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집단별 분석

Dalam dokumen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Halaman 49-58)

IV. 연구결과

3. 집단별 분석

가. 분석변인별 조사 참여자

분석변인에 관련하여 전체 설문에 대한 기술적 통계 분석 결과는 아래 <표 Ⅳ-15>에서 확인할 수 있음

분석변인

성별

남 (n=4822)

국공립, 사립 여부

국공립 (n=2752) 여

(n=5206) 사립

(n=7276)

학년

(n=3523) 1학년

전공계열별

인문계열 (n=2228)

(n=2469) 2학년 사회계열

(n=2047) 3학년

(n=2118) 공학계열

(n=3050)

(n=1918) 4학년 자연계열

(n=1754)

지역 및 대학 규모별

수도권(大)

(n=2436) 예체능계열

(n=3683) (n=581) 기타 수도권(中小)

(n=303)

교양기초교육 전담부서 유무

유 (n=) 지방(大)

(n=1731)

(n=) 무 지방(中小)

(n=5558)

<표 Ⅳ-15> 분석변인별 응답자 수

나. 성별에 따른 분석 결과

성별에 따라 5요인 점수의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MANOVA로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됨 (Hotelling’s T=.001, F(5, 10085.00)=2.51, p<.05)

남녀 차이는 개인적 수준에서의 교양기초교육에 대한 투자(p<.01)와 성과(p<.05)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음

그 외 다른 요인에서는 남녀별로 차이를 보이지 않음

구분 성별 N 평균 표준편차 F

학생 역량수준 (요인1)

여자 5206 36.44 7.65

6.21*

남자 4822 36.84 8.36

Total 10028 36.63 8.00

수준에서의개별과정 교육 운영교양기초

(요인2)

여자 5206 16.21 3.54

1.76

남자 4822 16.31 3.91

Total 10028 16.26 3.72

학교 수준에서의

교양기초 교육 운영 (요인3)

여자 5206 18.83 4.01

.96

남자 4822 18.91 4.49

Total 10028 18.87 4.25

학습활동수업 중 (요인4)참여

여자 5206 14.18 2.72

3.18

남자 4822 14.28 3.06

Total 10028 14.23 2.89

수업 전후 학습시간 투자 정도

(요인5)

여자 5206 7.26 2.15

8.70**

남자 4822 7.39 2.29

Total 10028 7.33 2.22

<표 Ⅳ-16> 성별에 따른 분석 결과

(Hotelling’s T=.001, F (5, 10085.00)=2.71, p<.05)

구분 학년 N 평균 표준편차 F Scheffe 검증

학생역량 (요인1)수준

1학년 3523 36.16 7.81

19.82***

①<②

①<③

①<④***

②<③

②<④***

③<④***

2학년 2469 36.29 8.19

3학년 2118 36.75 8.17

4학년 1918 37.82 7.80

Total 10028 36.63 8.00

개별과정 수준에서의

교양기초 교육 운영

(요인2)

1학년 3523 15.93 3.61

28.48***

①<②

①<③**

①<④***

②<③

②<④***

③<④***

2학년 2469 16.18 3.76

3학년 2118 16.31 3.79

4학년 1918 16.89 3.72

Total 10028 16.26 3.72

<표 Ⅳ-17> 학년별에 따른 MANOVA 분석 결과

다. 학년별 분석 결과

학년별에 따라 5요인 점수의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MANOVA로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됨 (Wilks’ Lamda= .98, F (15, 27661.21)=10.58, p<.001)

‘수업 중 학습활동 참여 요인(요인 4)’(p<.05)을 제외한 모든 요인에 대하여 학년별

비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음 (p<.001)

Scheffé 사후검증 결과, 모든 요인에 대한 학년별 비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음

- ‘학생 역량 수준 요인(요인 1)’, ‘학교 수준에서의 교양기초교육 운영 요인(요인 3)’,

‘수업 전후 학습시간 투자정도 요인(요인 5)’은 4학년과 다른 학년들과의 비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그 외 다른 학년들 사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 이지 않음

- ‘개별과정 수준에서의 교양기초교육 운영 요인(요인 2)’은 4학년과 다른 학년들과의

비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1학년과 3학년 간에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음.

