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I. 국내외 대양·심해연구 환경분석
1 정책동향
가. 주요국 관련 정책동향 UN
▫ UN(국제연합)은 ˈ15년까지 제시된 새천년개발목표(MDGs, Millenium Developm ent Goals)를 통해 개도국의 빈곤 및 의료 등 사회분야 아젠다에 집중
▫ ˈ16년 수립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ˈ16~ˈ30년)를 통해서는 개도국과 선진국 을 포함한 글로벌 경제·사회적 양극화, 지구환경 파괴 등의 인류사회의 보 편적 위협요인에 대한 행동강령 제시
▫ 특히 SDGs의 17개 주제 중 하나로 해양 및 해양자원의 보존과 지속가능한 이 용을 제시하고 기후변화에 따른 해양산성화 대응과 해양생물다양성 감소 등 의 대응을 주요 아젠다로 설정
- 한편 기후변화 대응은 별도의 주제로 설정하고 기후변화 적응, 기후변화 악영 향에 대한 감축 전략 수립 등을 주요 목표로 제시
- 이미 세계적으로 강수량의 변화, 홍수 및 가뭄의 빈번한 발생, 지속적인 온실 가스 배출 등이 문제가 되고 있는 만큼 국가간 긴급한 조치를 강조
▫ 나고야에서 채택된 2011~2020 생물다양성 전략계획(ˈ10년)은 CBD 및 아이치 생물다양성 목표의 이행을 위해 기후변화에 따른 해양생물다양성을 위협 요 소들(해양산성화, 해양폐기물, 백화현상 등)에 대한 국가간 논의 추진
SDGs의 중점추진 전략 해양관련 주요 아젠다
【그림 2-1】UN 지속가능한 발전목표 및 해양부분 아젠다
II. 국내외 대양·심해연구 환경분석
- 8 -
미국
▫ 해양정책(ˈ69년), 신국가해양정책(ˈ99년), 21세기 해양청사진(ˈ04년), 해양․연안의 보호관리(ˈ10년) 등 해양에 대한 지속적인 국가 정책을 수립하여 추진
▫ ˈ13년에는 국가해양정책 실행계획(National Ocean Policy Implementation)을 발 표하고 27개 연방기관 및 부처로 구성된 국가해양의회 주도하여 세부 실행과 제들이 수행
- 동 실행계획은 ①해양경제, ②안전 및 보안, ③연안 및 해양복원, ④지역적 선택, ⑤과학 및 정보 등 5대 정책목표를 제시하는 한편 생태계기반 관리 등 9대 국가관리 우선순위를 설정
【표 2-1】국가해양정책 실행계획의 9대 우선순위
목표 세부 내용
생태계 기반 관리
▪ 해양・연안・오대호 생태계 복원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협력파트너십
▪ 생태 기반 관리를 활용하는 프로그램 조사 및 개발
▪ 생태계 기반 관리 모니터링 지식기반의
정책결정과 이해증진
▪ 해양 신재생에너지 개발
▪ 새로운 천연물질과 생명공학 프로세스를 개발
▪ 수산양식계획 작성 및 어류양식 환경건강영향 정보 공유
관측, 지도화 및 인프라구조
▪ 해양·연안 지도화 계획을 작성 및 데이터 통합
▪ 주요 연안 및 대륙붕 수역에서의 고해상 해저지도화 자료 수집
▪ 해도 작성을 위한 기술과 해저특성에 대한 음향특성화 기술 향상
▪ 무인원격탐사시스템과 위성원격탐사시스템을 활용 조정 및 지원 ▪ 수산양식 관련 허가절차 간소화 및 규제 효율성을 향상
▪ 해양과제와 관련된 국제 조직·단체(국제해사기구 등) 정보 교환 지역생태계
보호 및 복원
▪ 연안습지관리를 향상, 손실저감을 위한 각 기관들과 협력
▪ 연안역과 연안습지의 상태분석과 동향 파악, 자료 수집 및 정보 제공
▪ 산호초 생태계에 대한 기후변화와 해양산성화의 영향 관리 계획 수립 기후변화 및
해양산성화에 대한 탄력적 반응과 적응
▪ 사회경제적 모니터링 정보와 생태계 모니터링 정보를 통합
▪ 해양·연안 시설에 대한 기후변화 및 해양산성화 취약성 평가 및 사례개발
▪ 국가 어류, 야생동물, 식물 기후적응전략을 실행
▪ 연안・해양에 관한 기후정보, 수단 등을 전지구 변화 정보 시스템에 통합 연안해양공간
계획
▪ 국가해양계획 데이터 포털을 지속적으로 구축
▪ 국가정보관리시스템 실행
▪ 지역수준 해양계획을 개발
II. 국내외 대양·심해연구 환경분석
