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국내 국가시범도시

Dalam dokumen 해양 스마트 안전도시 기획연구 (Halaman 48-57)

▍세종 5-1 생활권

○ 모빌리티, 헬스케어, 에너지 등 7대 서비스 구현에 최적화된 공간계획을 통해

ˊ미

래형 스마트시티 선도모델ˊ로 구축 예정이며, 인공지능(AI), 데이터,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시티 조성이 목표

○ (위 치) 세종시 5-1생활권(274만㎡, 약 83만평)

○ (계획인구) 29,000인

○ (시행자) 세종특별자치시, 한국토지주택공사(LH)

○ (주요내용) 모빌리티, 헬스케어, 교육, 에너지․환경, 거버넌스, 문화․쇼핑, 일자리의 7

대 혁신요소 구현이 최적화된 공간계획

- 최적화된 모빌리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도시공간구조부터 새롭게 계획해 자율주행 공유 기반의 첨단교통수단 전용도로를 조성하고 일부 구역에서는 개인소유차량 진입을 제 한함

- 퍼스널 모빌리티에 최적화된 도로설계, 스마트 횡단보도나 스쿨존 안전서비스 등 보행자를 위한 요소도 공간구상에 반영

- BRT도로와 연계한 스마트 모빌리티 전용도로 설정

* 스마트 모빌리티란, 자율주행셔틀버스, 공유자동차, 퍼스널모빌리티(전동보드, 자전거 등), 도보 등 의 교통수단을 의미함

- 시민생명과 안전을 선제적이고(예방) 신속하게(응급) 지켜나가기 위한 응급용 드론, 최적경 로 및 화상연결 등 ˊ헬스케어ˊ 서비스 제공

- 데이터 기반 도시운영을 위해서는 표준수집체계 마련 및 데이터 관리․활용을 위한 인공지능 센터 구축, 3D 공간정보(실내․외, 지하시설물)를 통합한 플랫폼 구축과 도시계획․설계․시공․

운영단계에 적용한 솔루션 도출(디지털트윈), 블록체인을 활용한 보안체계 구축 및 시민 데이터 보상으로 지역화폐 발행을 통한 거버넌스 활성화(데이터보안)

* 혁신성장진흥구역: 입지규제 최소화 및 스마트서비스 융복합․활성화 공간

* 자율주행 전용도로: 자율주행, 공유차, 퍼스널모빌리티 전용(일반차량 제한)

* 소유차량 제한구역: 자율주행 전용도로 안으로는 소유차량 진입 제한

* AI데이터센터: 핵심 기반시설로 데이터센터(창업인큐베이팅센터 포함) 반영

* 스마트교육: 초․중․고등학교간 효율적 시설운영을 위한 학교시설 통합설계

* 스마트테크랩: 신기술 테스트베드 및 다목적 기업지원 용지

* 제로에너지타운: 마이크로그리드, ESS 등

○ 세종 5-1 생활권 스마트시티 조성을 위해 약 총 1조 5천억 원 소요 예상

- 세부적으로는 공간계획 7,133억 원, 혁신요소 6,850억 원, 중점전략 893억 원 등으로 구분 - 재원은 공공(정부, 지자체, 시행자)부문에서 9,500억 원, 민간(SPC, 민간기업 등)부문에서

5,376억 원 등을 분담할 계획

(그림 계속)

<그림 2-18> 세종 5-1 생활권 스마트시티 계획과 녹지축 및 모빌리티 체계

출처: http://www.sjsori.com

▍부산 에코델타 스마트시티

○ 세 갈래 하천을 중심으로 생태환경과 4차 산업혁명의 주요 기술이 어우러진 도시

○ (위 치) 부산 에코델타시티 내 세물머리(280만㎡, 약 84만평)

* 부산 에코델타시티 위치: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강동동/대저2동 일원

* 부산 에코델타시티 총 면적: 1,177만㎡(약 360만평)

○ (계획인구) 8,500인(3,380세대)

* 부산 에코델타시티 총 계획인구: 76,000인(약 30,000세대)

