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과학조사자료 현황

Dalam dokumen 국토해양부 소관 연구개발사업 (Halaman 70-90)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1. 과학조사자료 현황

가. 배타적경제수역 해양광물자원 조사 (1) 사업개요

□ 사업수행기관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목적

◦ EEZ 경계획정 전략수립에 필요한 해양광물자원조사 및 자원배태 퇴적구조 조사

◦ 해양광물자원 분포도 작성 및 정보시스템 구축

◦ 해양정책연구 및 자원탐사 기반기술 개발

□ 사업기간

◦ 1997년-2011년

(2) 현장조사 현황

□ 1997년 동해중부 지역을 시작으로 우리나라 배타적경제수역 경계를 따라 개괄 적인 탐사를 수행

□ 1997년부터 2002년까지는 년차별 보고서를 제출하였으며, 2003년부터 2008년 까지의 관측내용은 2008년 종합보고서로 제출

□ 2012년도 사업부터는 “한국관할 해역 지질구조 및 해양지질조사” 사업으로 통 합 됨

자료항목 자료형태 관측기기 관측시기

심부탄성파 이미지 다중탄성파장비 1997~2011

중력 수치,

그래프

선상중력계 +

인공위성자료 1997~2011

자력 수치,

그래프 선상자력계 1997~2011

천부탄성파 이미지 chirp 1997~2011

시추 퇴적물

∙ 일반사진 이미지

Piston core 1997~2011

∙ 주상도 이미지

∙ X-ray radiograph 이미지

∙ 입도분석, 함수율 수치, 그래프

∙ 유기탄소, 탄산염 (TOC, C/N, CaCO3)

수치, 그래프

∙ 중사함량, 성분분석

수치, 그래프

∙ 중금속 수치,

그래프 표 3.2. EEZ 해양광물자원 조사 자료현황

그림 3.1. EEZ 광물자원조사 연구 관측해역도

일 시 정 점 측선거리 시작 종료 구분 시작점(°) 종료점(°) (㎞)

19990412 19990417

위도 38.3738350 38.5658517 경도 133.1946831 133.3601667 25.7 위도 38.5945330 39.0254997 경도 133.3997664 133.7588833 57.1 위도 39.0256978 39.1955149 경도 133.7588829 133.4654997 31.6 위도 39.1955167 38.1597155

138.7 경도 133.4652170 132.5722170

위도 38.1596841 38.1604506 경도 132.5719166 131.9473834 54.7

20000418 20000420

위도 37.8811113 38.8472215

107.4 경도 132.6618002 132.7251667

위도 38.8472215 39.0508330 경도 132.7251667 133.6394003 82.4 위도 39.0508330 39.6777790 경도 133.6394003 133.6498331 69.6 위도 39.6777790 39.3897224 경도 133.6498331 133.4918748 34.7 위도 39.3897224 39.2202756 경도 133.4918748 133.6582524 23.6 표 3.3. EEZ 광물자원조사 연구의 탄성파탐사 자료목록 (예)

나. 황해-동중국해 퇴적물 이동현상 및 퇴적환경 연구 (1) 사업개요

□ 사업수행기관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목적

◦ 해양영토 경계획정을 위한 분쟁에 대비하여 한 ‧ 중간 황해‐동중국해 퇴적물 기원에 따른 경계범위의 자료구축

□ 사업기간

◦ 1998년-2011년

(2) 현장조사 현황

□ 1998년 ‘황해 퇴적역학 및 퇴적환경에 대한 한 ‧ 중 국제공동연구’는 황해퇴적 물의 기원 및 경계를 구분하려는 목적으로 시작

□ 2003년에 이르러 연구의 주된 목표가 ‘해양경계획정’을 위한 자료구축으로 변 환

□ 2012년도 사업부터는 “한국관할 해역 지질구조 및 해양지질조사” 사업으로 통 합 됨

자료항목 자료형태 관측기기 관측시기 표층퇴적물

입도분석

∙입도별 % (Folk)

