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연구선 공동활용 및 인재양성 관련 동향분석

Dalam dokumen 연구선 공동활용 연구 (Halaman 91-123)

III. 연구선 공동활용 및 인재양성 관련 동향분석

1 국내외 연구선 공동활용 추진 동향

가. 국외 주요국의 연구선 공동활용 미국-UNOLS

▫ UNOLS(University-National Oceanographic Laboratory Systems)는 58개 해양연 구관련 기관이 연구선의 공동활용을 위해 ˈ72년 설립한 연합체

- 해양 연구·교육·시설 운영기관과 예산지원 기관의 통합적인 연계를 통해 활용 기회 및 예산의 효율적 배분 달성

- ˈ05년 이후 연구선의 활용 실적은 다소 감소추세에 있으나 UNOLS를 통한 연 구선 공동활용이 국가 대형인프라의 가장 효율적인 운용방식으로 인식

▫ UNOLS는 선박운항일정조정위원회(SSC), 연구선운영위원회(RVOC) 등 연구선 의 운영, 운항, 안전, 탐사장비의 관리 등을 위한 주요계획의 수립, 정책 결 정, 감독을 위한 총 9개의 세부 위원회로 구성

- 선박운항일정조정위원회(SSC): UNOLS 선박과 관련된 설비를 가장 효율적이면 서 효과적인 동시에 경제적인 활용을 위해 선박 운항일정을 조정

- 연구선운영위원회(RVOC): 선단 운영은 선단 차원뿐만 아니라 개별 선박 단위 에서도 이루어지고 있으며, 모든 UNOLS 선박을 운영하는 기관에는 해양 감 독관이 있으며 선박의 일상 운영에 대한 책임 전담, 선단의 표준 제정과 해 양 안전, 해양과학연구와 교육기관 간의 업무조율 업무수행

- 극지쇄빙선조정위원회(AICC): 쇄빙선단의 설비와 과학을 제고하기 위해 해안 경비대에 감독과 자문을 제공

- 심해잠수과학위원회(DESSC): 국가심해잠수설비의 설비 사용에 대해 감독책임 을 지며 새로운 기술 개발을 도모

- 선단개선위원회(FIC): ˈ86년 FIC를 창립하여 진화하는 해양학 연구 수요를 충 족시킬 수 있는 역량을 갖춘 선단을 유지하기 위한 선단 대체, 갱신에 대한 계획 수립을 전담

III. 연구선 공동활용 및 인재양성 관련 동향분석

- 34 -

【그림 3-1】UNOLS의 조직 구성

- 마커스랑세스과학관리위원회(MLSOC): NSF의 연구선 마커스 랑세스 호의 운 용 및 탄성파 연구를 관리

- 해양관측과학위원회(OOSC): Monterey Accelerated Research System(MARS)과 Ocean Observatory Initiative(OOI) 뿐만 아니라 다른 해양관측 지원시스템과 같은 NSF의 관측 투자와 관련되는 결정 및 계획에 대한 조언과 가이드라인 을 제공하는 역할 담당

- 연구선기술증진위원회(RVTEC): 해양에서 진행되는 과학프로그램과 해양학 설 비에 대한 기술지원을 늘리기 위한 활동과 개선을 촉진

- 해양학항공기연구과학위원회(SCOAR): 항공기 설비 관리자와 연방기관들에게 자문과 권고를 담당하며, 설비 이해관계자간의 협력과 협조를 도모

【표 3-1】UNOLS의 각 위원회별 역할

세부위원회 역할

SSC (Ship Scheduling Committee) ▪UNOLS 선박의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이용을 보장하기 위한 선박운항 스케줄의 개발 및 조정

III. 연구선 공동활용 및 인재양성 관련 동향분석

▫ ˈ17년 현재 UNOLS에 등록된 연구선은 Global급 5척 (미해군 3척, NSF소유 2 척), Ocean/ Intermediate급 6척(미해군 3척, NSF소유 2척, BBSR 소속 1척), R egional급 1척(UD 소유), Costal/Local급 6척(NSF, SIO, LUMCON, UM, UG, UM D 소유)으로 총 18척의 연구선이 등록되어 운영 중

【표 3-2】UNOLS 선단의 구성 기준

구분 Global

Class(대양규모)

Ocean / Intermediate Class(외양규모)

Regional Class (주변해역규모)

Costal/Local Class (지역규모)

단기운항일수 50일 40일 30일 20일

항해범위 25,000km 20,000km 15,000km 10,000km

전장 70-90m 55-70m 40-55m <40m

과학자승선인명 >30 25+ 20+ <15

연간활용(일) 300 275 250 180

보유척수 5 6 1 6

RVOC (Research Vessel Operators Committee)

▪해양과학연구 및 교육기관 간의 협력, 선단의 표준, 해양안전 등에 관한 사항의 홍보 및 연구영향 요인에 대한 자문

FIC (Fleet Improvement Committee)

