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한 가설 검증

(1) 연구모형의 적합도 검증

본 연구에서 설정한 모형에서는 인지된 고객 지향성이 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인지된 고객 지향성과 팀 만족도가 팀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 며, 이 팀 이미지가 모기업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총 4가지의 경로로 구성 되어 있다. 연구모형의 적합도를 분석하기 위해 설정한 각 변인간의 인과관 계 및 경로는 그림 8과 같다.

<그림 8> 연구모형의 변인 간 경로 및 모형의 적합도 지수

본 연구에서는 사전에 설정한 연구모형의 적합도를 평가하기 위해 Chi-square(), /, TLI, CFI, RMSEA 값을 이용하였다. Chi-square () 값을 이용한 적합도 검증은 표본 크기에 민감하다는 단점이 있으므로,

표본 크기에 민감하지 않고, 모형의 간명성을 고려한 동시에 명확한 해석 기준이 확립된 적합도 지수 TLI, CFI, RMSEA 지수 또한 이용하였다(김주 환, 김민규, & 홍세희, 2012). 다음의 표 16은 본 연구에서 검증하고자 하 는 모형의 적합도 지수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러한 적합도 지수들을 종합 적으로 살펴 볼 때, 본 연구에서 사전에 수립한 연구모형은 적합한 모형이 라 판단할 수 있다.

표 16. 연구모형의 적합도 지수

(2) 연구가설의 검증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구조모형의 표준화 경로 계수 및 유의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모형의 표준화 경로계수는 그림 8에 나와 있으며, 또한 각 잠재변인간의 표준화 경로계수 및 유의성 검증 결과는 표 17에서 나타내주고 있다.

표 17. 표준화 경로계수 및 유의성 검증

*p<0.001 Chi-square()  / TLI CFI RMSEA

182.206 86 2.119 .954 .962 .067

가설 경로 비표준화

경로계수

표준화 경로계수

표준오차 (S.E.)

임계치 (C.R.) H3 고객 지향성 → 팀 만족도 .835 .773 .078 10.771 H4 고객 지향성 → 팀 이미지 .348 .415 .071 4.888 H5 팀 만족도 → 팀 이미지 .417 .537 .067 6.267 H6 팀 이미지 → 기업 이미지 .809 .832 .081 10.023

① H3. 인지된 고객 지향성은 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두 변인의 관계를 나타내는 표준화 경로계수는 .773(p<001)로서 통계 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인지된 고객 지향성은 팀 만족도에 영향 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3은 채택되었다.

② H4. 인지된 고객 지향성은 팀 이미지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두 변인의 관계를 나타내는 표준화 경로계수는 .415(p<001)로서, 통 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인지된 고객 지향성은 팀 이미지에 영 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4는 채택되었다.

③ H5. 팀 만족도는 팀 이미지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두 변인의 관계를 나타내는 표준화 경로계수는 .537(p<001)로서, 통 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팀 만족도는 팀 이미지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5는 채택되었다.

④ H5. 팀 이미지는 모기업 이미지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두 변인의 관계를 나타내는 표준화 경로계수는 .832(p<001)로서, 통 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팀 이미지는 모기업 이미지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6은 채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