∙수평분포도 grab 1998~2011

표층퇴적물 광물분석

∙광물함량 (illite, chlorite, kaolinite, aragonite 등)

∙수평분포도

grab

x-선 회절분석 2007

표층퇴적물 유기물분석

∙Total Organic Carbon(%)

∙Total Nitrogen(%)

∙δ13C

∙δ15N

2007

표층퇴적물 원소(중금속)

∙원소(중금속)별 함량

(%,mg/kg) grab 1998~2011

천부지층탐사 ∙이미지 or Data file Chirp

Sparker 1998~2011 시추퇴적물

입도분석

∙주상도

∙X-ray radiograph

∙입도별 % (Folk, Yi)

core 1998~2004 시추퇴적물

원소(중금속)

∙원소(중금속)별 함량

(%,mg/kg) core 1998~2004

표 3.4. 황해퇴적물 이동현상 연구 자료현황

일 시 정점번호

지 점

위도(°) 경도(°)

1998

B01 36.3535000 125.7947000 B02 36.3366700 125.4943000 B03 36.3315000 125.1662000 B04 36.3355000 124.8295000 B05 36.3388300 124.5042000 B06 36.3400000 124.1705000

1999

C01 35.2525500 125.5830000 C02 35.2501300 125.1660000 C03 35.2502200 124.8335000 C04 35.2486000 124.4845000 C05 35.2482300 124.1328000 C06 35.2500500 123.7834000 C07 35.2498500 123.4340000 C08 35.2488500 123.0835000 C09 35.2508000 122.7343000 C10 35.2491000 122.3675000 표 3.5. 황해퇴적물 이동현상 연구의 표층퇴적물 입도분석 자료목록 (예)

다. 대륙붕 한계조사 연구 (1) 사업개요

□ 사업수행기관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목적

◦ 대륙붕 경계획정 협상을 위한 유엔대륙붕한계위원회 문건 제출

□ 사업기간

◦ 2000년-2005년

□ 사업추진 근거

◦ 유엔해양법협약 제 76조에 근거, 연안국의 200해리 이원의 확장된 대륙붕 (extended continental shelf)을 주장하기 위해서는 대륙주변부, 대륙사면의 끝, 퇴적층의 정확한 두께, 정확한 영해기선, 2,500m 등심선을 확정하기 위한 명확한 수심자료가 필요

◦ 남해의 남부지역인 동중국해는 우리나라 육지영토의 자연연장을 주장할 수 있는 지역으로, 외측한계 권리를 주장하기 위해서는 2009년 5월 13일까지 관 련된 문서를 유엔대륙붕한계위원회에 제출

(2) 현장조사 현황

□ 남해해역(중부 및 북부 오키나와 트러프) 및 황해해역(한국‐중국 중간 수역)에 대한 심부탄성파, 천부탄성파 조사

자료항목 자료형태 관측기기 관측시기

천부탄성파 SEG-Y File chirp 2000~2004

심부탄성파 SEG-Y File 다중탄성파장비 2000~2004

중력 이미지 or

Data File 선상중력계 2000~2004

자력 이미지 or

Data File 선상자력계 2000~2004 표 3.6. 대륙붕 한계조사 연구 자료현황

그림 3.3. 대륙붕 한계조사 연구 현장조사 해역

일 시 정 점

측선거리

시작 종료 구분 시작점(°) 종료점(°) (㎞)

