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교양교육 질 평가
투입, 과정, 산출 차원에서 교양기초교육의 질 관리 체제 구축
- 향후 교양기초교육의 질 평가도구로 본 연구에서 타당화된 평가도구를 활용할 것이 요구됨. 본 연구에서 교양기초교육의 질을 평가하기 위해서 시스템 관점에서 투입, 과정, 산출 차원으로 구분하여 파악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추후 교 양기초교육의 질 제고를 위해 투입, 과정, 산출 차원에서 본 연구에서 제시된 문항 에 근거하여 질을 평가하고 이를 관리할 수 있는 질 관리 체계를 구축할 수 있음
학생관점에서 교양기초교육 참여 평가지표 개발 확대
- 교양기초교육의 질은 교육수요자인 학생의 관점에서 파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요 인이며, 이를 위해 학교의 교양교육 운영체계, 수업에서 교양교육운영체계, 학생의 수업 중 학습활동 참여정도를 보다 다양한 관점에서 파악할 수 있도록 정성적·정량 적 평가지표들을 발굴할 필요가 있음
2. 교양교육 교육과정 및 수업방법
일반자유와 기초교육이 조화된 교양교육과정 편성
- 본 연구결과 일반자유교육과 기초교육이 교양교육의 성과요인으로 통합되어 나타났 다는 점을 고려할 때 교양 교육과정 편성은 이들 두 가지 요인들이 조화되어 편성 될 필요가 있음
- 따라서, 교양교육의 성과평가 관점으로 교양 교육과정에서 이들 두 가지 측면이 얼 마나 조화롭게 구성되어 있는가를 한 준거로 살펴볼 수 있음
교양과목편성에서 학생선택권 확대
- 교양기초교육 운영에 대한 만족도는 학생들이 얼마나 다양한 교과목을 본인이 선택 하여 수강할 수 있는가하는 점에 영향 받는다는 점을 고려할 때, 교양교과목 편성을 확대하고 학생의 선택권을 증진할 필요가 있음
순차적 혹은 수준별 교양기초교육과정 개발
- 4학년을 제외한 학년별 교양기초교육과정에 대한 차이가 명확하게 나타나지 않는 것을 개선하기 위하여 순차적 혹은 수준별 교양기초교육과정을 개발함
- 한 예로 미국 대학들의 100, 200, 300, 400 단위로의 수업 구분과 같이 학년별 그리 고 수준에 따른 교육과정을 명확히 구분하여 학년별로 학생들이 필요한 교양기초교 육을 습득하도록 함
전공별 특성을 고려한 교양기초 교육과정 개발
- 학생들이 인지하기에 전공별 특성이 반영된 교양기초 교육과정이 제공되고 있지 않 음. 교양전담 부서와의 협의 하에 전공별 특성을 반영한 교양기초 교육과정을 개발 할 필요성이 있음
학습자 참여적 교양과목 수업방법 지원 확대
- 교양교육의 실제 수업 운영 측면에서 다양한 수업방법 활용에 대해 학생들의 만족 도가 상당히 낮다는 점을 고려할 때, 대형 강의 중심의 교양과목 운영을 지향하고 융통적이며 학습자 참여적인 교양 운영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수업방법 개발을 장려 할 필요가 있음
3. 교양교육 지원체제
지방대학의 교양기초교육에 대한 투자 증대
- 수도권 대학의 경우 대학 규모의 구분 없이 대학 수준에서 교양기초교육에 대한 투 자를 지방대학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함
- 따라서 지방 대학은 대학 규모와 상관없이 교양기초교육의 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대학 수준의 투자가 증대되어야 함
교양기초교육 전담부서 설치
- 분석결과 교양기초교육 전담부서의 설치 유무가 교양기초교육에 대한 투입, 과정, 산출의 전 과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남. 따라서 각 대학에서는 교양 기초교육을 전담하는 부서를 설치하도록 함
- 교양기초교육 전담부서는 대학 본부와 각 계열 및 전공과 협의하여 전공계열의 특 성과 학교 특성을 두루 반영한 교양기초교육과정을 개발하도록 함
참고문헌
강명구, 김지현(2010). 한국 대학의 학사구조 변화와 기초교양교육의 정체성 확립의 과제.
아시아교육연구, 11(2), 327-361.
김경희(1996). 대학 교양교육과정의 개념과 운영 방향에 관한 연구. 교육연구, 30, 111-135.
김지현(2007).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재개념화. 교육원리연구, 12(2), 115-151.
민경찬, 임현진, 손동현(2005). 기초학문 진흥 및 확산을 위한 대학교양교육의 강화방안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정책연구보고서.
박창언(2001). 대학 학부 교양 과정 평가 준거 설정. 고등교육연구, 12(2), 1-27.
박혜림(2007). 대학 교양교육과정의 평가 준거 개발 연구. 교육과정연구, 25(3), 109-132.
손동현(2005). 교양기초교육의 의의와 학부대학의 지향. 성균관대학교 학부대학 신설기념 심포지엄 발표자료. 한국교양기초교육원.
손동현(2006). 인문교양교육의 의미와 과제. 인문과학, 37, 203-231.
임재윤(1988). 대학교양교육의 의미와 목적. 한국교육, 15(2), 39-56.
진미석 외(2007).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진단평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연구보고서.
홍윤기(2008). 교양교육과정 운영 및 평가 체제 개발 연구. 한국학술진흥재단 연구보고서.
Adler, M. J. (1966). How to Read a Book: A guide to Reading the Great books. New York:
Simon and Schuster.
Association of American Colleges and Universities (2009). Trends in learning outcomes, general education, and assessment. Hart Research Associates.
Hutchins, R. M. (1936). The Higher Learning in America. New Haven, CT: Yale University Press
Nichols, J. O., & Nichols, K. W. (2001). General education assessment for improvement of student academic achievement. New York: Agathon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