 간 및 일수 등을 묻고 있다.

□ 근로시간과 관련하여 1차∼23차년도별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 1차년도에는 주당정규근로시간과 주당초과근로시간, 주당정규근로일수에 관한 변수만 있고 주당초과근로일수에 관한 정보는 없다.

□ 근로시간관련 변수를 사용할 때의 유의사항과 근로시간관련 추가 사항은 다음과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