▪선단의 유지, 개별 선박의 성능 및 효율성 향상, UNOLS 선단의 선박수 및 기능이 학술적 요구 사항을 만족하도록 유지

RVTEC (Research Vessel Technical Enhancement Committee)

▪연구선박 및 관련 장비를 사용하는 연구프로그램의 효율을 높이고, 연구 프로그램의 기술지원

AICC (Arctic Icebreaker Coordinating Committee)

▪극지방 과학 프로젝트의 기획 지원, 극지 정보 제공 및 연구자와 연구비 지원기관, 선박 및 장비의 제공자 와 연계

DeSSC (Deep Submergence Science Committee)

▪국가심해잠수설비(Alvin, Jason 등 포함)의 설비에 대 한 사용 및 자문

SCOAR (Scientific Committee for Oceanographic Aircraft Research)

▪소속 및 연계 해양기관에서 보유한 항공기의 운영자 와 자금 제공기관에 자문

MSROC (Marine Seismic Research Oversight Committee)

▪NSF 지원 해양지진 시설에 대한 과학적인 감독, 자산 관리 및 전략자문 제공

OOSC (Ocean Observing Science Committee)

▪OOI 등 해양관측지원 시스템관련 NSF의 투자 관련 결정 및 계획에 대한 자문과 가이드라인 제공

III. 연구선 공동활용 및 인재양성 관련 동향분석

- 36 -

【표 3-3】UNOLS 등록·운영 연구선 현황(ˈ17년 현재)

SIO(Scripps Institution of Oceanography), WHOI(Woods Hole Oceanographic Institution), UW(University of Washington), LDEO(Lamont-Doherty Earth Observatory), NOAA(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UH(University of Hawaii), OSU(Oregon State University), URI(University of Rhode Island), LUMCON(Louisiana Universities Marine Consortium), BBSR(Bermuda Biological Station for Research), BIOS(Bermuda Institute for Ocean Sciences), UD(University of Delaware), MLML(Moss Landing Marine Laboratories), UAF(University of Alaska Fairbanks), UM(University of Miami), UG(University System of Georgia), UMD(University of Minnesota – Duluth)

선급 선명 소유

주체

운영 주체

건조 년도

전장

(m) 총톤수 승조원/

연구원

항속 (knots)

Global

THOMAS G. THOMPSON NAVY UW 1991 84 3,250 31/36 12 ROGER REVELLE NAVY SIO 1996 84 3,180 22/37 12 ATLANTIS NAVY WHOI 1997 83.5 3,200 23/36 12 SIKULIAQ NSF UAF 2012 80 3,724 22/24 14.2 MARCUS LANGSETH NSF LDEO 1991 71.5 3,834 20/35 11 RONALD H. BROWN NOAA NOAA 1996 84 3,250 30/30 11

Ocean

KILO MOANA NAVY UH 2002 57 1,407 20/28 12 OCEANUS NSF OSU 1975 54 261 12/15 11 ENDEAVOR NSF URI 1976 56 290 17/18 11 ATLANTIC EXPLORER BBSR BIOS 1982 52 299 12/22 11 NEIL ARMSTRONG NAVY WHOI 2014 73 3,043 20/24 12 SALLY RIDE NAVY SIO 2014 73 3,043 20/24 12 Regional HUGH R. SHARP UD  UD 2005 44.5 495 8/14 11.5

Costal/

Local

ROBERT GORDON

SPROUL SIO SIO 1981 56 355 5/12 8.5 PELICAN LUMCO

N

LUMCO

N 1985 35 514 4/16 9.2 F.G WALTON SMITH UM UM 1999 26.2 97 5/14 12 SAVANNAH UG UG 2001 28 265 5/14 9 BLUE HERON UMD UMD 1985 26 200 4/7 9 CLIFFORD A. BARNES NSF UW 1966 20 80 4/6 9 USCG

ICEBREAK -ERS

USCGC HEALY USCG USCG 1999 128 16,000 75/50 12.5 USCGC POLAR STAR USCG USCG 1976 122 13,406 154/33 15

III. 연구선 공동활용 및 인재양성 관련 동향분석

▫ 연구선 공동활용에 따른 연구비와 연구선 운영비는 원칙적으로 분리되어있으 며, NSF가 운영비의 60% 이상을 지원

- 예산지원 정부기관은 NSF 63%, 해군 18%, NOAA 8%, 주정부 5%, 기타 6%

등으로 구분

【그림 3-2】UNOLS 연구선단 활용현황(ˈ05∼ˈ14년)

【그림 3-3】UNOLS 연구선단 예산투자 현황

III. 연구선 공동활용 및 인재양성 관련 동향분석

- 38 -

▫ UNOLS의 연구선 공동활용과제는 연구선 소유기관의 고유임무 수행을 위한 운항일수를 감안하여 사용희망시기 최소 3년 전에 제출하는 것으로 원칙으로 하고 항해년도 1년 전에 결정

