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부내용
1차시
■ 프로젝트 결과 보고서 발표
- 결과 보고서 발표: 활동계획서(활동목적과 필요성/ 주제선정배경/활동방법)와 활 동보고(문헌조사연구/ 활동일지/ 활동사진/ 활동결과/ 개인별 소감) 등
- 결과에 대한 논의 및 성찰
■ 팀별 현장활동 UCC(산출물) 발표 - 산출물 및 경험 공유와 환류
■ 최종보고서 제출
- 강의자: 안지영
주차 1 주제 교과목 주요 개념 및 활동 이해 강의자 안지영 학습목표 본 수업의 취지 및 운영계획을 이해한다.
강의내용
1. 지역사랑프로젝트의 취지 설명
2. 과목 운영 계획(UCC제출 및 콘테스트 계획 설명) 3. 지원 특강 안내
교수방법 1) 강의
2) 질의응답 수업자료 1) ppt
2) 관련 영상 세부내용
1차시
1. 지역사랑 프로젝트의 취지 설명
- 지역사회의 삶 속으로 들어가 다양한 현상을 관찰·조사하여 문제를 발견하고 대안적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하는 교과목이다.
- 현실 세계의 역동성과 구체성을 직접 체험하는 능동적인 학습활동을 통해 지역 사회의 다양한 현상과 문제점을 이해하고 학생들의 지역사회에 대한 공동체 의 식 및 시민의식, 지역사회 문제에 대한 민감성과 공감능력을 형성하는 것을 목 적으로 한다.
2. 과목 운영 계획(UCC제출 및 콘테스트 계획 설명)
3. 지원 특강 안내
주차 2 주제 지역사회 이해와 접근방법 강의자 안지영
학습목표 지역 사회를 이해하며, 이에 대한 접근 방법의 개념을 정리한다.
강의내용
1. 지역사회의 개념 설명
2. 지역사회프로젝트의 이론 및 실례 소개 3. 팀 구성 및 주제 설정 팀 워크
교수방법
1) 강의 2) 팀별 토론 3) 종합 토론
수업자료 1) ppt 2) 관련 영상 세부내용
2차시 1. 지역사회의 개념 및 이론 설명
- 지역사회 기반 학습(community-based learning)이란, “교육자들이 학교에서
가르치는 것들과 주위 환경, 즉 지역 기관들, 역사, 문헌, 문화유산, 자연환경 등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다양한 교수방법과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 지역사회 기반 학습의 방법에 관한 일반적인 네 가지 접근 방법
(1)교수적 연관(instructional connections): 교실에서 다루는 자료와 지역의 문 제, 맥락, 개념을 명시적, 의도적으로 연결함
(2)지역사회 통합(community integration): 지역 인사 초청, 지역 기관과 협력 등을
통해 지역사회의 자원을 학습경험에 활용
(3)지역사회 참여(community participation): 학생들이 직접, 적극적, 능동적으 로 지역
사회에 참여함으로써 학습하도록 함
(4)시민행동(citizen action): 지역사회 기반 학습의 가장 높은 수준으로 여겨지 기도
하는 유형으로, 학생들이 지역사회에서 배울 뿐 아니라, 배운 것을 다시 지역 사회에
영향을 주거나 변화시키는 데 활용
주차 3 주제 현장활동의 의의와 방법론 강의자 안지영
학습목표 현장활동 팀을 구성하고 지역사회에 관련된 자료를 토대로 주제를 선정할 수 있다.
강의내용 1. PBL 수업의 의미 및 수업 절차 안내 2. 팀 별 주제 설정 토론
교수방법
1) 강의 2) 팀별 토론 3) 종합 토론
수업자료 1) ppt 2) 관련 영상 세부내용
3차시
1. PBL 수업의 의미
- 기존 수업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지식기반사회에 부합하는 수업방식 - 수행방법
(1)문제를 제시 받음 (2)학습목표를 세움 (3)과제수행계획서를 작성
(4)과제수행계획서에 의한 학습진행 (5)학습한 내용의 상호공유
(6)주어진 문제의 해결안 제시, 발표 토론 (7)성찰저널 제작
주차 4 주제 스마트 폰으로 만드는 UCC 앱 강의자 김정미 기자 학습목표 UCC 활용의 필요성 및 제작 방식을 이해한다.
강의내용 UCC 앱, 스마트 폰으로 만들기 교수방법 1) 강의
2) 질의응답 수업자료 1) ppt
2) 관련 영상 세부내용
4차시
‘일상 속에서 아이디어를 체집하라!’ - 김정미 기자 특강 -UCC 앱, 스마트 폰으로 만들기 소개
주차 5 주제 각 팀별 주제 발표 및 의견교환 강의자 안지영 학습목표 현장활동의 의미를 숙지하고 이를 통해 각 팀별 현장활동 계획서를 작성한다.
강의내용 1. 팀별 주제 발표
2. 의견 교환 및 주제 확정 교수방법 1) 강의
2) 팀별 토론 수업자료 활동계획서
세부내용
5차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