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국외 연구개발 사례

Dalam dokumen 국토해양부 소관 연구개발사업 (Halaman 43-55)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2. 국외 연구개발 사례

□ 미국 Coastal and Marine Geology Program Internet Map Server

미국의 USGS(US Geological Survey)에서는 대서양, 태평양, 미동부, 미중부, 미서 부, 멕시코만의 EEZ와 관련된 기존 연구결과 자료들을 DB로 구축하여 관리하고 있 으며, 결과를 제공하기 위해 CMGP(Coastal and Marine Geology Program) Internet Map Server를 운영하고 있다. 미국 EEZ 경계 자료를 비롯하여 지질조사자료, 표층 퇴적물 관측정보, 수심정보 등을 제공하고 있다. 정보제공용 웹서버로 ArcIMS를 사 용하고 있으며, 기존 자료를 이용해 가공된 shape 파일을 제공하면서 GIS 특성을 살 려 다양한 layer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림 2.4. 미국 CMGP Internet Map Server

□ 미국 Geospatial Data and Service

미국 NGDC(National Geophysical Data Center)에서는 Geospatial Data and Service를 통해 다수의 해양지질 및 지구물리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우리나라 주변 해역에 대한 자료로는 수심, 중력, 자력, 탄성파, 지질탐사 자료가 있으며, GIS 표출 화면에서 자료를 선택하면, 관련 관측 데이터와 metadata를 다운로드 할 수 있도록 서비스 하고 있다.

그림 2.5. NGDC의 지구물리자료 서비스

그림 2.6. NGDC 자료서비스의 다운로드 기능

자료명 관측시기 자료형태 사이트주소 Bathymetry

1939 ~ 2013

Image, MGD77,

PDF

http://maps.ngdc.noa a.gov/viewers/geoph

ysics Magnetics

Gravity

Single Channel Seismic Reflection

CDP Seismic Reflection Side Scan Sonar Seismic Refraction Digital Shot Pt Navigation 표 2.1. 미국 NGDC 자료제공 현황

□ 미국 Marine Geoscience Data Service

미국에서는 NSF(National Science Foundation) 예산으로 수행한 연구사업에서 생 산된 지구과학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MGDS(Marine Geoscience Data Service) 를 구축, 운영하고 있으며, 현재 총 278,063개의 파일을 일반인에게 공개하고 있 음. MGDS를 검색하면 한반도 해역 자료를 추출할 수 있으며,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에서 관측한 동해의 천부탄성파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그림 2.7. 미국 MGDS 서비스

그림 2.8. Texas Austin 대학의 동해 탄성파 자료

자료명 관측시기 자료형태 사이트주소

stacks+migrations

1973 ~ 2013

Image, CSV, ASCII, SEG-Y

http://www.ig.utexas.

edu/sdc/msi OBS

(Ocean Bottom hydrophone and/or Seismometor record)

Chirp & 3.5kHz scs

(single channel seismic) strips

sonobuoys shots-field

표 2.2. 미국 MGDS 자료제공 현황

□ 일본 JAMSTEC Data Portal

일본 JAMSTEC에서는 기관차원의 관측자료 서비스를 위하여 JAMSTEC Data Portal을 운영하고 있으며, 해양학 전 분야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지질 및 지구물리 자료의 경우에는 동해에서 관측한 탄성파자료, 중력자료, 자력자료, 시추코 아 자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그림 2.9. 일본 JAMSTEC Data Portal의 중력 관측정보

그림 2.10. 일본 JAMSTEC Data Portal의 시추퇴적물 관측정보

자료명 관측시기 자료형태 사이트주소 Bottle Sampling

1982 ~ 2012

csv, ascii, 이미지,

pdf

http://www.ig.utex as.edu/sdc/msi Bathymetry

Cruise Track CTD Dive Point Deep-Sea Images

Gravity Line

Holes Drilled by CHIKYU LADCP

Land Atmospheric Composition Land Solid Earth

Land Vegetation Land Weather Land Station (other)

Magnetics Line Marine Biological Sample

Ocean Meteorology Line Ocean Time Series Primary Production

Rock Sample Sea-Bottom Mooring

Sediment Core Sub Bottom Profiler (Sub)Surface Mooring

Underway ADCP Underway pCO2 Underway TCO2

Underway Thermo Salinograph XBT

XCTD

표 2.3. 일본 JAMSTEC 자료제공 현황

□ 일본 JODC의 J-DOSS

일본 JODC(Japan Oceanographic Data Center)에서는 인터넷을 통하여 JODC에서 관리되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J-DOSS(JODC Data On-line Service System) 을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다. J-DOSS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는 해양물리, 생물, 지질 및 지구물리 등으로 다양하며 metadata와 관측데이터를 모두 검색하여 다운로드 받 을 수 있다.