○ (사업기간) 2012~2023년

○ (시행자) 부산광역시, 한국수자원공사(K-Water), 부산도시공사

○ (주요내용) 로봇활용 생활혁신, 배움-일-놀이 융합사회, 도시행정

․관리의 지능화,

스마트워터, 제로에너지 도시, 스마트 교육&리빙, 스마트 헬스케어, 스마트 교통, 스마트 안전, 스마트 공원의 10대 혁신 서비스를 구현한 글로벌 혁신 성장도시

- 보행보조로봇, 주차로봇, 물류이송로봇, 패트롤로봇(순찰로봇), 의료로봇 등의 도입과 함께

로봇통합관제센터 설치 & 테스트베드 지정으로 관련 기업의 자유로운 개발과 사업화 지원 - 물순환 전과정인 ˊ강우-하천-정수-하수-재이용ˊ에 첨단 스마트 물관리 기술을 적용

고정밀 소형 강우레이더로 홍수에 대비

평강천과 맥도강에 자연적으로 물이 흘러가며 정화되는 에코필터링 설치(11만㎡)로 수질 향상

가정 등에서 사용된 물은 고도의 정수처리 과정을 거쳐 도시의 물청소와 공원용수 등에

재활용

- 배움, 일, 놀이가 공간적으로 융합되도록 스마트 근무시스템, 사회적 일자리 등을 제공 - 공연․축제를 위해 페스티벌 스트리트(폭 40m, 길이 500m)를 조성하고 증강도시 플랫폼과

연계해 다양한 미래형 콘텐츠를 제공

- 60㎿ 규모의 수소연료전지발전소를 만들어 전기 100%를 신재생에너지로 공급

- 스마트헬스케어 클러스터에 종합병원을 유치하여 첨단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의료기관과 기업간 공동연구 진행

- 퍼스널모빌리티(전기킥보드, 세그웨이 등) 200대 도입과 함께 250m(도보 3분 이내) 간격 으로 대여소를 만들어 차량 없이 이동 가능한 시스템 구축

* 5대 혁신클러스터: 공공자율혁신, 수열에너지, 헬스케어, 워터사이언스, 신한류AR․VR

* 스마트도로: C-ITS, 스마트신호, 모빌리티

* 로봇: 로봇웨이, 감시패트롤, 스마트주차장(로봇파킹)

* 혁신센터: 도시데이터분석센터, 메이커스페이스

* 스마트스쿨: 스마트패드, 전자칠판, AR․VR체험

* LWP커뮤니티센터: 도서관, WORK센터 등

* 빌딩형정수시설: 스마트 정수장 시범사업

<그림 2-19> 부산 에코델타 스마트시티 위치 및 공간구상

출처: https://www.busan.go.kr

제3장│해양 스마트 안전도시 개념 및 도시상

제1절. 해양 스마트 안전도시 개념

▍ˊ해양 스마트 안전도시ˊ란, ˊICT를 포함한 스마트 첨단기술이 기반이 되어 해양공간의

특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위협으로부터 국민(시민)의 안전성을 증진시킴으 로써 도시민의 삶의 질을 개선시켜 나가는 지속가능한 도시

ˊ

로 정의

ˊ해양 스마트 안전도시ˊ는 ˊ해양(연안)공간ˊ, ˊ스마트도시ˊ, ˊ안전도시ˊ 개념이 융합 된 ˊ자연재해 대응형 해양스마트도시ˊ

<그림 3-1> ˊ해양도시ˊ, ˊ스마트도시ˊ, ˊ안전도시ˊ 개념의 융합

출처: 해양 스마트 안전도시 건설을 위한 도시 인프라 및 공간모델 개발 연구, 한국해양과학기술원(2019.05.)