- 통상적으로 연구선 이용공모는 2월에서 8월경 표준양식에 따라 제안하고, 타 국가의 EEZ 경유시에는 최소 7개월 전에 신청절차를 완료

- 과제심사는 연구비 지원기관에서 외부전문가들을 통해 2회 이상 실시함을 원 칙으로 하고 이후 UNOLS에서 일정에 대한 초안을 작성

- 심사 완료 및 계획 초안이 작성된 과제에 제안서에 한해 예산 운영기관에서 최종적인 예산책정과 선박 등을 결정

계획 일정 세부 진행내용

연구선 이용공모 (2월~8월)

- STR (Ship Time Request) 및 제안서 제출(마감일2주전 제출) - EEZ 경유 시 최소 7달 전까지 신청절차 완료해야함

과제 심사 (2월~8월)

- Peer and Program 리뷰: NSF, US Navy, NOAA등 연구선 소 유기관 검토 2회

계획수립 - UNOLS Scheduling: 스케줄링 초안 작성 → 스케줄링 미팅 → 최종 스케줄링

제안서 제출 및 승인 (10월)

- 해당 운영기관에 제안서 제출

- 연방기관 등의 예산 지급: 제안서 채택율은 약 33% 수준

- PI (Principal Investigator)가 양식에 따라 필요 선박 및 선급, 최적항해일 등 요청

예산 승인 (3월)

- PI는 자금지원기관과 제안된 연구프로그램에 대해 전문가 리 뷰 후 예산 승인

- 예산 승인 후 제안관련 선박 결정

【그림 3-4】UNOLS 연구선 공동활용 절차

III. 연구선 공동활용 및 인재양성 관련 동향분석

(프랑스) UMS

▫ UMS(Unité Mixte de Service)는 국가초대형연구인프라 공동활용을 목적으로 IFR IME 등 4개 해양관련 기관의 협약을 통해 ˈ11년 설립된 비상설위원회

- 국가 초대형연구인프라(TGIR) 중 해양연구선에 특성화된 조직으로 연구목적 에 적합한 선박 및 기장비의 통합운영프로그램으로 선박의 이동시간, 장비 및 연구조사팀 운영 최적화

- 선박 및 기장비의 통합운영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국가 연구선단의 발전 및 개선계획 제안, 4개 연구선 소유 주체의 투자정책 조율

▫ 선박 연간계획 수립 및 중장기 계획 수립 등의 주요 정책은 4개 회원기관의 장으로 구성된 운영위원회(Codir, Comité directeur)에서 결정

- 운영위원회는 해양연구선단 과학 전략 위원회 및 평가조직인 국립원양선박위 원회, 국립연안선박위원회의 자문 및 의견 청취를 통해 선박의 선박 활용 여 부 결정

【그림 3-5】UMS의 연구선 공동활용 절차

III. 연구선 공동활용 및 인재양성 관련 동향분석

- 40 -

【표 3-4】UMS의 세부위원회 및 역할

세부위원회 역할

Codir(Comité directeur : 운영위원회)

▪UMS를 구성하는 4개 기관(선박소유주체)장으로 구성 선박의 연간 계획 수립 및 개선사항 및 중장기 계획, 예산 등 주요 사항 의결

COSS(Conseil d'Orientation Stratégique et Scientifique de

la flotte océanographique française :

해양연구선단과학전략위원회)

▪해양연구선단 전략위원회는 운영위원회의 자문 역할, 연구선을 활용한 연구주제의 선정 및 심사

CNFH(Commission Nationale de la Flotte Hauturière :

국립원양선박위원회)

▪학술 및 기술 연구조사의 제안서의 평가

▪연안에서 20해리가 넘는 원양의 원양선박 또는 준원양선박 을 이용한 조사계획 담당

▪UMS가 계획하는 프랑스 해양 조사 결과에 대한 사후 평가

CNFC(Commission Nationale de la Flotte Côtière :

국립연안선박위원회)

▪학술 및 기술 연구조사의 제안서의 평가

▪연안에서 20해리가 이내의 연안선박 을 이용한 조사계획 담당

▪UMS가 계획하는 프랑스 해양 조사 결과에 대한 사후 평가

(일본) 동경대학교 대기해양연구소

▫ 일본 동경대 대기해양연구소 소유의 연구선 및 연구장비의 공동활용을 위한 별도의 기구인 공동이용·공동연구거점(Joint Usage/Research Center, JURC) 설 치 운영

- 공동이용·공동연구추진센터(CCRP, Center for Cooperative Research Promotio n)내에 연구항해기획센터(CCC, Center for Cruise Coordination), 관측연구추진 실(FRSS, Field Research Support Section), 연안연구추진실(CRSS, Coastal Res earch Support Section), 육상연구추진실(LRSS, Laboratory Research Support S ection)로 구성

- 동경대 대기해양연구소는 학술연구선 하쿠호마루(3991톤)와 신세마루(1635톤) 를 JAMSTEC과 협력프로그램을 통해 운영

- 공동이용·공동연구 추진센터 운영위원회를 비롯한 다양한 관계자 및 관계기

Dalam dokumen 연구선 공동활용 연구 (Halaman 91-123)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