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국내‧외 기술동향

Dalam dokumen 해양 스마트 안전도시 기획연구 (Halaman 76-91)

○ 해양안전과 관련해서는 2017년부터 선박사고 및 해양오염, 태풍대비, 적조대응 등 해양수산분야 재난의 종합적 대응체계 마련을 위한 ˊ지능형 해양수산재난정보체계ˊ 를 구축하고 운영

- ˊ지능형 해양수산재난정보체계ˊ 운영사업은 해양수산재난 예방활동 및 현장중심의 종합적 대

응지원을 위해 구축

- 1~3단계의 단위시스템 운영 및 유지․관리와 기능을 확충하고 예측정보의 생산을 통한 대응 및 예방까지의 지원체계와 실시간 적조 통합체계 구축으로 적조 대응체계를 강화함

여객선 재난대응 지원시스템, 위험물 취급항만 CCTV모니터링 시스템, 해양오염예방활동 지원시스템, 태풍상황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 해양수산재난 상황관리 및 지휘통제 시스 템, 해양재난 취약요소 관리시스템, 해양수산 재난 데이터 허브 등

해양수산재난 상황관리시스템은 구역별로 분할된 관심구역의 해양수산재난정보 일괄제공 기능 구축, 해양사고(선박, 비행체), 자연재해(태풍, 지진) 등 상황에 능동적인 정보 제 공, 재난 상황시 해당구역 환경정보를 축적하여 예방분석 기반 마련을 주요 사업내용으 로 함

1997; RIPEX 2001; RCEX 2007 등)

○ 유 럽

- 유럽의 Deltares는 2010년 이후 실시간 연안 안전 예경보시스템(Real-Time Safety on Sandy Coast)를 구축하여 폭풍해일, 너울 및 이안류 등에 대한 예측정보를 서비스하고 있음 - ICT 기술 발전으로 이동형 해양관측 플랫폼의 확대, 원활한 실시간 관측자료 교환 등 실시간

관측자료 획득 활발히 진행

- 2017년에는 REP17-Atlantic 실험을 통해 다종의 무인 해양관측시스템(10대의 AUV, 4대 의 고정익 무인기, 2대의 헥사콥터, 제어시스템으로 구성)을 활용한 관측 시도

○ 일 본

- 일본의 경우, 일본의 전해역 72개 지점에 대해서 파랑관측망(NOWPHAS: Nationwide Ocean Wave information network for Ports and HAbourS)을 구축하여 실시간 관측을 수행하고 있음 - 연안에서 파랑의 처오름 및 월파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수리모형 실험을 통해 행해졌으며,

실해역 적용에 대한 정확도는 미흡(de Wall and van der Meer 1992; EurOtop, 2007 등)

○ 국 내

- 2018년 ˊ재난‧재해 대응분야 2018년 정부 업무보고ˊ를 통해 2020년까지 1조7,025억 원을 투입하여 전국 단일 재난안전통신망을 구축 예정

- 국립해양조사원은 HF-Radar(18개 해역 44개소)를 활용하여 주요 항만 및 연안의 표층해류 를 관측하고 있으며, 해양관측부이(국립해양조사원 및 한국해양과학기술원)에서는 ADCP를 활용하여 수심별 해수유동을 관측

국내 해양관측은 관측목적에 따라 시공간적인 해상도를 보다 정밀하게 재조율하고 관측 요소를 다양화할 필요가 있음

현재 주로 비실시간 정점 관측의 비중이 높아 이동형 스마트 해양관측플랫폼을 활용하여 다양한 관측요소를 실시간으로 생산하고 전송 가능한 시스템 구축 필요

-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은 국내의 해양관련 최초 시스템인 운용해양 예보시스템을 구축하였으나 재난재해 발생 이후 국가기관 요청이 있는 경우 해양예측 정보 제공

해양 예측 정확도는 현재 78% 정도 수준으로 최첨단 실시간 관측기술 및 초고성능컴퓨 팅의 활용으로 예측정보생산시간 단축과 예측정확도 향상 가능

행안부에서는 시간 단축을 위한 단일 재난통신망 구축 예정이며, 현재 국내 재난경보시스 템은 각 기관별로 단순 일방향 전달시스템으로 운영

▍스마트 해양지진재해 관측‧예측 기술

○ 미 국

- 연방재난관리청(FEMA)은 1978년 「재난구호법(Disaster Relief Act)」에 의해 10여 개의연 방기관을 재난 및 긴급대응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1998년 「스태퍼드법(Staford Disaster Relief & Emergency Asistance Act)」에 따라 연방 재난 및 긴급대응에 대한 법 적 권한을 가지도록 하였음(FEMA, 2007a). 연방재난관리청이 관리하고 있는 재난 유형으 로는 허리케인, 토네이도, 지진 등 자연재난과 화재, 원자력 사고 등 인적 재난 등이며, 재난 유형별로 관리체계를 구축하고 있음

Northridge 지진(1994)을 계기로 HAZUS(FEMA & NIBS, 1997)를 개발하였음

HAZUS는 대상지역의 건물군, 지형도, 지진 위치 및 규모, 경제관련 데이터 등 지진, 홍 수, 바람과 같은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규모를 추정하는 시스템으로 지진자료와 지역별 기 본 입력자료를 이용하여 대상지역의 지진피해를 물리적 재해, 경제적 손실, 사회적 영향 으로 나누어 산출함

HAZUS의 피해추정 결과를 활용하여 재해위험 예측과 피해저감 계획 수립 등 의사결정 을 지원함. 이미 콜롬비아, 스위스, 터키 등에서는 시험적 단계를 거쳐 HAZUS를 이미 사용하고 있거나, 자국의 실정에 맞게 시스템을 변형하여 사용함