그 외 다른 학년들 사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음

- ‘수업 중 학습활동 참여 요인’은 3, 4학년과의 비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그

외 다른 학년들 사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음

구분 학년 N 평균 표준편차 F Scheffe 검증

수준에서의학교 교육 운영교양기초

(요인3)

1학년 3523 18.78 4.07

7.16***

①<②

①<③

①<④**

②<③

②<④***

③<④**

2학년 2469 18.70 4.34

3학년 2118 18.85 4.31

4학년 1918 19.26 4.36

Total 10028 18.87 4.27

학습활동수업 중 (요인4)참여

1학년 3523 14.20 2.86

2.91*

①<②

①>③

①<④

②>③

②<④

③<④*

2학년 2469 14.27 2.88

3학년 2118 14.11 2.96

4학년 1918 14.36 2.87

Total 10028 14.23 2.89

수업 전후 학습시간 투자 정도 (요인5)

1학년 3523 7.33 2.20

7.44***

①<②

①>③

①<④*

②>③

②<④**

③<④***

2학년 2469 7.28 2.21

3학년 2118 7.20 2.22

4학년 1918 7.52 2.26

Total 10028 7.33 2.22

(Wilks’ Lamda= .98, F (15, 27661.21)=10.58, p<.001

라. 지역 및 대학규모별 분석 결과

대학이 위치한 지역과 규모에 따라 5요인 점수의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MANOVA로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됨

(Wilks’ Lambda=.99, F (15, 27661.21)=7.48, p<.001)

요인별로 살펴보면, ‘학생 역량 수준 요인’ (F=4.08, p<.01), ‘개별과정 수준에서의 교 양기초교육 운영 요인’ (F=9.59, p<.001), ‘학교 수준에서의 교양기초교육 운영 요인’

(F=11.21, p<.001)에서 대학의 위치와 규모에 따른 통계적 차이를 보임

Scheffé 사후검증 결과, ‘개별과정 수준에서의 교양기초교육 운영 요인’과 ‘학교 수준

에서의 교양기초교육 운영 요인’에서 지역 및 대학규모에 따른 비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음

- ‘개별과정 수준에서의 교양기초교육 운영 요인’은 수도권 대형 대학과 수도권 중소 형 대학과(p<.001), 그리고 수도권 대형대학과 지방 대형 대학(p<.001) 사이에서 유 의미한 차이를 보였음

- 학교 수준에서의 교양기초교육 운영 요인’은 지방 중소형 대학과 지방 대형 대학 사 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다른 계열 간에는 유의한 차 이를 보였음

구분 지역 및

대학규모별 N 평균 표준편차 F Scheffe

검증

학생역량 (요인1)수준

수도권 大 2436 36.44 7.68

4.08**

①>②

①>③

①<④

②<③

②<④

③<④

수도권 中小 303 35.65 7.97

지방 大 1731 36.36 7.57

지방 中小 5558 36.86 8.26

Total 10028 36.63 8.00

개별과정 수준에서의

교양기초 교육 운영

(요인2)

수도권 大 2436 16.60 3.77

9.59***

①>②

①>③***

①>④***

②<③

②<④

③>④

수도권 中小 303 16.00 3.81

지방 大 1731 16.11 3.53

지방 中小 5558 16.16 3.75

Total 10028 16.26 3.72

학교 수준에서의

교육 운영교양기초 (요인3)

수도권 大 2436 19.21 4.36

11.21***

①>②***

①>③**

①>④**

②<③**

②<④**

③<④

수도권 中小 303 17.90 4.40

지방 大 1731 18.76 3.99

지방 中小 5558 18.80 4.25

Total 10028 18.87 4.25

수업 중 학습활동참여

(요인4)

