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가. 국제적 요인

베트남과 미국 관계에서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변수는 국제환경, 즉 미국-중국-소련이 형성하는 역동적인 국제 역학관계였다. 특히 미소 관계와 중소 관계는 베트남의 대미 정책과 미국의 대베트남 정 책 변화에 매우 많은 영향을 주었다. 1978년 이후 미중 접근과 미소, 중소 관계의 악화는 미국이 베트남에 대한 강경한 관계를 지속하게

42) 권경희, “베트남-미국 관계정상화 과정에 관한 연구(1975-1995),” p. 265.

52 트럼프 행정부의 안보전략과 한반도 평화체제의 전망: 미국의 적대국 관계정상화 사례와 한반도에 주는 시사점

만들었고, 베트남의 미국과의 관계 개선 움직임도 그 노력에도 불구 하고 미국-베트남 관계는 호전되지 않았다.

특히 1978년 베트남의 캄보디아 침공 이후 미국은 인도차이나 반 도에서 베트남의 급격한 영향력 확대에 우려를 갖게 되었고, 특히 소련이 캄란만 해군기지와 다낭 공군기지를 확보함으로써 이 지역 세력균형에 커다란 변화가 올 가능성에 관심을 갖고 있었다. 또한 베트남과 중국 간 전쟁이 시작되면서 미국은 이 전쟁이 중소전쟁으 로 확대될 가능성을 우려하였다. 따라서 베트남의 캄보디아 침공과 중국의 베트남 침공에 모두 반대하고, 베트남군의 캄보디아 철수와 중국군의 베트남 철수를 요구한다는 입장을 명백히 하였다.43)

1980년 이후 미소 및 중소 관계가 완화되면서 베트남의 대미 정 책은 급격하게 변화하기 시작하였고, 미국에서도 베트남에 대한 인 식이 변화하기 시작하였다.44) 즉 베트남군이 캄보디아에서 철수하 기 시작하면서 미국과 베트남은 관계 개선을 위한 움직임을 본격적 으로 진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베트남은 적극적으로 관계 개선을 위 해 노력하였고, 미국의 베트남 경제제재 해제 조치가 뒤따랐다.

사실 베트남은 1978년 중국계 베트남 시민들을 추방하면서 중국 과의 무력충돌 가능성이 높아지자 미국과의 관계 개선을 추구하였 다. 게다가 1979년 중국이 베트남을 침공하면서 더욱 미국과의 관계 개선을 희망하였다. 여기에는 베트남이 그 동안 절대적으로 의존하 던 소련 및 COMECON 체제의 붕괴도 중요한 배경이 되었다.

냉전 붕괴 이후 국제환경이 변화하였는데 미소 관계 개선과 천안 문 사건 이후 미중 관계의 약화 속에 베트남은 ‘도이 모이’ 정책을 실시하였다. 미국 경제계에서 베트남의 투자환경 개선을 요구하였

43) The New York Times,February 19, 1979, p. 1, 재인용; 권경희, 위의 글, p. 251.

44) 권경희, 위의 글, pp. 264~265.

Ⅲ. 미국-베트남 관계정상화 분석과 시사점 53 고 베트남은 이에 응하였다.

1991년 11월 베트남은 중국과 수교하였다. 베트남은 1950년대부터 1979년까지 중국과 비공식 동맹을 맺으면서 편승(bandwagoning) 전략을 추구했는데, 1979년 양국이 서로 전쟁을 치르면서 1980년대 에 적대관계로 돌아섰다가 다시 관계를 정상화한 것이다. 베트남은 소련과 동맹을 맺으면서 중국을 견제(balancing)하려고 했지만 국 경을 접하고 있는 강대국인 중국과의 경제 관계도 중요했기 때문에 중국과의 관계를 정상화하였다. 또한 같은 해 베트남공산당 제7차 전당대회에서 채택한 외교 다변화 노선에 따라 미국과의 관계 개선 을 더욱 적극적으로 모색하게 되었다. 특히 베트남 정부 내에서는 사회주의 국가 정체성을 공유하는 중국과의 동맹 체결을 주장하는 의견도 있었지만, 중국이 남사군도에 대한 영토적 야욕을 나타내자 결국 중국에 대한 위험분산(hedging) 노선으로 결정하였다.45)

