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결론: 개선된 전공 글쓰기 수업 모형

전공 글쓰기 수업 모형을 제작한 후 실제로 다양한 전공과목에 투입하여 실시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첫째, 시범 수업 결과 애초의 수업 모형에서 크게 개선해야 할 점이 찾아지지 않았다.

둘째, 중간 결과물과 면담을 통한 글쓰기 지도라는 수업 모형의 두 핵심 요소들 은 실제로도 효과적이었다.

셋째, 두 핵심 요소들 이외에 수업 모형에 부가적으로 추가해야 할 요소는 발견 되지 않았다.

넷째, 수업 모형을 보다 더 세세하게 규정하는 것은 불필요하다.

다섯째, 두 개의 핵심 요소로 이루어진 모형은 보다 많은 전공 수업에 적용될

전공 글쓰기 수업 모형

1. 전공 글쓰기 수업은 전공 내용 수업과 글쓰기 수업을 결합한 수업이다.

2. 전공 글쓰기 수업은 모종의 글쓰기 이론에 대한 수업이 결코 아니다.

3. 전공 글쓰기 수업은 전공 수업의 담당교수가 글쓰기 과제를 부여하면서 여 러 단계의 중간 결과물을 면담을 통해 검토해 주는 수업이다.

4. 전공 글쓰기 수업에는 여러 단계의 중간 결과물을 검토해 주는 일과 개별 학생(또는 여러 학생으로 이루어진 팀)과의 면담이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한다.

5. 최종 결과물로 제출될 과제 글의 종류는 각 전공과목의 특성에 따라 상이 하게 정해질 수 있다.

6. 중간 결과물의 단계와 제출 시기도 전공과목의 특성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 될 수 있다.

7. 중간 결과물의 검토 결과는 면담 방식으로 학생들에게 전달되어야 한다.

8. 전공 글쓰기 수업이 처음 실시될 때에는 담당교수의 시간적 부담이 필연적 으로 뒤따르지만 점차적으로 시간적 부담은 줄어들게 된다.

9. 전공 글쓰기 수업에서는 학생들로 하여금 글쓰기 과제를 작성하게 함으로 써 전공 내용을 보다 깊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교육할 수 있고 또한 수업 내 용을 실제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교육할 수 있다.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일반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개선된 전공 글쓰기 수업 모형은 다음과 같이 간략하게 요약될 수 있다.

위의 수업 모형은 실제 전공과목에 매우 쉽게 적용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보고서 과제를 부여하고 있었던 전공과목이라면 최종 결과물만 제출받는 기존의 방식대신 한 두 단계의 중간 결과물을 제출토록 한 후에 제출된 글을 보면서 학생과 면담을 하는 방식을 취한다면 원하는 교육목표에 더 쉽게 도달할 수 있을 것이다. 수강생이 많아 개별 면담이 어렵다면 시범 수업처럼 조를 편성하여 공동의 중간 결과물을 작성하게 한 후에 조 단위로 면담할 수도 있다. 초기 단계의 중간 결과물 검토는 글의 분량이 많지 않기 때문에 발표와 토론 방식으로 중간 결과물을 검토해 줄 수도 있다. 기존의 전공과목에 이와 같은 모형을 적용할 때 바뀌는 사항은 단지 한두 주의 수업시간이 면 담을 위해 사용되는 것밖에는 없을 것이다. 더욱이 연구실이 있는 전공교수라면 시범 수업을 담당했었던 교수들처럼 수업 시간 외의 시간을 면담시간으로 사용할 수도 있어

내용 강의를 위한 수업 시간의 부족은 피할 수 있을 것이다. 최종 결과물만 제출받아 채점만 하는 대신 보고서를 작성하는 중에 있는 학생을 담당교수가 만나 한두 번의 교 육적 개입을 하는 것이 이 전공 글쓰기 수업 모형의 핵심이다.

