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웰스는 제

2

차 세계대전을 지나며 구미권에서 상당히 빠르게 잊힌 인 물이다

.

일찍이 공산주의와 나치즘을 전체주의라는 하나의 항으로 묶어 비판하면서 문화적 냉전의 틀을 예비하고 있었던 조지 오웰(George Orwell) 은

웰스

,

히틀러

,

그리고 세계국가

(1941)라는 글에서 웰스의 낙관적인 평화주의가 얼마나 터무니없는 것이었는지를 지적한다

.

히틀러를 메시 아처럼 받드는 사람들은

,

적어도 히틀러가 희극 오페라의 우스꽝스러운 등장인물에 불과하다고 주장해온 웰스의 공상보다 훨씬 더 진실에 가깝 다는 것이다

.

그는 웰스와 같은 영국의 낙관적 자유주의자들이 전체주의 의 흥기를

이내 사라질 시대착오의 유령

이나 역사 진보의

일시적 일 탈

따위의 말들로 일축함으로써 진지한 대결을 회피해 왔다고 보았 다

.

124게다가 웰스가 늘상 말해온

효율적인 통제

와 인사 만반의 과학화 가 정작 나치즘의 형태로 현실화되는 가운데

,

웰스는 더 이상 유효하게 참조할 만한 지적 자원일 수 없었다

.

사실 오웰이 비판하려 했던 것은 인 간의 투쟁 욕구라든지 자기 땅을 지키려는 애국심의 실재성과 진지하게 마주하려 하지 않는 웰스식 태도 그 자체였다

.

그런 점에서 오웰의 비판 은

,

인간공동체 내부에서 빚어지는 갈등과 투쟁을 마치 없어질 것 취급 하고

정치적인 것(적과 동지의 구분)

을 죄악시하는 모든 보편주의 기획에 대한 칼슈미트의 비판과 상당히 닮아있다

.

한편

,

한국전쟁을

하나 되는 세계

를 향한 역사의 계시로 해석한 함석 헌은 자신의 평화관을 세속적인 형태로 재구성하는 가운데 청년기에 읽 은 웰스의 세계국가론을 복기하기 시작했다

. ‘

싸우는 평화주의자

였던 함석헌이 웰스와 똑같다고는 말할 수 없지만

,

그의 주장 속에서

인류

124 George Orwell, “Wells, Hitler and the World State”(1941), Collected Essays, Mercury Books, 1961, pp.161∼164.

이유를 막론하고 종국적으로

하나

가 되어야만 할 것이었다

. 20

세기 보 편주의의 유효성이 임계에 달했다고 말해지는 지금

,

125함석헌의 평화주 의를 다시 읽는 일은 과연 현재적인 의미를 지닐 수 있을까

.

적어도 그가 식민지

-

3

세계라는 자기 현실에 대한 절박한 인식 속에서 웰스의 서구 발 보편주의를 다른 형태로 되받아치려 했다는 점은 분명하다

. 1960

년 을 전후한 시기의 몇몇 글에서 웰스의 세계사 서술코드를 차용하던 데 서 더 나아가

,

그는 웰스의 세계국가론을 자신의

사상

속에 녹여 내고 재구성했다

.

인간이라면 누구나 평화의 소질을 지녔으며

,

가장 비 천하고 남루한 자가 새로운 가치의 질서를 개시할 수 있다는 함석헌의 생각은 그의 평화주의를 웰스와 다른 자리로 이끌어 갔다

.

진화론의 시 간적 위계를 뛰어넘어 인류라는 보편적 동시성의 지평을 발견하고자 했 던

3․ 1

운동 전후의 지적인 모험들126을 냉전과 발전이 얽힌 시간 속에 불러내 다시 사유하는 일이야말로 함석헌의 몫은 아니었을까

.

이 시기로 선

때늦은 지식

을 참조하고 또 재구성한 셈인데

,

함석헌은 바로 그러한 시대착오 덕분에 개발연대 한국의 지성사에 독특한 발자취를 남길 수 있 었던 것이다

.

125 김항, 「20세기의 보주의와 정치적인 것의 개념」, 종말론 사무소, 문학과지성사, 2016.

126 권보, 「육강식진화론의 , 」, 31일의 , , 2019, 210

∼221.

::

참고문헌

1. 기본 자료

동광, 동명, 매일신보

孤舟, 「영문단 최근의 경향」, 여명문예선집, 여명사, 1928.

이광수, 「동경잡신」, 이광수 전집10, 삼중당, 1971.