그림 2.11. 일본 JODC의 J-DOSS 메인화면(좌) 및 검색화면(우)

자료명 관측시기 자료형태 사이트주소

Serial Station Data

(Water samplers, STD, CTD, BT)

1961 ~ 2012

Image, CSV, ASCII, SEG-Y

http://www.ig.ut exas.edu/sdc/msi Ocean Current Data

(Ship Drift, GEK, Shipboard ADCP) Tide Data (hourly height data)

Taxonomic Code

Marine Organisms Observation Data 500m Mesh Depth-sounding Data

Mooring Observation Data MGD77 Data

(Bathymetry, Geomagnetism, Gravity)

표 2.4. 일본 JODC 자료제공 현황

□ 중국 국가해양정보센터

천진에 위치하고 있는 국가해양정보센터는 국가해양국 직속의 공익성 사업기관으 로써 국가해양에 관한 정보자료를 관리하며, 해양경제・해양권익 유지와 국방군사 건 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국가해양정보센터는 국내외 해양정보 연구, 해양법 연구 참여와 초안 작성 및 정보제공, 해양관리와 해역 경계획정에 관한 전략・정책 및 기 준 연구, 국가 해양법 집행 감찰에 관한 정보체계화 수립 등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 다. 중국 국가해양정보센터 기능 중에 중요한 것은 중국 해양권익 유지 정책에 따라 주변국가와의 해양경계획정 정책결정에 조력, 해양입법과 지방정부 해상경계획정 방 법연구, 중국의 대륙붕과 인근해역 경계획정 정보관리 시스템 및 해양법과 법규에 관한 정보 연구이다.

그림 2.12. 경계획정시 과학조사자료 활용 사례 (중국)

□ 미국 The U.S. Marine Cadastre

미국의 BOEMRE(The Bureau of Ocean Energy Management, Regulation and Enforcement) 와 NOAA에서는 해양에너지 관련 해역의 관리와 이용을 목적으로 U.S. Marine Cadastre를 운영하고 있으며, 해양에 대한 공간계획을 위한 GIS로 해양 경계와 다양한 자료를 함께 묘사하여 해양영역의 이용에 대한 의사결정 자료를 제공 한다.

그림 2.13. U.S. Marine Cadastre 웹사이트

□ 미국 Shoreline Data Explorer

NOAA의 Coastal Services Center에서 관련되는 몇 개 주와 공동으로 개발한 시 스템으로 연안관리 집단으로 하여금 적기에 통합적인 의사결정과 분석을 하는데 중 요한 지역의 지리와 관련된 규정과 환경 공간정보를 효과적으로 검색 가능하게 한다.

그림 2.14. Shoreline Data Explorer 웹사이트

□ 캐나다 GeoConnections

GeoConnections는 Canadian Geospatial Data Infrastructure(CGDI)를 구축하기 위 한 국가적 협력 주체로써 캐나다의 지리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 도구 및 서비스를 온라인상에서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관련 정보가 편리하게 검색될 수 있도록 시스 템이 구성되어 있다.

그림 2.15. GeoConnections 웹사이트

□ 호주 AMSIS

Australian Marine Spatial Information System (AMSIS)는 호주의 해양경계를 정 의하는 업무를 지원하기 위하여 National Mapping에서 개발하였으며, 데이터 산출물 로서 호주의 Territorial Sea Baseline과 해양영역에 대한 자료를 엑세스할 수 있도 록 제공한다.

그림 2.16. AMSIS 웹사이트

□ 캐나다 RETScreen

청정 에너지 의사 결정 지원 센터(Renewable Energy Decision Support Center) 에서는 RETScreen라는 의사 결정 도구를 개발하여 초기 타당성 분석의 비용을 줄 이는데 기여하는 한편, 고객들이 보다 나은 결정을 하는데 필요한 전문 지식을 보급 하고, 교육을 통하여 효과적인 기술과 경제적 타당성 분석을 가능하게 한다.

그림 2.17. RETScreen 진행단계

□ 미국 HOMER

NREL(National Renewable Energy Laboratory)에서 개발된 HOMER는 도서지역 의 신재생 에너지 전원을 위한 복합 최적화 모델로 하이브리드 전력공급시스템의 최 적설계 및 운영을 위한 시뮬레이션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이는 전력시스템의 경 제성 평가에 의해 기술의 선택 및 가격변동, 에너지원의 사용가능성을 결정하는데 도움을 주는 정보를 제공한다.

그림 2.18. HOMER 홈페이지

□ 미국 Vipor

Vipor는 주어진 지형에서 power Source와 그 특성을 입력하고, 또 관련 수요지점 과 그 특성을 입력하여 비용최소화로 최적화된 시스템의 자료를 이용하면 어떤 망의 연계가 가장 수익을 극대화하는지를 반복적 계산(iteration)을 통해 찾아내어 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그림 2.19. Vipor

제2절 국내 기술개발 현황

Dalam dokumen 국토해양부 소관 연구개발사업 (Halaman 43-55)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