수도권 大 2436 14.21 2.64

.72

①>②

①<③

①<④

②<③

②<④

③>④

수도권 中小 303 14.00 2.61

지방 大 1731 14.25 2.67

지방 中小 5558 14.23 3.07

Total 10028 14.23 2.89

수업 전후 학습시간 투자 정도 (요인5)

수도권 大 2436 7.34 2.03

1.44

①<②

①<③

①>④

②<③

②>④

③>④

수도권 中小 303 7.39 2.10

지방 大 1731 7.41 2.13

지방 中小 5558 7.29 2.33

Total 10028 7.33 2.12

<표 Ⅳ-18> 지역 및 대학규모별에 따른 분석 결과

(Wilks’ Lambda=.99, F (15, 27661.21)=7.48, p<.001)

마. 국공립 및 사립 여부에 따른 분석 결과

대학 설립유형에 따라 5요인 점수의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MANOVA로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됨 (Hotelling’s T=.002, F (5, 10022.00)=4.43, p<.001)

국공립 및 사립이 대학설립 유형에 따른 분석 결과, ‘수업 중 학습활동 참여 요인’에 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F=7.88, p<.01)

구분 국공립 및

사립 여부 N 평균 표준편차 F

학생 역량수준 (요인1)

국공립 2752 36.64 8.07

.000

사립 7276 36.63 7.98

Total 10028 36.63 8.00

개별과정 수준에서의 교육 운영교양기초

(요인2)

국공립 2752 16.32 3.72

1.01

사립 7276 16.23 3.72

Total 10028 16.26 3.72

학교 수준에서의

교양기초 교육 운영 (요인3)

국공립 2752 18.77 4.21

1.88

사립 7276 18.90 4.26

Total 10028 18.87 4.25

수업 중 학습활동참여

(요인4)

국공립 2752 14.09 2.96

7.88**

사립 7276 14.28 2.86

Total 10028 14.23 2.89

수업 전후 학습시간 투자 정도

(요인5)

국공립 2752 7.28 2.20

1.77

사립 7276 7.34 2.23

Total 10028 7.32 2.22

<표 Ⅳ-19> 국공립 및 사립 여부에 따른 분석 결과

(Hotelling’s T=.002, F (5, 10022.00)=4.43, p<.001)

바. 전공계열별 분석 결과

전공계열별 분석은 인문, 사회, 자연, 공학, 예체능, 기타로 나누어 분석하였음

전공 계열에 따라 5요인 점수의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MANOVA로 분

석하였으며, 결과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됨 (Wilks’ Lambda=.99,

F (25, 37216.72)=4.17, p<.001)

전공계열에 따른 분석 결과, ‘학교 수준에서의 교양기초교육 운영 요인’을 제외

한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요인별로 살펴보면, ‘학생

역량 수준 요인(F=2.83, p<.01)’, ‘개별과정 수준에서의 교양기초교육 운영 요인

(F=2.72, p<.01)’, ‘수업 중 학습활동 참여 요인(F=4.36, p<.001)’, ‘수업 전후 학습 (F=3.43, p<.01)‘에서 전공계열에 따른 통계적 차이를 보임

Scheffé 사후검증 결과, 대부분의 요인에서 전공계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

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남

- ‘학생 역량 수준 요인’은 인문과 공학 계열 간을 제외한 모든 계열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음

- ‘개별과정 수준에서의 교양기초교육 운영 요인’은 자연 계열과 예체능 계열 간을 제 외한 모든 계열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남

- ‘수업 중 학습활동 참여 요인’은 공학과 예체능, 예체능과 기타 계열 간을 제외한 모

든 계열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남

구분 전공계열 N 평균 표준

편차 F Scheffe 검증

학생 역량수준 (요인1)

인문계열 2228 37.04 7.74

2.83**

①>②

①>③*

①>④

①>⑤

①>⑥

②<③

②>④

②>⑤

②>⑥

③>④

③>⑤

③>⑥

④<⑤

④>⑥

⑤<⑥

사회계열 2047 36.65 7.73

공학계열 3050 36.72 8.04

자연계열 1754 36.20 8.48

예체능계열 368 36.23 7.96

기타 581 36.18 8.40

Total 10028 36.63 8.00

개별과정 수준에서의 교육 운영교양기초

(요인2)