___, 「조선인 교육에 대한 요구」, 최주한, 이광수와 식민지 문학의 윤리, 소명출판, 2014.

함석헌, 성서적 입장에서 본 한국역사, 신생관, 1950.

___, 함석헌 저작집 1-들사람 얼, 한길사, 2009.

___, 함석헌 저작집 2-인간혁명, 한길사, 2009.

___, 함석헌 저작집 3-새 나라의 꿈틀거림, 한길사, 2009.

___, 함석헌 저작집 4-민중이 정부를 다스려야 한다, 한길사, 2009.

___, 함석헌 저작집 5-생각하는 백성이라야 산다, 한길사, 2009.

___, 함석헌 저작집 6-죽을 때까지 이 걸음으로, 한길사, 2009.

___, 함석헌 저작집 7-하나님의 발길에 채여서, 한길사, 2009.

___, 함석헌 저작집 11-세계의 한길 위에서, 한길사, 2009.

___, 함석헌 저작집 12-평화운동을 일으키자, 한길사, 2009.

___, 함석헌 저작집 13-우리 민족의 이상, 한길사, 2009.

___, 함석헌 저작집 18-먼저 그 의를 구하라, 한길사, 2009.

___, 함석헌 저작집 20-인생의 시, 한길사, 2009.

___, 함석헌 저작집 25-함석헌과의 대화, 한길사, 2009.

___, 함석헌 저작집 30-뜻으로 본 한국역사, 한길사, 2009.

大日本雄辯會 編, 鶴見祐輔氏大講演集, 大日本雄辯會, 1924.

宮島新三郞相田隆太郞, 改造思想十二講, 新潮社, 1922.

帆足理一郎, 社會文化と人間改造, 博文館藏版, 1926.

ウェルス, 北川三郎佐野學 外譯, 世界文化史大系 1∼5, 大燈閣, 1921∼1922.

H. G. Wells, 浜野輝 譯, 解放された世界, 岩波書店, 1997.

_____, Anticipation, London : Chapman&Hall, 1902(Ebook : http://www.gutenberg.

org/files/19229/19229-h/19229-h.htm).

_____, The War that Will End War, New York : Duffiend&Company, 1914(Ebook: http s://www.gutenberg.org/files/57481/57481-h/57481-h.htm).

_____, In The Fourth Year, New York : The Macmillan Company, 1918(Ebook : https://

www.questia.com/library/1571963/in-the-fourth-year).

_____, The Outline of History : Being a Plain History of Life and Mankind vol 12, New York : The Macmillan Company, 1920a․1920b(http://www.gutenberg.org/files/4 5368/45368-h/45368-h.htm).

_____, Salvaging of Civilization, London : Cassell&Co, 1921(https://www.gutenberg.or g/files/33889/33889-h/33889-h.htm).

2. 논문

권보드래, 「증립의 꿈, 1945∼1968」, 권보드래․천정환, 1960년을 묻다, 천년의상상, 2012.

김건우, 「토착 지성의 해방 전후」, 상허학보36, 상허학회, 2012.

___, 「해방 후 한국 무교회주의자들의 공동체 구상」, 사이19, 국제한국문학문화학 , 2015.

김미연, 「1920년대 식민지 조선의 H. G. 웰스 이입과 담론 형성」, 사이26, 국제한국문학 문화학회, 2019.

김항, 「20세기의 보편주의와 정치적인 것의 개념」, 종말론 사무소, 문학과지성사, 2016.

문지영, 「함석헌의 정치사상」, 민주주의와인권13-1,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2013.

반산건, 「오쿠마 시게노부의 동서문명론 사상과 교육실천」, 고려대학교 박사논문, 2004.

박양신, 「19․20세기 전환기 일본에서의 <제국주의>론의 제상」, 일본역사연구9, 일본 사학회, 1999.

박은재, 「‘국제연맹 연합(League of Nations Union)’과 전간기의 국제주의적 제국관」, 영 국연구41, 영국사학회, 2019.

서은혜, 「노동의 향유, 양심률의 회복」, 어문연구45-1, 어문연구학회, 2017.

오진석, 「해방 전후 최호진의 학문세계와 학술활동」, 연세경제연구21-2, 연세대학교경 제연구소, 2014.

이만영, 「한국 초기 근대소설과 진화론」, 고려대학교 박사논문, 2018.

이봉범, 「1960년대 권력과 지식인 그리고 학술의 공공성」, 서은주 외, 권력과 학술장- 1960년대∼1980년대 초반, 혜안, 2014.