2000 2000

위도 31.7959000 30.6751083

124.2 경도 127.7499611 127.7499361

위도 30.4756556 28.9940778

164.2 경도 127.7500028 127.7500083

위도 28.9763278 27.9933861

108.9 경도 127.7499361 127.7499944

2001 2001

위도 28.9743389 29.7301083

134 경도 127.2567333 126.1790361

위도 29.9207917 29.1665250

168.1 경도 125.8857417 127.3911556

위도 29.3643556 30.1130806

166.6 경도 127.5153000 126.0219139

위도 30.4578250 29.5562611

200.6 경도 125.8469139 127.6506361

위도 29.7537083 30.6567972

200.6 경도 127.7757944 125.9695056

위도 30.8505556 29.9453056

200.6 경도 126.1036917 127.9120750

위도 30.1424333 31.0493500

200.6 경도 128.0382528 126.2273417

표 3.7. 대륙붕 한계조사 연구의 탄성파탐사 자료목록 (예)

라. 동중국해 북부분지 지질구조 연구 (1) 사업개요

□ 사업수행기관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목적

◦ 대륙붕 권원 확보 및 중국과 대륙붕 경계협상을 대비한 과학적 근거자료 확보

□ 사업기간

◦ 2007년-2011년

□ 사업추진 근거

◦ 관계부처대책회의(2005.11.11)에서 동중국해 롱징 가스전 부근해역과 우리나 라 7광구 사이에 지하광맥이 연결되어 있는 지에 대한 자료수집의 시급성 지 적. 이에 따라 외교통상부는 해양수산부에 동중국해 롱징 가스전부근 해양과 학조사를 조속히 시행 할 것을 요청(2006.3.6)

(2) 현장조사 현황

□ 기존 탄성파자료 및 신규 탄성파탐사 자료 해석을 통한 퇴적분지 해석

□ 한 ‧ 중 공동 동중국해 북부분지 해양탐사

□ 2012년도 사업부터는 “한국관할 해역 지질구조 및 해양지질조사” 사업으로 통 합 됨

자료항목 자료형태 관측기기 관측시기

천부탄성파 SEG-Y File chirp 2007~2011

심부탄성파 SEG-Y File 다중탄성파장비 2007~2011

중력 이미지 or

Data File 선상중력계 2007~2011

자력 이미지 or

Data File 선상자력계 2007~2011

표 3.8. 동중국해 북부분지 지질구조 연구 자료현황

그림 3.4. 동중국해 북부분지 지질구조 연구 관측해역도

일 시 정 점

측선거리

시작 종료 구분 시작점(°) 종료점(°) (㎞)

2007 2007

위도 32.8229000 31.5835944

183.7 경도 125.1603972 126.4548806

위도 31.7471361 32.9503917

178.4 경도 126.5717750 125.3126556

위도 33.0693194 31.9235028

169.5 경도 125.4864361 126.6808472

위도 32.0768639 33.1907667

164.6 경도 126.7920972 125.6321806

위도 33.2573861 32.1982861

156.3 경도 125.7772250 126.8786528

위도 31.3259417 32.7098917

175.1 경도 126.2690583 127.1620056

위도 32.6944333 31.9554750

115 경도 127.1677472 126.3105667

위도 31.9439333 31.9545417

13.4 경도 126.2704611 126.1283861

표 3.9. 동중국해 북부분지 지질구조 연구의 탄성파탐사 자료목록 (예)

마. 국가해양기본도 작성 (1) 사업개요

□ 사업수행기관

◦ 국립해양조사원

□ 목적

◦ 해상교통안전 확보와 영해ㆍ대륙붕 및 경계수역 획정, 해양개발과 해양산업 증진, 국가 해양 정책 수립 등에 필수적인 해양 자료 확보ㆍ제공 및 해양 정 보 인프라 구축