▫ 기후변화와 관련하여 ˈ90년 지구변화연구법(Global Change Research Act) 및 연방 해양산성화 연구 및 모니터링법(Federal Ocean Acidification Research And Monitoring Act)을 제정하여 시행중에 있으며, 대통령은 의회 동의 없이 추진할 수 있는 행정명령과 기후행동계획의 발령을 통해 기후정책을 운용 - 기후변화연구법에 따라 지구변화연구프로그램(USGCRP, US Global Change Re
search Program)이 추진 중에 있으며, 공간적인 범위를 자국에 한정하지 않고 전 세계적인 영향과 변화를 대상으로 연구
▫ ˈ13년에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각 부처별 목표와 세부프로그램을 담은 기후변화적응계획(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을 수립
- 동 계획에는 기후변화 대비태세를 강화하기 위한 3대 이니셔티브로 튼튼하고 안전한 지역사회 및 인프라구축, 경제 및 천연자원의 보호, 기후변화 관리를 위한 합리적 과학을 제시
EU
▫ EU는 경기침체 해소와 경제시스템의 안정화, 미래를 위한 기회 창출 등 글로 벌 경쟁력 확보와 사회문제의 해결을 위해 연구분야의 투자 확대 모색
▫ 경제발전, 기후변화, 인구고령화 등 사회적문제의 해결을 위해 유럽의 신경제 전략인 Europe 2020 Strategy를 수립하였으며, 이 중 R&D 부문의 혁신강화와 투자확대를 위한 연구혁신 프로그램인 Horizon 2020 추진
- Horizon2020은 지난 30년간 진행되어온 세계 최대의 연구개발 프로그램인 ‵Fr ame-work Program‵의 후속으로 7년간 800억 유로(ˈ14~ˈ20년)의 재정 투입 ▫ 기후 변화에 대한 대응 및 적응 분야는 Horizon 2020 프로젝트 중 가장 중요
한 분야중 하나로 전체 예산의 35% 이상을 배정
▫ 기후변화 관련 작업프로그램(Work program, ˈ18~ˈ20년)은 기후변화를 위한 모 델링 및 과학의 개발을 통한 정책결정을 위한 과학적 기반마련, 기후변화 적 응 및 대응의 영향평가를 위한 방법 및 표준개발, 기후변화에 대한 이해 제 고 및 지속가능한 발전과 연계, 대기질 개선 및 탄소저감, 기후변화네트워크 의 구축 등을 목적으로 추진
II. 국내외 대양·심해연구 환경분석
- 10 -
【표 2-2】Horizon 2020 중점 추진 내용
세부내용 구조
과학적 탁월성
유럽연구위원회 - Europe2020 정책우선사항 반영 - 유럽내 공통적 사회관심사에 대처 - 대형협력과제중심의 Top-down 정책 - 학문적 통섭을 통한 지식축적 미래신기술
마리퀴리 인력교류 프로그램 연구기반시설
산업 리더십
핵심, 산업기술 리더십 - 핵심산업투자확대를 통한 잠재력 극대화 - 혁신중소기업의 세계적 성장 지원 - 연구결과에 대한 상용화 서비스 지원 리스크 펀드 지원
중소기업 혁시
사회적 과제
보건, 인구, 웰빙
- 유럽과학기반의 탁월성 향상 - 세계 최고수준 연구발전 목표 - Bottom-up 중심 지원 정책 - 기초과학 분야 연구 및 교류지원 농업, 해양
에너지 교통 기후, 자원
동반사회 안전사회
영국
▫ 영국은 DEFRA(Department for Environment Food and Rural Affairs)와 NERC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Council)를 통해 해양관련 과학정책 프로그램 개발, 위원회개설, 보고서 발간 등을 수행
▫ ˈ09년에는 DEFRA가 개설한 해양과학조정위원회에 의해 영국의 세계수준 해 양과학의 구체화, 지원, 조정 및 적용을 목적으로 주요 전략을 담고 있는
「UK Marine Science Strategy 2010-2025」를 발표
▫ UK Marine Science Strategy(2010-2025)는 영국의 전반에 걸친 미래 해양과학 이 가야할 방향으로 해양과학에 대한 상위 우선순위 분야의 파악과 과학의 실천력 확보를 위한 전반적 장벽의 해결로 설정
▫ 해양과학 전략으로는 ①해양생태계 기능의 이해, ②기후변화에 대한 대응과 해양환경과의 상호작용, ③생태계 혜택의 유지 및 증대 등 3개의 상위 우선 순위를 제시
- 해양생태계 기능의 이해부문에서는 생물다양성, 생태계 순환과 회복에 대한
II. 국내외 대양·심해연구 환경분석
