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기획과제에서 제시된 개념을 기반으로 제시된 “극동시베리아 자원확보를 위한 북 극해 북동항로 진출 로드맵 작성” 기획연구과제 제안요구서(RFP)는 표. 5. 1에 그리고 소요예산은 표.5.2에 나타내었다. 추후 기업, 연구소, 관련부처가 함께 참여하여 국가정책 기획과제의 장기 실행계획(통합 개발로드맵)을 마련하도록 하고 계획서에는 다음을 포함 한다.
• 러시아와 공동으로 북동항로 중 동부해역을 우선 대상으로 추진
• GIS를 활용한 항로 주변 정보의 수집과 DB화
- 항로와 인접한 러시아 10개 주에 대한 지리정보: 인문, 경제, 사회
- 동해, 오호츠크해, 베링해, 북극해에 대한 자연환경정보: 기상, 해양, 해빙, 생물 - 항로 주변에 대한 자원정보: 에너지, 광물, 삼림, 수산
• 국내의 기업, 연구소, 관련부처가 함께 참여하고 러시아와 일본을 포함한 주변국과 의 국제협력으로 5개 분야에 걸친 항로 확보전략을 마련
1) 항로: 북태평양 항로와 북극해 북동항로(자연환경, 운항가능한 시기, 해역 및 선박) 2) 항만: 자원집하장 부근에 건설
3) 운송로: 개발자원의 운송방법 개발(도로, 철도, 선박, 육상․해저송유관 등) 4) 자원: 극동시베리아(육상자원) 및 항로해역(해양자원) 자원 중 우선순위 검토 5) 러시아 인프라: 러시아내 행정/법제 차원의 지원인프라 검토
• 선택과 집중 전략으로 단계별 추진: Ⅰ단계(’10~’12년)는 극동 러시아 10개 지방주 전체를, Ⅱ단계(’13~’15년)는 북서태평양 연안 지방주 1곳을 선별, Ⅲ단계(’16~’18년) 는 북극해 연안 지방주 1곳을 선별하여 진출 전략을 마련함
과 제 명 1. 극동시베리아 자원확보를 위한 북극해 북동항로 진출 로드맵 작성
기획연구의 필요성
○ 차세대 자원 확보
• 극동러시아의 육상 및 해양 자원을 우리나라 산업과 연계시켜 경제발전을 도 모
• 우리 정부의 시베리아 자원개발에 운송인프라를 제공하여 극동러시아지역 자 원을 선점하고 북극권 개발에 참여
• 우리나라와 가까운 곳에 위치한 시베리아와 북극해 항로 주변에는 에너지(석 유, 가스, 메탄수화물), 광물(알미늄, 동, 니켈), 삼림(타이가 침엽수림), 수산물 (게, 새우, 명태) 등이 풍부하여 차세대 자원공급처임
• 미국지질조사국(USGS) 보고서(2008. 7)는 북극권에는 900억 배럴의 미확인 원유, 1670조 입방피트의 천연가스, 440억 배럴의 액화천연가스가 매장된 것 으로 추정
○ 유라시아와 태평양을 잇는 새로운 북방항로 개척
• 북극해를 통과하는 북방항로(우리나라에서 유럽까지 총 7,400마일 중 북극해 북동항로는 2,680마일)는 수에즈운하 경유 남방항로(12,000마일)보다 운항거 리를 38%나 단축시킴
○ 기후변화(지구온난화)에 적극적 대응
• 지구온난화로 북극해의 얼음이 녹아 20-30년 후에는 시베리아 북쪽 연안항로 전체가 열릴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라 여름철 일반선박의 항해가 가능할 것 으로 판단됨
• 러시아 북쪽 해안 중앙부 비르키츠키 해협부근에 연중 상존하는 해빙으로 인해 유럽으로부터의 인력, 기술, 자본이 동부시베리아까지는 아직 영향을 미치지 못하 고 있음
• 지리적으로 극동에 위치한 한국에게는 개발을 선점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를 제 공하고 있음
기획연구의 목적
○ 러시아와 협력하여 극동시베리아와 북극해 지역에서 개발된 자원을 우리나라로 운 송하기 위한 안전하고 빠른 북방항로 확보 전략 마련
기획연구 내용 및
범위
○ 북극해 북동항로 관련 자료 조사
○ 북방항로 주변 지리/자연/자원/항로 정보의 GIS D/B체계 구축
○ 자원확보와 연계한 북방항로 확보 전략 마련
추진방법
○ 러시아와 공동으로 극동 러시아 10개 지방정부와 주변해역을 우선 대상으로 추진
• 10개 지방주의 면적은 한반도의 38배이나 인구는 1/8정도임 표 5.1. “극동시베리아 자원확보를 위한 북극해 북동항로 진출 로드맵 작성”과제
제안요구서(RFP).
