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3.1 조사내용

□ KLIPS는 가구와 개인의 경제활동과 노동시장의 동태적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설

계된 조사이므로 기본적으로 매년 동일한 내용의 설문이 반복되는 형식을 갖추고 있다. 다만 부분적으로 조사년도별로 조사 내용에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 <표 Ⅲ-5>는 1차년도부터 23차년도까지 지속적으로 조사된 설문 내용이다.

<표 Ⅲ-5> 1-23차년도 조사 내용 (공통) - 응답자용 설문 기준

설문 내용 응답 차수 및 응답대상

▪ 교육력 1차년도, 4차년도는 모든 개인응답자

다른 차수는 신규 응답자

▪ 혼인력

1차년도, 2차년도는 모든 응답자의 생애 전체 혼인력 3차 이후 모든 응답자 변화를 중심으로 조사

3차 이후 신규 응답자 최초결혼이후 혼인력을 모두 조사

▪ 출산력 1차년도 모든 응답자

2차 이후 신규 응답자

▪ 출생지 ▪ 성장지

▪ 성장기 아버지의 교육수준 및 경제활동

▪ 군복무

1차년도 모든 응답자 2차 이후 신규 응답자

▪ 종교 1∼11차년도 신규응답자

12차 이후는 모든 응답자

▪ 형제자매 6차년도 모든 응답자

7차 이후 신규 응답자

▪ 성장기 어머니의 교육수준

및 경제활동 4차년도 모든 응답자

5차 이후 신규 응답자

▪ 성장기 경제적형편 8차년도 모든 응답자 9차 이후 신규 응답자

▪ 만 15세 이후 일자리 경력 1차년도 모든 응답자 2차 이후 신규 응답자

설문지 구성 내 용

미취업자 개인

▪경제활동상태

▪구직활동, 구직방법, 희망하는 일자리의 특성, 구직시 어려움

▪교육 및 직업훈련

▪사회보험 수급관련 사항

▪정규교육 관련 문항

▪혼인상태

▪생활만족도 및 경제적 여건

▪종교 및 종교활동(12차년도 이후) 신규 ▪개인 설문의 모든 내용 + 회고적 일자리

<표 Ⅲ-5>의 계속

□ <표 Ⅲ-6>은 모든 응답차수에 걸쳐 각 개인별로 한번만 응답하도록 한 설문을 정

리한 것이다. 즉 특정년도에 모든 개인응답자에게 질문한 후, 이후 신규응답자만 조사한 문항들이다.13)

<표 Ⅲ-6> 개인별 한번만 조사하는 내용 - 응답자용 설문 기준

13) 다만 예외적으로 상당한 시간이 흐른 후 변화를 살펴보기 위한 목적으로 모든 응답자에게 재 질문을 실시한 경우가 있을 수 있음.

조사차수 해당자료 조사내용

1차년도

가구용 ▪최근의 경제위기(IMF)에 관한 견해 ▪(가구원) 전공분야

▪탁아모관련문항 ▪사회보험 수급관련문항 개인용 ▪부업관련 문항 ▪취업 중 구직활동

▪경제위기 후 변화사항 ▪취업 중 구직어려움 2차년도 가구용 ▪(가구원) 전공분야 ▪(가구원) 건강상태

개인용 ▪취업 중 구직활동 ▪취업 중 구직어려움

3차년도

가구용 ▪탁아모관련문항

개인용 ▪고용계약 관련문항 ▪이직 관련문항

▪사회적 지위 및 인맥 ▪취업중 구직활동

▪취업 중 구직어려움 4차년도

가구용 ▪탁아모관련문항

개인용 ▪취업 중 구직어려움 ▪창업훈련 관련 문항

▪비임금근로자의 사업체 운영관련 문항

5차년도 개인용 ▪취업 중 구직어려움 ▪비임금근로자의 사업장 가치 관련 문항

▪입시성적 관련 문항

6차년도 개인용 ▪학업성취 관련 문항 ▪질병관련 문항

7차년도 개인용 ▪차별관련 문항 ▪리스크 관련문항 ▪질병관련 문항 8차년도 개인용 ▪근로시간 단축 (8차이후 지속) ▪키, 몸무게, 혈액형 9차년도 개인용 ▪장애관련문항

10차년도 가구용 ▪자녀의 영어교육관련문항 ▪유동성제약관련문항

개인용 ▪어학연수 및 영어능력관련문항 ▪리스크 관련문항 ▪키, 몸무게 11차년도 개인용 ▪키, 몸무게

□ <표 Ⅲ-7>은 각 차수별로 부가조사와는 별도로 가구용 혹은 개인용 설문에서 한

시적으로 질문한 문항들이다.

<표 Ⅲ-7> 각 차수별 차별된 조사 내용 - 변수명 일치 자료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