□ 사업기간

◦ 1995-2011년

(2) 현장조사 현황

□ 우리나라 관할해역(375,000㎢)에 대한 기본도 작성을 위해, 1996년 동해를 시 작으로 한반도 주변해역의 해양조사를 연차적으로 실시

◦ 1996-1997; 동해해역

◦ 1998-1999; 황해해역

◦ 2000-2004; 남해해역

◦ 2005; 여수남부해역

□ 조사방법

◦ 해저지형, 천부지층, 지자력, 중력탐사는 경도 1´간격(주측심), 위도 10´간격 (검측심)으로 관측 수행

◦ 천부지층 탐사단면 중 특징적인 30개 정점에서 퇴적물 시료 체취

□ 산출자료

◦ 해저지형도

◦ 중력이상도

◦ 지자기 전자력도

◦ 천부지층

자료항목 자료형태 관측시기 관측위치

해저지형 DXF

1996~계속 한반도 전해역

중력 DXF

자력 DXF

천부탄성파 DXF

표 3.10. 국가해양기본도 자료현황

그림 3.5. 국가해양기본도 작성의 조사해역

도 엽 명 도엽번호 계획년도

(원판제작) 간행년도 비 고

황해중부B 4716 '99 '99

동해중부C 4746 '99 '99

황해중부A 4715 '00 '00

황해남부B 4714 '00 '00

동해중부A 4735 '01 -

황해남부A 4713 '01 -

제주남부C 4721 '02 -

동해중부B 4736 '02 -

동해중부D 4745 '03 '03

제주남부A 4712 '03 '03

제주남부B 4722 '03 '03

제주부근 4723 '04 -

대한해협부근 4734 '06 '06

남해서부 4724 '08 '08

표 3.11. 국가해양기본도의 자료목록

바. 어업자원통계 (1) 개요

□ 수행기관

◦ 국립수산과학원

□ 목적

◦ 어종의 발생단계와 생활주기를 연구하여 어업활동과 시책 수행에 보다 쉽고 편리하게 활용하기 위함.

(2) 자료 현황

□ 42개종(어류, 갑각류, 연체류)의 어획량 정보

□ 2002~2008년까지의 월별 어업통계

□ 1/2° 격자의 연도별, 월별 자원량 자료

자료항목 자료형태 관측연도 어종수 관측위치

어업자원도 도서 2002~2008 42 한반도

전해역 표 3.12. 어업자원 자료현황

그림 3.6. 어업자원자료의 예시화면

사. 해저지질도 작성 (1) 사업개요

□ 사업수행기관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목적

◦ 체계적 해저개발, 영토권 보존 및 확보를 위한 우리나라 예상 관할해역에 대 한 해저지질도 작성

□ 사업기간

◦ 1979-2010년

(2) 현장조사 현황

□ 우리나라 예상 관할해역에 천부탄성파, 중력, 자력, 시추퇴적물 조사 수행

□ 조사자료를 이용하여 해저지질도 도면 작성 및 인터넷 GIS를 통한 주제도 서비 스 실시

□ 산출자료

◦ 퇴적물특성 분포도

◦ 해저퇴적물 등층후도

◦ 자력특성분포도

◦ 중력특성분포도

◦ 탄성파 탐사 단면해석도

자료항목 자료형태 관측기기 관측시기 자료관리

천부탄성파 chirp

1979~ 도면 및 GIS 서비스

중력 선상중력계

자력 선상자력계

표층퇴적물 지화학분석 grab

시추퇴적물 지화학분석 core

표 3.13. 해저지질도작성 사업 자료 현황

그림 3.7. 해저지질도작성 사업의 GIS 서비스

아. 동해 가스하이드레이트 개발 (1) 사업개요

□ 사업수행기관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목적

◦ 동해 가스하이드레이트 개발을 위한 자원부존지역 탐사 및 시추기술 개발

□ 사업기간

◦ 2005~계속

(2) 현장조사 현황

□ 가스하이드레이트 부존이 예상되는 동해 해역에 대한 천부탄성파 및 시추퇴적 물 탐사

자료항목 자료형태 관측기기 관측시기 관측량

천부탄성파 chirp

2005~계속

중력 선상중력계

자력 선상자력계

표층퇴적물 지화학분석 grab

시추퇴적물 지화학분석 core

표 3.14. 동해 가스하이드레이트 사업 자료현황

2. 해양영토관련 과학조사자료 수집

Dalam dokumen 국토해양부 소관 연구개발사업 (Halaman 70-90)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