인문계열 2228 16.25 3.56

2.71**

①>②

①>③

①<④

①>⑤

①>⑥

②>③

②<④

②>⑤

②>⑥

③<④

③>⑤

③>⑥

④>⑤*

④>⑥

⑤<⑥

사회계열 2047 16.24 3.69

공학계열 3050 16.22 3.78

자연계열 1754 16.48 3.80

예체능계열 368 15.75 3.64

기타 581 16.19 3.91

Total 10028 16.26 3.72

학교 수준에서의

교양기초 교육 운영

(요인3)

인문계열 2228 18.97 4.11

1.65

①>②

①>③

①<④

①>⑤

①>⑥

②>③

②<④

②>⑤

②>⑥

③<④

③>⑤

③>⑥

④>⑤

④>⑥

⑤<⑥

사회계열 2047 18.82 4.20

공학계열 3050 18.80 4.31

자연계열 1754 19.03 4.36

예체능계열 368 18.51 3.98

기타 581 18.73 4.39

Total 10028 18.87 4.25

수업 중 학습활동참여

(요인4)

인문계열 2228 14.20 2.88

4.36***

①>②

①<③

①<④

①>⑤

①<⑥

②<③

②<④

②>⑤

②<⑥

③>④

③>⑤*

③<⑥

④>⑤

④<⑥

⑤<⑥*

사회계열 2047 14.12 2.75

공학계열 3050 14.33 3.00

자연계열 1754 14.23 2.85

예체능계열 368 13.73 2.91

기타 581 14.47 2.84

Total 10028 14.23 2.89

수업 전후 학습시간 투자 정도 (요인5)

인문계열 2228 7.43 2.21

3.43**

①>②

①>③*

①>④

①<⑤

①>⑥

②<③

②>④

②<⑤

②>⑥

③<④

③<⑤

③>⑥

④<⑤

④>⑥

⑤>⑥

사회계열 2047 7.21 2.06

공학계열 3050 7.33 2.24

자연계열 1754 7.37 2.37

예체능계열 368 7.44 2.24

기타 581 7.18 2.19

Total 10028 7.33 2.22

<표 Ⅳ-20> 전공계열별에 따른 MANOVA 분석 결과

(Wilks’ Lambda=.99, F (25, 37216.72)=4.17, p<.001)

사. 교양기초교육 전담부서 유무에 따른 분석 결과

교양기초교육 전담부서 유무에 따라 5요인 점수의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MANOVA로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됨(Hotelling’s

T=.022, F (5, 10022.00)=43.75, p<.001)

전담 부서가 있는 대학의 경우 전담부서가 없는 대학과 비교하여 모든 요인에 대하여 높게 나타남

구분 교양기초교육

전담부서 유무 N 평균 표준편차 F

학생 역량수준 (요인1)

유 7613 37.10 7.84

108.94***

무 2415 35.16 8.32

Total 10028 36.63 8.00

개별과정 수준에서의 교육 운영교양기초

(요인2)

유 7613 16.50 3.67

133.99***

무 2415 15.50 3.80

Total 10028 16.26 3.72

학교 수준에서의

교양기초 교육 운영 (요인3)

유 7613 19.18 4.23

170.47***

무 2415 17.89 4.16

Total 10028 18.87 4.25

수업 중 학습활동참여

(요인4)

유 7613 14.39 2.83

98.05***

무 2415 13.72 3.05

Total 10028 14.23 2.89

수업 전후 학습시간 투자 정도

(요인5)

유 7613 7.44 2.19

80.83***

무 2415 6.97 2.27

Total 10028 7.33 2.22

<표 Ⅳ-21> 교양기초교육 전담부서 유무에 따른 분석 결과

(Hotelling’s T=.022, F (5, 10022.00)=43.75, p<.001)

Dalam dokumen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Halaman 49-58)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