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구조모델 검증 구조해석
2.1.2 구조모델 및 하중조건
대상교량에 대한 구조해석 모델이 해석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 가로보 의 영향을 정확히 평가할 수 있는 구조모델링을 제시하기 위하여 대상교량의 거 더와 바닥판을 표 2-3에 나타낸 것과 같이 Case1에서는 거더만을 빔요소로 모 델링하였고,기존 설계도서(한국도로공사,2000)에서 적용한 방법인 Case2에서는 거더를 빔요소로 모델링한 Case1에 바닥판을 4절점 쉘요소로 모델링하였다.또 한,Case3에서는 실제 구조물에 유사하도록 거더를 4절점 쉘요소로 바닥판은 8 절점 솔리드요소를 사용하여 모델링하였다.
구조모델 Case1및 Case2는 플레이트거더교의 설계시 사용되는 관용적인 구 조모델로서 본 논문에서는 관용적인 설계의 가로보 검토 방법과 Case3의 상세 해석에 의한 가로보 검토 방법을 비교하였다.
- - -111555---
표 2-3구조해석 모델링 요소
모델 Case 거 더 바닥판 비 고
Case1 Beam 요소(720) -
Case2 Beam 요소(720) 쉘 요소(952) 기존 설계도서 Case3 Plate요소(12,006) 솔리드 요소(4,108)
*()는 요소개수를 나타냄.
표 2-3의 각 Case별 구조모델 요소의 개수 및 크기는 주요 검토 대상이 되는 1경간의 거더와 가로보는 해석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정도로 세밀하게 분할 하였고 나머지 경간에 대해서는 해석시간을 고려하여 요소 크기를 비교적 크게 하였다.
본 논문에서 중점을 두고 있는 가로보는 기존 설계도서(한국도로공사,2000)에 기초하여 가로보 간격을 5m로 하였고,빔요소 및 쉘요소를 사용하여 그림 2-3과 같이 모델을 구성하였다.
(a)Case1 (b)Case2
(c)Case3 그림 2-3구조해석 모델링
- - -111666---
대상 교량에서의 각 지점부의 구속 조건은 그림 2-4와 같이 실제 교량의 구속 조건과 동일하게 하였으며 각각의 Case에 대하여 동일한 조건에서 구조해석을 수행하였다.여기서 X방향은 교축방향,Y방향은 교축직각방향,Z방향은 연직방향 을 나타낸다.또,Fix는 X,Y,Z방향에 대해 모두 구속,Y free는 X,Z방향에 대 한 구속,XY free는 Z방향에 대해 구속,X free는 Y,Z방향에 대한 구속을 의미 한다.
그림 2-4대상교량 구속조건
요소 검증 및 구조거동에 미치는 모델링 특성 조사에서는 각 모델 Case에 대 하여 하중재하는 표 2-4와 같이 합성전은 바닥판,거더 및 가로보의 자중을 재하 하였고,합성후는 포장하중 및 활하중으로 DL하중에 대해 검토하였다.여기서 DL하중을 재하한 것은 DB하중과 DL하중에 대한 해석결과 표 2-5와 같이 DL하 중에서 더 큰 응력이 발생하고 있으므로 도로교 설계기준(2005)에 따라 더 불리 한 응력이 발생하는 DL하중에 대해서 해석을 수행하였다.활하중 재하는 1경간 중앙부 G1에서 가장 큰 응력이 발생하도록 DL-24차선 하중을 1,3,5,7경간에 대하여 2차선 편측으로 재하하였다.그림 2-5에 DL하중의 편측 재하조건을 나타 내었다.여기서 W는 12.7kN/m이고,P는 108kN이다.
표 2-4대상교량 하중 조건
하중명 하중 종류
합성전 하중 거더 및 가로보 자중
바닥판 자중
합성후 하중 포장
DL-24
- - -111777---
표 2-5DB-24및 DL-24재하시의 1경간 중앙부 하부플랜지 응력(G1) 모델 Case DB-24응력(MPa) DL-24응력(MPa)
Case1 29.2 32.1
Case2 28.2 31.0
Case3 25.6 28.1
그림 2-51경간 중앙부 G1거더 검토시 DL-24하중 재하 조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