‘전공 글쓰기’에서 ‘글쓰기’라는 말이 들어 있다 해서 전공 글쓰기 수업이라는 것을 담당교수가 전공 수업 중에 글을 어떻게 써야 하는지를 강의하는 수업이라고 오해해서 는 안 된다. 여기서 개발된 전공 글쓰기 수업 모형에 따른다면 담당교수가 수업 중에

‘글쓰기’에 대해 한 마디도 설명하지 않으면서도 학생들이 전공 학문 영역에서 보다 더 훌륭한 글을 쓸 수 있도록 지도할 수도 있다. 글쓰기가 전공인 전공 교수는 없을 것이 다. 국문학과 전공 교수도 전공이 국문학이지 글쓰기는 아닌 것이다. 도무지 글쓰기라 는 전공 학문 영역이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모든 전공 교수들은 자신의 학문 영역에서 글쓰기를 통해 성공적으로 의사소통하고 있다. 이때의 글쓰기라는 것은 학문적으로 탐구 연구하여 얻게 된 것이 아니다. 전공 교수가 가지고 있는 것은 ‘전공 글쓰기 지식’이 아니라 ‘전공 글쓰기 역량’인 것이다. 전공 교수에게 강의를 통해 전달 할 ‘전공 글쓰기 지식’이 없다는 것은 너무나도 당연하다. 이미 앞서 언급했지만 도무 지 그런 지식의 정체 자체를 알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분명히, 그리고 매우 분명히 전공 교수에게는 ‘전공 글쓰기 역량’이라는 것이 있다. 그것이 없다면 전공 교수가 아 니기 때문이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전공 글쓰기 수업 모형은 바로 그 역량이 발휘될 수 있는 계기가 되는 통로에 불과한 것이다. 중간 결과물과 면담이라는 단 두 개의 요 소를 기존의 전공과목에 투입함으로써 전공 글쓰기 수업은 시작될 수 있는 것이다.

실제 인용한

참고문헌

김명환 외 2인, 미국 대학들의 글쓰기 프로그램 연구 ,

열린지성

17 (2009-05-20), http://oge.snu.ac.kr/site/func/view.htm?num=36&cate=curriculum#(2012-02-06 접속), 서울대학교 기초교육원.

김진해, 교양 글쓰기와 전공 글쓰기의 연계성 연구 ,

인문학 연구

13 (2008), 경희대 학교 인문학연구소.

김창원,

학술적 글쓰기 입문

, 시와 진실, 2012.

원만희, 대학 글쓰기 교육의 개선 방향과 방법에 관한 시론 ,

교양교육연구

3-1 (2009), 한국교양교육학회.

이용숙 외 3인, 덕성여자대학교 문화인류학과의 연구방법 교육: 현장연구실습 교육을 중심으로 ,

한국문화인류학

42-2 (2009), 한국문화인류학회.

정소연 외 4인, 이공계 전공글쓰기 교육의 실태 및 현실적인 교육방안: 서울대학교와 해외 대학(MIT, Stanford)의 사례를 중심으로 ,

공학교육연구

14-4 (2011), 한 국공학교육학회.

Bullock, Richard,

The St. Martin‘s Manual for Writing in the Disciplines - A Guide for Faculty,

Bedford, 1994.

Deane, Mary 외 1인, “Writing in the Disciplines: Beyond Remediality”, 수록: Mary Deane 외 1인 (엮음), Writing in the Disciplines, Palgrave Macmillan, 2011.

Friedrich, Patricia (엮음),

Teaching Academic Writing,

Continuum, 2008.

Gottschalk, Katherine 외 1인,

The Elements of Teaching Writing - A Resource for Instructiors in All Disciplines,

Bedford, 2004.

John S. Knight Institute for Writing in the Disciplines

, http://www.arts.cornell.edu/

knight_institute (2011-11-28 접속).

Russell, David R., “The Writing-Across-the-Curriculum Movement: 1970-1990”, 수록:

Terrz Myers Zawacki 외 1인(편),

Writing across the curriculum

, Bedford, 2012.

과목코드 001876 과목명 현대문학사 학점/시간 3/3 이수구분 전공선택

☎ 연락처 e-mail uzuluzul@duksung.ac.kr 강의개요

교수목표

애국계몽기이후부터196,70년대에이르는한국근대문학의흐름을개괄하는한편각시기별대표작 가와작품의특징을파악하여문학사의주조(主潮)를탐색함으로써한국근대문학의흐름에대한큰 틀의이해가가능토록한다.