• 동해, 오호츠크해, 베링해, 북극해에 대한 자연환경정보: 기상, 해양, 해빙, 생물
• 항로 주변에 대한 자원: 에너지, 광물, 삼림, 수산, 해양
• 운송로: 하천/강, 도로, 철도, 해운
○ 국내의 기업, 연구소, 관련부처가 함께 참여하고 러시아와 일본을 포함한 주변국과의 국제협력으로 5개 분야에 걸친 전략을 마련
1) 항로: 북태평양 항로와 북극해 북동항로(자연환경, 운항선박) 2) 항만: 자원집하장 부근에 건설
3) 육상운송로: 개발자원의 집하장까지 운송방법 개발(하천/강, 도로, 철도, 선박, 육 상/해저 송유관 등)
4) 자원: 극동시베리아(육상자원) 및 항로해역(해양자원) 자원 중 우선순위 검토 5) 러시아 인프라: 러시아내 행정/법제 차원의 지원인프라 검토
연구개발비/ 기획연구 연구기간
○ 총 소요예산(안) : 20억원/ 2010년
[총사업비 430억원/ 총기간 9년(2010-2018)]
기획연구 결과 제시물
○ 자원 확보와 연계한 북방항로 진출 로드 맵을 제시
○ 북방항로 주변 정보자료의 GIS 데이터 베이스
○ 기획연구 최종보고서
국내외 기타:
기술개발 현황 및
전망
○ 우리 나라의 해양강국 의지
• 우리나라는 남․북극해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극지연구소를 설립하였고 극지방 해양조 사를 위한 쇄빙연구선을 건조 중이며, 또한 선박건조분야의 세계최고 수준을 보유
○ 국제북극해항로계획(INSROP)을 발족
• 일본은 1993년 러시아, 노르웨이와 공동으로 국제북극해항로계획(INSROP)을 발족시켜 1단계(1993-1995년)와 2단계(1997-1998년)에 걸쳐 북극해항로의 국제상업항로로서 이용가능성을 조사한 바 있고, 그후 일본 단독으로 일본북 극해항로계획(JANSROP)을 2005년까지 추진한 바 있음
○ 북극해 선점 경쟁이 시작됨
• 지구온난화로 북극해 얼음이 녹으면서 북극해에 묻혀 있는 석유 및 가스 자원 개발가능성이 커지고 있어 주변국(러시아, 타나다, 미국, 노르웨이, 덴막) 사이 에 영유권 분쟁이 시작됨
○ 북극해 항로가 열리고 있음
• 2007년 여름 유럽우주국(ESA) 자료에 의하면 북서항로는 완전히 뚫렸고, 북 동항로도 비루키츠키 해협 부근에서만 부분적으로 막혀 있었으나 2008과 2009년 여름에는 북동항로도 뚫렸음
• 정부간기후변화위원회(IPCC)에서는 2070년에 북극해 얼음이 완전히 없어질 것으로 예측하였으나, 일본에서는 2040년으로 예상하고 극단적으로는 2013년 에 북극해 얼음이 완전히 녹을 수도 있음을 경고
표 5.2. 극동시베리아 자원확보를 위한 북극해 북동항로 진출 로드맵 작성”과제 소요예 산.
(백만원)
년 도 금 액 산 출 근 거※
총사업비
※ 43,000 ․기간 9년(2010-2018)
․3단계로 추진
(2008) (45) ․자원개발을 위한 북극해 북동항로 기획연구: 45
(한국해양수산기술진흥원 35, 한국해양연구원 10 공동지원)
2010 2,000
․북극해 북동항로 주변 환경정보 수집(10개 지방주 전체): 1,000 -항로주변 지리정보 수집 100
-항로주변 자연환경정보 수집 300 -항로주변 자원정보 수집 300 -항로주변 운송정보 수집 300
․GIS기반 DB체계 개발: 200
․현장공동조사 : 500
․자원확보와 연계한 북방항로 진출전략 개발: 300
2011 4,500
․북극해 북동항로 주변 환경정보 수집(10개 지방주 전체): 2,000
․GIS기반 DB체계 개발: 1,000
․현장공동조사 : 1,000
․자원확보와 연계한 북방항로 진출전략 개발: 500
2012 5,500
․북극해 북동항로 주변 환경정보 수집(10개 지방주 전체): 1,000
․GIS기반 DB체계 개발: 2,000
․시험운항 및 현장공동조사 : 2,000
․자원확보와 연계한 북방항로 진출전략 개발: 500
2013 5,000
․북극해 북동항로 주변 환경정보 수집(북서태평양 지방주 1곳): 3,000
․GIS기반 DB체계 개발: 1,000
․시험운항 및 현장공동조사 : 500
․자원확보와 연계한 북방항로 진출전략 개발: 500
2014 5,500
․북극해 북동항로 주변 환경정보 수집(북서태평양 지방주 1곳): 1,000
․GIS기반 DB체계 개발: 2,000
․시험운항 및 현장공동조사 : 2,000
․자원확보와 연계한 북방항로 개발: 500
2015 5,000
․북극해 북동항로 주변 환경정보 수집(북서태평양 지방주 1곳): 1,000
․GIS기반 DB체계 개발: 1,000
․시험운항 및 현장공동조사 : 2,000
․자원확보와 연계한 북방항로 개발: 1,000
2016 5,000
․북극해 북동항로 주변 환경정보 수집(북극해 연안 지방주 1곳): 3,000
․GIS기반 DB체계 개발: 1,000
․현장공동조사 : 500
․자원확보와 연계한 북방항로 개발: 500
2017 5,500
․북극해 북동항로 주변 환경정보 수집(북극해 연안 지방주 1곳): 1,000
․GIS기반 DB체계 개발: 2,000
․시험운항 및 현장공동조사 : 2,000
․자원확보와 연계한 북방항로 개발: 500
2018 5,000
․북극해 북동항로 주변 환경정보 수집(북극해 연안 지방주 1곳): 1,000
․GIS기반 DB체계 개발: 1,000
․시험운항 및 현장공동조사 : 2,000
․자원확보와 연계한 북방항로 개발: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