베트남은 냉전 이후 러시아와의 관계가 멀어지면서 서방 세력과 친해지려고 하였다. 1989년 캄보디아에서 철군하면서 1991년 캄보 디아 문제를 해결하였고 이후 친서방 대외정책을 추구하였다. 그리 고 1995년 미국과의 관계정상화와 더불어 아세안 가입을 추진하였 다. 베트남은 패권을 추구하지 않지만 과거에 중국에서 베트남-소 련 연합이 인도차이나의 패권을 추구한다고 인식했기 때문에, 베트 남은 이런 오해를 풀기 위해 아세안 다자안보협력에 적극적으로 참 가하였다. 다자주의 참가는 베트남의 규범 준수 등의 자세를 보여주 는 사례임과 동시에 어떠한 패권세력에도 동조하지 않는 베트남의 외교자세를 보여주었다.

45) 홍현익, 󰡔미국의 적성국과의 관계정상화: 중국베트남리비아미얀마 사례의 북 미 관계정상화에 대한 함의󰡕(서울: 세종연구소, 2014), p. 24.

54 트럼프 행정부의 안보전략과 한반도 평화체제의 전망: 미국의 적대국 관계정상화 사례와 한반도에 주는 시사점

캄보디아 문제는 베트남을 포함한 관련국들이 참여한 1991년 10월, 캄보디아 문제에 대한 파리협정 체결을 통해 해결되었다. 캄보디아 문제 해결은 중국과의 관계정상화 및 1995년 아세안 회원국 가입 등 베트남이 점차 국제사회로 통합되어 가는 계기를 만들어주었다.

나. 미국 요인

1975년 베트남이 공산화된 이후 미국은 베트남을 소련의 팽창주 의적 동맹세력의 일부로 인식하였기 때문에 베트남과의 관계 개선 보다는 미중 데탕트 및 대아세안 관계발전에 관심을 갖고 있었다.

따라서 미국은 1975년 이후 대베트남 경제제재 조치를 단행하였고, 자국 내 베트남인의 자산을 동결시켰다.46) 따라서 미국은 인도차이 나 반도를 둘러싼 국제정세를 감안할 때 1990년대 소련의 붕괴에 따른 이 지역의 불균형 문제에 관심을 갖고 있었다. 특히 이 지역에 막대한 영향력을 끼칠 수 있는 중국을 견제하면서 인도차이나 지역 에 대한 미국의 영향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베트남과의 관계정상 화가 필요했다.47)

하지만 1978년 베트남이 카터 행정부에 무조건적인 관계정상화 를 표명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카터 대통령은 베트남과의 관계 개선 을 포기하였다. 그 원인으로는 무엇보다 첫째, 베트남과의 관계정상 화가 소수의 미국인과 일본의 이익만을 ‘고정’시킬 뿐, 미국의 대동 남아 전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었다. 둘째, 베트

46) 권경희, “베트남-미국 관계정상화 과정에 관한 연구(1975-1995),” p. 249.

47) 미국은 베트남과의 양자 관계 발전을 통해 무역 증진, 투자 활성화, 미국 내 베트남 이민 사회와의 연대를 통한 이익을 추구할 수 있다고 본다. 또한 부상하는 중국에 대한 대응 문제로 같이 고심하는 ‘중견국(middle power)’ 베트남과의 협력도 모색할 수 있다고 본다. Mark E. Manyin, “U.S.-Vietnam Relations in 2010: Current Issues and Implications for U.S. Policy,” CRS Report for Congress (February 4, 2011), p. 8.

Ⅲ. 미국-베트남 관계정상화 분석과 시사점 55 남이 공산국가임을 감안하였을 때 미국의 원조를 호의적으로 인식 할 것인지에 대해 미국이 신중해야 한다는 지배적인 국내여론이 있 었다. 따라서 베트남과의 관계정상화가 미국의 국익에 그다지 이익 이 안 된다는 것이었다.48)

아시아 지역에 대한 ‘관여와 확대’ 정책을 추진하고 있던 클린턴 행 정부는 이러한 정책에 부합하는 베트남의 개혁개방 정책 추진과 민 주주의 및 인권 증진을 위한 관계정상화를 도모하였다.49) 냉전이 붕 괴된 이후에도 미국은 중국과의 관계와 동남아 지역이 필요했다. 즉 냉전 붕괴 이후 미중 간 갈등과 동남아에서의 대중국 견제 및 미국의 동남아 진출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었다.

