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국내 연구개발 사례

Dalam dokumen 국토해양부 소관 연구개발사업 (Halaman 61-66)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2. 국내 연구개발 사례

가. 해양자료정보 유통시스템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자원주제도 웹서비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는 각종 지질정보 주제도 제공을 위해 지질자원주제도 웹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해양분야에서는 해양지질도 사업의 자료를 활용하여 퇴적 물특성분포도, 해저퇴적물등층후도, 자료특성분포도, 중력특성분포도, 탄성파탐사 단 면해석도 등의 자료를 도면으로 작성하여 제공하고 있으며, 이 자료들을 GIS DB화 하였으며, 인터넷을 통한 정보서비스도 실시하고 있다.

그림 2.27. 지질자원주제도 웹서비스 화면

□ 국립해양조사원의 종합해양정보시스템(TOIS)

국립해양조사원(KHOA)의 TOIS(Total Oceanographic Information System)는 원 시자료 수집에서 최종 서비스까지 One-Stop 서비스 체계를 가지며, 실시간 DB구축, 대용량데이터 처리 및 해도 관리 등의 다양한 시스템과 연계를 통해 자체 업무효율 및 대국민 서비스 향상을 위해 구축한 시스템이다. TOIS의 기능들은 해양지리정보 를 생산·처리하는 관련 업무시스템과 밀접하게 연계되어 보다 효율적이고 통합적인 해양지리정보의 활용 및 관리가 가능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그림 2.28. TOIS 시스템 구성도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한국해양생물지리정보시스템

한국해양과학기술원에서는 한반도 해역에서 출현하는 해양생물종의 출현정보를 GIS 기반을 제공하기 위해 한국해양생물지리정보시스템을 2008년부터 개발하기 시 작하였으며, 2010년에는 아이폰에서 국내 해양생물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아이폰용 앱을 개발하였으며, 2011년에는 안드로이드용 앱을 개발하여 공개하고 있다. 한반도 해역에서 출현하는 10,000종 이상의 해양생물의 출현 위치를 Google API를 활용하 여 지도상에 표출하는 지리정보서비스를 구현하였다.

그림 2.29. 한국해양생물지리정보시스템의 아이폰 앱

□ 조석정보 및 해안사진 모바일 정보서비스

(주)비엔티솔루션과 국립해양조사원은 연안역의 조석정보와 해안에 설치된 CCTV 에서 촬영한 해안사진을 실시간으로 서비스하는 아이폰용 앱을 개발하여 서비스하고 있으며, 정보제공 위치 선택에서 Google API를 활용한 GIS 기능을 구현하였다.

그림 2.30. 아이폰을 이용한 조석정보, 해안사진 제공화면

나. GIS기반 의사결정지원시스템

□ 제주도 중산간보전지역관리시스템

◦ 방대한 수치자료와 도면자료의 효율적 관리 및 분석을 통해 보전 및 이용계획의 수립을 지원하고, 동시에 지역개발 및 환경보전 관련 업무를 지원하는 분석응용 시스템이다.

□ 토지적성평가 시스템

◦ 토지의 환경․생태적 특성, 물리적 특성, 공간 입지적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개발 토지가 갖는 환경적이고 사회적인 가치를 과학적으로 평가하는 공간의사결 정지원시스템이다.

□ 국유림영림계획 지원시스템 구축

◦ 웹기반 국유림 경영관리 평가기능 체계도입 및 기 개발된 ‘네오 영림’ 시스템에 산림지리정보체계(FGIS)를 도입한 입체적인 국유림경영 지원 시스템이다.

◦ 수작업에 의해 각 대장에 기입되어 있는 과거 영림계획 자료를 DB화하기 위해 DB구축용 입력 프로그램을 추가 개발하고 이를 통해 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하 였다.

□ 토지정책수립지원 시스템

◦ 한국토지공사에서 구축한 한국토지정보시스템(KLIS) 내 하나의 세부 시스템으 로서 지자체로부터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고 현황분석, 추이분석, 예측, 공간분석 등 통계 처리를 통한 합리적인 토지정책수립 마련을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 지자체에서 생산된 토지자료는 실시간으로 취합되며, 이때 토지정보의 검색 및 관리기능은 ODBC를 이용한 2-Tier구조로 Visual Basic으로 구현하였고, 공간 적 분포도 분석기능은 MapObjects를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 대기환경예측평가 시스템

◦ 2004년 환경부에서 구축한 시스템으로 국내 실정에 맞는 배출량 산정방법을 적 용하고, 시·공간 분석기능 및 배출량 저감 예측·평가 기능 등을 보완 발전시킴으 로써 과학적이고 효과적인 대기오염물질 저감대책 수립 및 추진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 물환경정보시스템

◦ 환경부는 환경정보화촉진사업으로 물환경정보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오염원자 료 정확도관리를 기반으로 수계별 DB 자료공유시스템, 보고서 지원시스템, 수질 예측 및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을 구축하였다.

◦ 오염원자료, 수질측정 자료를 표준화하여 제공하며, 타 부처의 수리·수문관측자 료, GIS자료 등도 공유 및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종합정보시스템이다.

□ 수자원관리 종합정보시스템

◦ 국토해양부는 수자원정보화를 위해 수자원관리 종합정보시스템을 구축 중에 있 으며, 수자원 관련분야의 모든 정보를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목 표로 기초자료관리시스템, 분석시스템, 정책지원시스템의 3개 분야별로 세부시스 템 개발을 추진 중에 있다.

다. 경제성 분석 시스템

□ 열병합발전시스템 경제성 평가 프로그램

◦ 시스템의 결제성 평가를 위한 기준 데이터를 설정한 후 이 기준 데이터의 활용 을 통해 경제성평가 Tool을 개발하여 정부의 에너지절약 정책에 적극 부응하고 입주자들에게 열 및 전기사용에 대한 에너지사용요금을 줄임으로써 공사의 이미

□ 건설프로젝트 구축을 위한 경제성 평가 프로그램

◦ 과거 데이터 및 비용을 결합 추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경제적 평가를 기반으로 모든 수입 및 지출에 대한 집계를 수행하고자 개념적 단계에서 건설 프로젝트 구축을 위한 경제성 평가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 콘크리트 전과정



배출량 및 경제성 평가 프로그램 개발

◦ 건설 산업의 주요자재인 콘크리트는 시맨트, 골재, 혼화재료 등의 자재 생산과정 에서부터 제조에 이르기까지 다량의



를 배출할 뿐만 아니라 향후 레미콘 출 하시에도



가 생성된다. 이렇게 각 단계에서 생성되는



에 대한 정량적 평 가를 위하여 최적설계기법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전과정



배출량 및 경제성 평가시스템 및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 축열시스템 도입시 경제성 평가 프로그램 개발

◦ 냉동기를 사용하는 산업체는 축냉시스템 적용을 고려할 경우 설치여부에 대한 타당성을 경제성측면에서 분석, 판단하는 과정에 도움을 주기 위한 경제성 평가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Dalam dokumen 국토해양부 소관 연구개발사업 (Halaman 61-66)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