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교양교육 그룹별 평가결과

Dalam dokumen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Halaman 60-63)

V. 분석결과에 대한 논의

3. 교양교육 그룹별 평가결과

성별 비교 및 결과 논의

- 남녀 성별 비교 결과, 학생 역량 수준 요인과 수업 전후 학습시간 투자정도 요인은 남녀 사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고, 그 외 다른 요인들에서는 남녀 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음

- 학생 역량 수준 요인은 남학생들이 여학생들에 비해 교양기초 과목들을 수강 후 더 높은 교육성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남

- 수업 전후 학습시간 투자정도 요인은 남학생들이 여학생들에 비해 교양기초 과목들 을 학습하는 데 더 많은 시간 투자를 하는 것으로 나타남

- 미시적 측면에서 대학 교양기초교육 수업의 질을 보여주는 개별과정 수준에서의 교 양기초교육 운영 요인과 거시적 측면에서 대학 수준의 교양기초 교육에 대한 투자 를 보여주는 학교 수준에서의 교양기초교육 운영 요인에서는 남녀 학생간의 통계적 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음

- 교양기초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참여(engagement) 정도에는 남녀 학생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음. 즉, 성별보다 다른 요인이 대학생의 교양기초교육 참여와 관 련이 있다고 할 수 있음.

학년 비교 및 결과 논의

- 학년에 따른 비교 결과 모든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음

- 사후검증 결과 4학년은 학생 역량 수준 요인, 개별과정 수준에서의 교양기초교육 운 영 요인, 학교 수준에서의 교양기초교육 운영 요인, 수업 중 학습활동 참여 요인, 수 업 전후 학습시간 투자정도 요인에 대하여 다른 학년들에 비교하여 높게 나옴. 수업 중 학습활동 참여 요인은 4학년이 3학년에 비교하여 높게 나왔으나 1,2학년과의 비 교에선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남.

- 사후검증 결과 다른 학년들 간의 비교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보이지 않음

- 전반적으로 고학년일수록, 특히 졸업을 앞 둔 4학년이 저학년들과 비교하여 재수강 등 대학 생활에 열심히 하는 경향이 본 연구의 분석에도 반영이 된 것으로 봄

지역 및 대학 규모면별 비교 및 결과 논의

- 지역 및 대학규모에 따른 비교 결과 학생 역량 수준 요인, 개별과정 수준에서의 교양기초 교육 운영 요인, 학교 수준에서의 교양기초교육 운영 요인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음 - 그러나 사후검증 결과 학생 역량 수준 요인에 대한 지역 및 대학규모별 유의한 차

이는 발견되지 않음

- 미시적 측면에서 대학 교양기초교육 수업의 질을 보여주는 개별과정 수준에서의 교 양기초교육 운영 요인은 수도권 대형 대학이 지방 중소 및 대형대학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남. 그러나 수도권 대형 대학과 중소형 대학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발 견되지 않음

- 거시적 측면에서 대학 수준의 교양기초 교육에 대한 투자를 보여주는 학교 수준에 서의 교양기초교육 운영 요인은 수도권 대형대학이 다른 지역과 규모의 대학보다 높게 나타남. 또한 수도권 중소 대학도 지방 중소 및 대형 대학과 비교하여 높게 나 타남. 그러나 지방 중소 및 대형 대학 간에는 차이가 없음

- 수도권 대학들은 지방 대학들에 비교하여 학교 규모와 상관없이 일반적으로 학교 차원의 교양기초교육에 대한 투입이 더 많고, 이를 학생들이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지방 대학들도 수도권 대학 수준으로 교양기초교육에 대한 학교 차원의 투 자가 더 필요함

국공립 및 사립 여부 비교 및 결과 논의

- 국공립 및 사립 여부에 따른 분석 결과 학생들의 참여수준을 나타내는 수업 중 학습 활동 참여 요인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음

- 사립대학의 학생들이 국공립대학의 학생들보다 교양기초교육에 더 열심히 참여하고 있음 - 국공립이나 사립대학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 것은 두 종류의 대학의 차이가

크지 않는 국내 대학의 현실을 반영함

- 학생들의 참여와 성과를 높이기 위하여 각 대학의 설립유형의 특성을 반영한 학교 수준의 교양기초교육에 대한 투자가 필요함

전공계열별 비교 및 결과 논의

- 전공계열별 분석은 인문, 사회, 자연, 공학, 예체능, 기타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 학교 수준에서의 교양기초교육 운영 요인을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됨

- 그러나 사후 검정 결과 계열간의 차이는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음

- 이는 학생들이 인식하기에 전공계열의 특성을 반영한 교양기초 교육과정이 제공되 지 않고 일괄적인 교육과정이 제공되고 있음을 의미함

- 전공 계열별 특성을 반영한 교육과정의 구성과 교과목의 개발을 통하여 학생들의 참여와 성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봄

교양기초교육 전담부서 유무 비교 및 결과 논의

- 교양기초교육 전담부서 유무에 따른 비교 결과 전담부서가 있는 학교가 모든 요인에 대하여 높은 점수를 보임

- 교양기초 교육 전담부서가 있는 학교 학생들이 없는 학교의 학생들보다 교양기초교육 성과가 높게 나타남

- 교양 기초 교육 전담부서가 있는 학교의 경우 없는 학교 보다 교양기초교육의 수업의 질도 높고 대학수준에서의 투자도 많음

- 교양기초교육 전담부서가 있는 학교의 경우 없는 학교보다 학생들이 교양기초교육에 투자하는 시간도 많고 참여 수준도 높음

- 따라서 교양기초교육을 개선하기 위해서 무엇보다 전담부서를 설치하는 것이 필요함

Dalam dokumen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Halaman 60-63)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