이 외에도 미국 내 경제계에서 양국 관계정상화를 요구하는 목소 리도 클린턴 행정부가 베트남과의 대화를 추진하는데 영향을 주었 다.50) 경제부흥을 모색하고 있던 미국은 언제까지나 베트남이 가진 해외시장으로서의 잠재력을 외면할 수 없었다. 사실 미국의 기업들 은 ‘도이 모이’ 정책을 시행하면서 연평균 8~10%의 고도경제성장을 달성하고 있는 베트남에 투자 매력을 느끼고 있었다. 또한 베트남의 경제개혁 및 구조조정 노력, 산유 잠재력을 높이 평가하고 있었 다.51) 즉, 미국 입장에서 경제의 세계화 시대가 도래하면서 미국 기 업의 베트남 시장 진출과 저임금 노동력에 대한 매력이 높아졌다.52)

48) 권경희, “베트남-미국 관계정상화 과정에 관한 연구(1975-1995),” p. 250.

49) 클린턴은 학생시절에 베트남전 징병을 회피하고, 반전운동으로 성조기를 불태우기도 했던 인물이었다. 경제발전을 첫 번째 과제로 내세우면서 당선된 클린턴은 국내발전 차원에서 경제외교를 중시하면서도 인권과 민주주의의 기본가치도 중시하였다. 이러 한 측면들을 모두 가지고 전개된 것이 클린턴 외교의 특징이라고 말할 수 있다. 村田

晃嗣, 󰡔アメリカ外交󰡕 (東京: 講談社, 2005), pp. 188~189.

50) 홍현익, 󰡔미국의 적성국과의 관계정상화: 중국베트남리비아미얀마 사례의 북 미 관계정상화에 대한 함의󰡕, pp. 25~26.

51) Joseph P. Quinlan, Vietnam: Business Opportunities and Risks (Berkeley:

Pacific View Press, 1995), p. 30, 재인용; 이교덕, 󰡔미국의 대중‧대베트남 관계정 상화 과정 비교: 북‧미관계 개선에 대한 함의󰡕, p. 55.

56 트럼프 행정부의 안보전략과 한반도 평화체제의 전망: 미국의 적대국 관계정상화 사례와 한반도에 주는 시사점

하지만 미국 기업들은 미국 정부의 원칙, 즉 미군포로 및 실종자 문제를 해결할 때까지 베트남과 관계 개선이 불가하다는 원칙 때문 에 베트남에 진출할 수 없었다. 베트남과의 수교에 있어 이러한 제한 요소는 미국 정부에게도 부담으로 작용하였다. 미국 기업들은 베트 남 시장을 경쟁국가들에게 빼앗기고 있다는 불만을 표시하면서 베트 남과의 경제 관계정상화를 지속적으로 요구하였다. 즉 베트남이라는 거대한 시장을 일본, 유럽 등에 빼앗길 수 없다는 생각이었는데, 클 린턴 행정부 당시 일본, 프랑스, 타이완, 홍콩 등의 베트남 투자가 시작되고 있었다. 이와 같은 미국 내 사정과 함께 세계경제를 주도하 는 미국과의 협력을 원하는 베트남의 이해관계가 일치하였다.53)

다. 베트남 요인

역사적으로 베트남은 미국, 중국, 소련 등 강대국과의 관계에서 잘 못된 설정을 한 적이 있음을 교훈으로 생각한다. 베트남은 미국과의 관계정상화가 이루어지기까지 여러 차례 실수를 하였다고 평가한다.

즉 미국이 베트남과 관계 회복을 원할 때 베트남의 중립을 원했지만, 베트남은 친중국, 친소련 노선을 선택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베 트남의 중국, 소련과의 관계도 원활하지 못했다.

1975년부터 1985년까지 미국은 베트남과 관계 개선을 원했다.

하지만 베트남은 승전국으로서의 자존심과 전쟁 상처 때문에 타협 하기 쉽지 않았다. 또한 미국은 베트남을 중국과 소련으로부터 분리 시키고 싶어했다.

52) 서보혁, “베트남과 미국의 관계정상화 과정, 그 요인과 함의,” 채수홍 외, 󰡔사회주의 베트남의 역사와 정치󰡕(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9), pp. 224~225.

53) 이교덕, 󰡔미국의 대중‧대베트남 관계정상화 과정 비교: 북‧미관계 개선에 대한 함의󰡕, p. 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