는 개인용 자료의 오픈 코드와 동일하다.
□ 건강과 은퇴(4차)의 오픈코드는 중 가구주와의 관계는 개인용과 동일하며 병명 오 픈코드는 지병 종류(a04061)와 병명(a04095)변수에 대한 오픈코드이다.
고 있다. 추가로 2017년에 개정된 한국표준산업분류(10차, 2017년 개정)와 한국표 준직업분류(7차, 2017년 개정)도 3자리수로 코드화하여 자료를 제공한다.14)
◉ 직업․산업 분류 과정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 한국노동패널조사의 산업과 직업 코딩 작업은 실사 과정에서 산업과 직업을 전문 가가 판별할 수 있게끔 정확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전문가 가 코드를 부여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 산업과 직업 코딩 작업은 다음과 같은 절차를 통해 이뤄진다.
- 첫째, 조사에 들어가기 전에 면접원을 대상으로 통계청의 표준분류 전문가가 직․ 산업 분류에 필요한 정보를 어떻게 수집해야 하는가에 관한 교육을 진행한다. - 둘째, 실사가 진행되면 면접원은 사업체의 이름, 사업체의 사업내용, 구체적으로
하는 일과 직위․직책을 Open Code로 상세히 조사한다.
- 셋째, 조사가 완료된 뒤 통계청에서 오랫동안 해당 업무 경험이 있으며 노동패널 직․ 산업코딩 작업을 계속 수행한 전문가가 Open Code의 내용을 보고 코딩을 부여한다. - 마지막으로 전문가에 의해 코딩된 자료를 검토하여 누락되거나 잘못 입력된 부
분을 확인한 후 입력한다.
□ 산업과 직업 코딩 작업은 원칙적으로 한국표준산업분류(제8차, 2000년 개정)와 한 국표준직업분류(제5차, 2000년 개정)에 따라 이루어 졌다. 노동패널 12차 데이터
(2009년)부터는 최근 개정한 한국표준산업분류(한국표준산업직업분류 10차, 2017년
개정)와 한국표준직업분류(한국표준직업분류 7차, 2017년 개정)도 함께 제공하여 연구자들의 요구에 부응하고 있다.
구분 20차 이전 공개용 자료 21차 이후 공개용 자료
개인자료 직업력자료 개인자료 직업력자료 업
종
한국표준산업분류 8차(KSIC8) p**0330 j630 p**0340 j640 한국표준산업분류 9차(KSIC9)(12차부터 제공) p**0331 j631 p**0341 j641 한국표준산업분류 10차(KSIC10)(12차부터 제공) - - p**0342 j642 직
종
한국표준직업분류 5차(KSCO5) p**0332 j632 p**0350 j650 한국표준직업분류 6차(KSCO6)(12차부터 제공) p**0333 j633 p**0351 j651 한국표준직업분류 7차(KSCO7)(12차부터 제공) - - p**0352 j652 14) 21차 이전 노동패널자료를 사용했던 연구자는 직산업 변수명이 변경되었음에 주의를 요함
산업 코드 : 6 5 1
↓
한국표준산업분류에 따른 소분류
직업 코드 : 5 2 1
↓
한국표준직업분류에 따른 소분류
- 산업코드는 990번이하, 직업코드는 999번이하의 3자리 숫자로 입력되어 있는 경 우에는 표준산업분류와 표준직업분류의 소분류(3-digit)와 동일한 값이 입력되어 있다.
- 다만 5차 한국표준직업분류의 의회의원, 고위임직원 및 관리자와 표준산업분류 의 농업, 임업, 어업, 광업은 다른 중분류와는 달리 두 자리가 아닌 한 자리 숫 자로 되어 있어(앞자리는 0) 자료상으로는 유일하게 2자리 소분류로 구성된다. - 한편 한국표준직업분류에서 군인은 다른 대분류와는 달리 숫자가 아닌 알파벳
A로 되어 있어 별도의 3자리 숫자 코드를 부여했다.
□ 직․산업 코딩 과정에서 제공된 Open Code의 정보만으로 소분류(3-digit)까지 분류 가 불가능할 경우에는 중분류(2-digit)에 해당되는 값에 0을 붙여 세자리 숫자로 맞 추었다.
산업 코드 : 6 5 0
한국표준산업분류에 따른 중분류↓ 직업 코드 : 5 2 0
한국표준직업분류에 따른 중분류↓
□ 노동패널 각 연도별 개인자료에서 직업 및 산업코드를 부여받는 변수들은 매우 다양하다. 예컨대, 최종 일자리의 직업산업 코드, 최초 혹은 변경전 코드, 희망하 는 일자리의 코드 등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자료상에서도 개인자료, 부가조사 자 료, 직업력 자료 등 다양한 자료들에 분포되어 있다.
- 여기서는 자료 이용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현재(최종) 일자리의 직업 및 산 업코드 변수를 소개한다.
<표 Ⅳ-7> 현재(최종) 일자리의 직업․산업코드 변수
산업코드 직업코드
개인자료 직업력자료 개인자료 직업력자료
구분류 신분류 신분류 구분류 신분류 신분류 구분류 신분류 신분류 구분류 신분류 신분류 8차개정(2000년
code)
9차개정(2007년 code)
10차개정 (2017년
code)
8차개정(2000년 code)
9차개정(2007년 code)
10차개정 (2017년
code)
5차개정(2000년 code)
6차개정(2007년 code)
7차개정(2017년 code)
5차개정(2000년 code)
6차개정(2007년 code)
7차개정(2017년 code) p**0340 p**0341 p**0342 j640 j641 j642 p**0350 p**0351 p**0352 j650 j651 j6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