- ˊ스마트시티ˊ는 도시에 관련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드 및 소프트 인프라를 기반으

로 시민이 지능형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신개념 도시

스마트시티 개념은 도시인구 증가, 디지털 기술의 발전, 저출산, 고령화, 저성장, 환경오 염 및 자원고갈과 같은 복잡하고 다양한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 생겨남

스마트시티에 대한 개념은 국가, 경제수준, 지역 및 도시별 정책 등에 따라 상이하게 정 의되고 있어서 하나의 개념으로 정리되기는 어려움이 있으나, 공통적으로 ˊ물리적 인프라 구축과 기술개발 외에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시민의 삶의 질 개선, 도시의 지속가능성 향상ˊ에 중점을 두고 있음

주요 스마트시티 정의

- (EU) 디지털 기술을 사용하여 시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시민들에게 더 나은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며 자원을 효 율적으로 사용하고 환경 영향을 최소화함으로써 도시의 지속가능성을 향상시키는 도시

- (Harrison rt al.) 물리적 인프라와 디지털 핵심기술이 결합되어 극대화된 도시

- (김갑성) 사물인터넷 등과 같은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도시문제를 해결하고 도시경쟁력 및 시민 삶의 질을 향상시 키는 동시에 도시의 지속가능성을 추구하는 도시

- (김태경 외) 시민들의 삶의 질과 도시 운영의 서비스 효율 및 경쟁력을 향상하기 위해 ICT기술과 기타 첨단기술을 활 용한 혁신적인 도시이며,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으로 현재와 미래 세대가 요구하는 필요를 충족하는 도시 - (이재용 외) 도시공간에 정보통신기술과 친환경기술 등을 적용하여 행정, 교통 및 물류, 방범 및 방재, 에너지 및 환경,

물 관리, 주거 및 복지 등 도시기능을 효율화하여 시민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도시경쟁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환경 적으로도 지속가능한 도시

- (이정훈) 교통, 환경, 에너지, 도시기반시설 등 도시 내에서 발생될 수 있는 다양한 문제들을 시민, 공무원, 민간기업 등의 이해관계자가 함께 ICT를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성장동력을 발굴하며 발전시킬 수 있는 지역혁신시 스템/플랫폼을 제공하는 도시

- ˊ안전도시ˊ 개념은 지역사회 모든 구성원들이 사고와 손상의 예방과 안전증진을 위해 자발

적으로 노력하는 Community Model로 정의할 수 있으며, 최근 도시의 안전성 강화라는 목 표 하에 정부부처별로 다양한 사업들이 수행되었거나 진행 중에 있음

최근 들어서 ˊ안전ˊ의 가치가 매우 중요시되고 있으며, 도시민들의 삶의 질을 담보하면서 도시의 경쟁력을 결정짓는 기본 요건이 되었음

관련 사업들로는 국민안전처의 ˊ안전마을 만들기 사업ˊ, ˊ안전한 보행환경개선사업ˊ과 법무

부의 ˊ범죄예방 환경개선사업ˊ, 행정안전부의 ˊ안전도시 시범사업ˊ, 소방방재청의 ˊ방재마

을 시범사업ˊ 등

- ˊ해양도시ˊ는 도시가 연안에 입지한 지리적 특성을 반영한 개념으로, 해양도시에서의 삶은

바다와 긴밀한 관계를 맺음으로써 산업, 경제, 문화, 관광, 교통, 안전 등 다방면에 걸쳐 많 은 영향을 받음. 특히 해양도시는 해양공간의 특성상 도시의 안전이 위협받을 수 있는 여 러 요인들에 노출될 수 있어 이러한 요인이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됨

해양도시의 안전을 위협하는 요인으로는 크게 자연적 재난과 사회적 재난으로 구분 가능

(자연적 재난) 태풍, 해일, 풍랑, 호우(홍수), 조수, 적조 등

(사회적 재난) 선박교통사고, 해양유류오염사고, 해수욕장 인명사고, 해상에서의 테러, 밀 입국 범죄 등

○ 본 연구에서

ˊ해양 스마트 안전도시ˊ라 함은, 해양도시에서의 안전 위협요소 중 자

연적 재난․재해에 초점을 둔 스마트시티 모델을 의미함

○ 안전도시 구축방안으로 ICT기술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첨단정보기술을 적

용하여 선제적으로 해양기인 자연재난․재해 위험을 관리․예방하고 신속하고 효율적

현장대응을 수행하며 민-관 상호협력적 효율성을 강화하는 스마트 안전관리 개념

적용

Dalam dokumen 해양 스마트 안전도시 기획연구 (Halaman 48-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