이상록, 「함석헌의 민중 인식과 민주주의론」, 사학연구97, 한국사학회, 2010.

이철호, 「영성과 모더니티」, 한국학연구35,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장세진, 「7․4남북공동성명과 함석헌의 반국가주의적 평화개념」, 숨겨진 미래, 푸른역 사, 2018.

한용진, 「메이지기 오쿠마 시게노부의 한국교육론」, 교육문제연구26, 고려대학교 교

육문제연구소, 2006.

허혜정, 「H.G 웰즈의 근대유토피아론과 조선 사회주의 문예운동」, 비평문학63, 한국

비평문학회, 2017.

今井隆太, 「東亜協同体論と知識人新明正道東亜協同体の理想位置」, ソシオサイ エンス6, 早稲田大学大学院社会科学研究科, 2000.

Partington, John S., “Building Cosmopolis : The political thought of H. G. Wells”, PH.D dis- sertation, The University of Reading, 2000.

________, “H. G. Wells and the World State : A Liberal Cosmopolitan in a Totalitarian Age”, International Relations 17-2, 2004.

3. 단행본

권보드래, 31일의 밤, 돌배게, 2019.

김학재, 판문점 체제의 기원, 후마니타스, 2015.

박찬승, 한국근대정치사상사연구, 역사비평사, 1992.

박홍규, 함석헌과 간디, 들녘, 2015.

이상화, 20세기 영국 유토피아 소설 연구, 중앙대출판부, 1996.

이치석, 씨함석헌 평전, 시대의창, 2005.

정주아, 서북문학과 로컬리티, 소명출판, 2014.

하타노 세츠코, 최주한 옮김, 무정을 읽는다, 소명출판, 2008.

빌헬름 얀센, 한상희 옮김, 코젤렉의 개념사 사전5-평화, 푸른역사, 2010.

T. H. 헉슬리, 이종민 옮김, 진화와 윤리, 산지니, 2012.

Orwell, George, Collected Essays, London: Mercury Books, 1961.

Ross, William T., H. G. Wells`s World Reborn : The Outline of History and its Companions, Selinsgrove: Susquehanna University Press, 2002.

::

국문초록

이 논문은 함석헌 평화주의의 한 사상적 기원으로서

H. G.

웰스에 대 한 그의 독서경험에 주목할 것을 제안했다

. 타임머신 의 작가로 잘 알

려진 웰스는 제

1

차 세계대전 이후

세계문화사대계

(The Outline of Histor

y)

(1920)를 출간한다

.

함석헌은 오산학교 재학 시절 이 책을 통해 웰스와

만난다

.

이 독서경험은 역사에 대한 그의 관심

,

멀게는 한국전쟁 이후 그 가 자신의 기독교관을 수정하고 평화주의 사상을 세속화하는 과정에 영 향을 미쳤다

.

웰스는 국제연맹과 같은

자유주의적 평화기구

를 최소 기 반으로 삼아

사회주의적 세계국가

를 형성한다는 독특한 입장에서 수많 은 정치적 저술을 남겼고

,

그의 세계국가론은

1920

년대 조선에서

개조 론

으로 수용되었다

.

이 수용의 경로로서 주목되는 번역

매개의 주체가 사노마나부로 대표되는 동경제대 신인회 그룹과 우키다 카즈타미로 대 표되는 와세다의 문명론자들이다

.

이 논문에서는 후자의 수용 경로에 주 목하여

,

인류적 연대를 위한

내적 자질

의 계발을 통해 세계국가를 달성 하고자 한 웰스의 진화론적 점진주의가 서북지역의 지식인들에게 상당 히 친숙하게 읽힐 만한 것이었음을 강조하였다

.

세계문화사대계 는 세계주의 정신을 대중적으로 보급하기 위한 목

적으로 쓰였고

,

내셔널리즘과 현실주의 정치를 부차화하면서 문화 영역 에서 인류적 통합을 예시하는 사적 관점을 제시했다

.

이는 소수의 엘리 트에 기대를 걸었던 웰스가 파리평화회의와 국제연맹에 실망하면서 자 신의 세계국가 방법론을 크게 수정한 결과였다

. 세계문화사대계 는 식

민지 지역도 세계국가의 일원으로 불러세우려는 시도의 일환이었지만

,

여전히 그는 연맹이 전 지구적 공권력으로서 식민지 지역을 지도

개발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