교재 *민족문학사연구소,『새민족문학사강좌-하』,창작과비평사,2009 *권영민,『한국현대문학 사1.2』,민음사,2002.*김윤식,『한국현대문학사』서울대출판부,1997

참고교재

* 과제물 추후공지

평가기준

평가방법 가중치 만점

과제1 30 30

기말 40 40

과제2 20 20

출석 10 10

강의주제 및 내용 준비 사항

1 교과목소개

2 근대문학의기점

과제1-최원식,민족문학의근 대적전환(강좌하)요약하기:

무작위발표및질의응답

3 애국계몽기시가

-개화기인가애국계몽기인가

근대이행기한국시문학의특 성(이승하외,[한국현대시문 학사],소명출판,2005)

4 애국계몽기서사문학 -이인직인가이해조인가

1조발표-7조질의

*발표조는1주일전에발표문 배포

질의조는문서로질의응답내 용을정리해낼것

5 1920년대

-장르선택의조건그리고카프(KAPF) 2조발표-8조질의

6 1930년대-1(시)

-임화,김기림,박용철 3조발표-9조질의

7 1930년대-2(소설)

-근대주의의두양상:리얼리즘과모더니즘 4조발표-10조질의

8 암흑기

-고전의발견,친일의논리 5조발표-11조질의

<부록 1> 인문과학대학 국문학과 시범 수업 계획서

2012학년도 1학기 담당교수: 이명찬

9 중간고사 과제2-한국문학에서의탈식 민주의의의의(A45매내외) 10 해방기(1)

-나라만들기의희망과좌절 6조발표-1조질의

11 해방기(2)

-민족주의의정체 7조발표-2조질의

12 전후의대응

-애비없는세대의고투 8조발표-3조질의

13 4.19세대의전략

-문학에있어서의정치복권 9조발표-4조질의

14 산업화시대의문학(1)

-민중,민주그리고지식인 10조발표-5조질의

15 산업화시대의문학(2)

-다양성과위기의식 11조발표-6조질의

16 기말고사

기말과제-발표문수정보완후 제출

*지적사항의수용여부와내용 의변모양상에주안점을둘것

과목코드 004829 과목명 윤리학과사회철학 학점/시간 3/3 이수구분 전공선택

연락처 이메일로 연락 e-mail Whan@duksung.ac.kr

강의개요 교수목표

윤리학과 사회/정치철학은 철학의 가장 실천적인 분야라고 할 수 있다. 규범 윤리학은 무엇이 좋은지, 옳은지를 탐구한다. 실천 윤리학은 윤리적 논증을 우리 생활에 적용하는 분야이다. 그리고 사회/정치철학은 윤리 이론을 바탕으로 정의란 무엇인지, 어떠한 사회 /정치 체제가 공정한지 등을 탐구한다. 본 강좌는 윤리학과 사회/정치철학의 기본적인 이론을 학습한 후, 각 이론의 기본적인 논증에 대해 검토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복잡한 사회/정치적 문제와 쟁점들의 배경에 어떠한 윤리적 직관과 이론이 자리하는지를 이해한 후, 이를 바탕으로 쟁점들에 대한 판단을 내리는 윤리적 추론을 연습할 것이다.

교재

마이클 샌델, 정의란 무엇인가?, 김영사/ 아리스토텔레스, 니코마코스 윤리학/ 칸트, 실 천이성비판/ 피터 싱어, 실천윤리학, 철학과 현실/ 존 롤즈, 정의론, 이학사 (또는 서광 사 구판 사회정의론)/ 로버트 노직, 아나키에서 유토피아로 등에서 발췌

참고교재 최훈, 벤담 & 싱어, 김영사

* 과제물

소논문 2회: 각 1-2쪽 분량. 텍스트에 대한 비판을 논증의 형태로 서술

기말논문: 5-6쪽. 한 주제를 정해, 이에 관한 텍스트를 분석/비판하고 자신의 입장을 옹 호하는 논문. 제안서 제출 필수.

평가기준

평가방법 가중치 만점

출석 및 수업태도 20 100

과제 1 20 100

과제 2 20 100

기말보고서 40 100

강의주제 및 내용 준비 사항

1 교과 소개, 윤리학과 사회-정치철학의 주요 쟁점에 대한 소개와 설명, 고등학교 윤리와 사회 간단 정리.

2 윤리학의 세 분야: 규범윤리, 실천윤리, 메타윤리 3 아리스토텔레스의 덕(virtue) 윤리

4 공리주의 (벤담, 밀, 싱어)

5 공리주의의 문제점과 칸트의 의무론 과제 1 제출 마감 6 의무론과 콜버그의 도덕발달 단계, 윤리적 딜레마와 윤리

적 추론

7 실천윤리학의 쟁점 1: 안락사, 낙태 8 실천윤리학의 쟁점 2: 채식주의, 환경문제 9 노직의 자유주의 1: 아나키와 최소국가

10 노직의 자유주의 2: 자유주의와 보수주의 과제 2 제출 마감

<부록 2> 인문과학대학 철학과 시범 수업 계획서

2012학년도 1학기 담당교수: 한우진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