이해를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활용에 대한 연구와 해양과학 지표 개발을 목표 -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과 해양환경과의 상호작용부문에서는 기후변화에 의한
해양학적 조건들의 변화와 해양생태계에 영향에 대한 분석, 국가적/지역적 규모와 장기적인 시작의 이해와 적응계획을 위한 정보제공, 대응 및 관리 정책 제공을 목표
- 생태계 혜택의 유지 및 증대부문에서는 해양 생태계와 관련된 서비스 개발 과 새로운 형태의 재생에너지 개발, 생물다양성 보호와 어업 생산력 증대를 위한 MPAs(Marine Protected Areas)를 포함한 보존 조치들의 위치와 규모 설 정, 협력 파트너십 구축을 목표
▫ ˈ08년 기후변화법(Climate Change Act)을 제정하였으며, 국가적인 기후변화 리 스크평가(CCRA, Climate Change Risk Assessment)를 5년 단위로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가대응프로그램(NAP, National Adaptation Programme)을 수 립하는 체계로 구성
- 해양관련 CCRA의 주요 내용은 수온상승, 해안침식, 홍수 등에 따른 해양생물 다양성의 감소와 해양산성화 영향 등을 제시
- ˈ10년부터 에너지기후변화부 등 3개 부처가 공동으로 예산을 지원하여 해양산 성화가 해저면과 유용종에 미치는 영향연구 등 추진
일본
▫ ˈ98년 기후변화 방지 대책으로 지구온난화 대책 추진에 관한 법률이 제정됨에 따라 지구온난화대책 추진본부 운영
- 동법은 온실효과 가스 산정, 보고, 공표제도의 재검토, 배출 억제 등 지침 제 공, 국민생활에서의 온실효과 가스배출 억제를 위한 대책 촉진, 신규 식림·
재식림 CDM 사업에 의한 크레디트의 보전절차의 명확화, 지방공공단체 실행 계획의 충실, 지구온난화 방지활동 추진원, 행정구역의 지구온난화 방지활동 추진센터 등의 검토에 대한 내용을 포함
▫ ˈ13년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국가적응계획 프로세스(Climate Change Impact A ssessment and National Adaptation Planing Process)를 수립 및 기후변화 관
II. 국내외 대양·심해연구 환경분석
- 12 -
찰·계획·영향평가 통합 보고서 발행
-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인한 파도 및 해일 등 자연재해의 증가, 산호서식지의 북상, 오징어 어획량감소 등을 언급
- 특히 산호류의 북상에 따른 서식지의 확대에도 불구하고 2030년까지 열대산 호초의 절반이 사라질 것으로 예상
▫ 일본의 기후변화 대응 R&D 투자규모는 4,652백만 달러규모(ˈ15년 기준)로 전 체 정부 연구개발비 중 약 15% 수준
- 이 중 에너지 분야에 3,577백만달러, 환경분야에 638백만 달러, 지구탐사 및 활용분야 R&D 투자에 458백만달러 투자
▫ 과학기술 이노베이션 창조추진비의 전략적 혁신창조프로그램(SIP, Cross-minis terial Strategic Innovation Promotion Program) 예산(325억엔) 중 기후변화 대 응 관련 5개 프로젝트에 거의 50%인 159.4억엔 투자
▫ 한편 농림수산분야의 기후변화 저감 및 적응기술개발을 위한 온난화 2010 프 로젝트 진행(ˈ10년~ˈ14년)
- 기존 해조류기반 생태계의 변화 및 쿠로시오 난류의 강화에 따른 아열대화 가속화 등이 수산자원에 미치는 영향 등 연구
분야 세부 분야 예측 중요성 시급성 신뢰성
농업·임업
·수산업
회유어류 및 패류
▪ 정어리 서식지는 치어의 생존에 유리 한 북쪽 바다로 이동할 것
매우
높음 높음 중간
자연 생태계 아열대 ▪ 산호 서식지는 2030년에 절반으로 줄어들고 2040년에는 사라질 것
매우
높음 높음 중간
자연재해 및 해안 지역
폭풍 해일 및 높은 파도
▪ 해수면 상승 가능성 증가
▪ 초대형 태풍의 잦은 출현으로 태평양 해안 지역에 높은 파도 위험 증가
▪ 해일 가능성 증가와 만조 수위 상승으 로 항구와 어항 방파제에 피해 예상
매우
높음 높음 높음
【표 2-3】일본 기후변화 영향평가 중 해양부문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