- 미국의 지진관리체계는 1997년 제정된 「지진재해경감법(Earthquake Hazards Reduction Act)」을 근거로 추진하였으며, 2004년 기존의 「지진재해경감법」을 보완한 「지진재해경감프 로그램개정법(National Earthquake Hazards Reduction Program Re-authorization Act)」

에 의해 연방재난관리청 책임 하에 지진관리체계를 구축하였음 - 국가 지진위험 감소 프로그램(NEHRP)

미국 지진분야 R&D사업의 추진체계를 살펴보면 국가 지진위험 감소 프로그램(NEHRP, National Earthquake Hazards Reduction Program)을 통해 FEMA, NIST, NSF, USGS 등이 협력하여 지진방재 정책 및 연구개발을 수행

- 국가 지진해일 재해경감 프로그램(NTHMP)

1992년 캘리포니아에서 발생한 지진해일로 인한 피해 경험한 이후 지진해일의 관측과 예 보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국가 지진해일 재해경감 프로그램(NTHMP, National Tsunami Hazard Mitgation Program)을 1995년에 수립하였음

NTHMP는 해안을 접하고 있는 미국의 28개 모든 주에 대해서 실행하고 있으며, 지진해일 의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위험 평가, 경고, 대응의 3단계로 구성하여 추진하고 있음 - 미국지진연합연구(IRIS) 프로그램

1984년 NSF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지진관측 자료의 획득‧분배‧관리를 위한 과학설비의 운

영을 위하여 미국 내 10여개 이상의 대학들이 컨소시엄을 구성한 비영리 연합기구로 다음 과 같은 주요 임무를 수행함

① 탄성파탐사법과 다른 지구물리학적 방법들을 이용하여 지구속성 값들과 지진원에 관한 지구물리학적 조사의 수행 및 촉진

② 자료포맷, 네트워크망, 교환규약 등의 표준화를 통해 지구물리학적 자료와 지식의 교환 을 촉진

③ 지구물리학 연구의 발전을 통해 모든 사람에게 이익이 제공되도록 IRIS 구성원, 제휴기 관, 기타 연계조직 간의 협력관계를 조성

- 미국해양대기관리청(NOAA) Weather and Water Goal 프로그램

지진해일의 감시, 관측, 예측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지진해일연구센터(NCTR, NOAA Center for Tsunami Research)를 운영하고 있음

NOAA의 지진해일 대응 프로그램인 Weather and Water Goal은 지진해일 정보가 포함된 DB를 구축하여 Web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Weather and Water Goal의 7개 프로그램 중 지진해일 프로그램이 포함되어 있음

- 미국의 지진재난관리체계는 정보수집 및 감시, 재난대응체계로 구성되어 있는데 지질조사국 (USGS,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과 태평양지진해일경보센터(PTWC, Pacific Tsunami Warning Center)에서 지진과 지진해일 정보를 수집 및 감시를 하고 있으며, 지진 및 지진해일 발생 시 연방재난관리청(FEMA)과 지방정부가 국가대응체계(NRF, National Response Framework)의 긴급지원체계(ESF, Emergency Suport Function) 기능에 따라 대응활동을 수행하고 있음

- 미국의 지진방재 관련 기관은 크게 연구, 정보수집 및 감사, 지진재난관리 기관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미국 지질조사국(USGS)이 정보수집 및 감사기관으로 활동하고 국토안보부와 미 국 연방재난관리청(FEMA)이 지진재난관리 기관으로써 지진재난에 대한 대응활동을 수행함.

미국 지진연구연합(IRIS)와 미국 해양대기관리청(NOAA)은 독립적으로 지진재난과 관련된 연구를 수행하며 미국 국립표준기술원(NIST), 미국 국립과학재단(NSF)는 협력 체계로써 재 난 프로그램 등을 통해 국가 R&D 연구개발 사업을 공동 또는 지원하고 있음

- 국가 지진해일 재해경감 프로그램 (NTHMP)

NTHMP는 지진해일의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해안을 접하고 있는 미국의 28개 모든 주 에서 실행되고 있음. 지진해일이 발생하면 인명구조와 피해저감을 위해 이들 기관의 업무 지 휘 아래 평가‧경고‧대응의 3단계로 모든 단계를 수행하고 있음

<그림 5-8> NEHRP의 기관별 업무 연계 흐름도

자료: 지진분야 R&D사업 효율화 방안, 국립재난안전연구원(2012)

○ 일 본

- 일본의 지진재난관리체계는 지진정보에 기반 경계선언 후 대응활동을 수행하고 있음. 지진 정보수집 및 감사는 지진활동 등 종합감시시스템과 지진해일 감시 등 업무시스템을 통해 수 집․분석하여 이상 현상을 감지하고 있으며, 이상 현상이 감지되었을 경우, 기상청 장관은 판 정위원회와 협의를 통해 지진 여부를 판정하게 되는데 판정 시 내각총리대신에게 보고하여 경계를 선언함으로써, 대응활동을 수행하게 됨

- 일본은 지진방재정보시스템(DIS)을 운용함

1995년 1월 17일 발생한 효교현남부지진(고베지진)은 피해상황의 조기파악과 적절한 초 동대응, 관계기관 상호간의 정보공유의 중요성이 재인식되는 계기가 됨. 이후에 정보를 수 집하고 정리하여 효과적으로 분석할 것인가에 초점을 맞추어 1995년에 재해대응정책의 모든 시행에 대한 구성을 정의하는 재해대책기본법을 개정함

국토청에서는 컴퓨터상에 수치지도로 연결된 지표정보, 지반정보, 인구, 건물 동수, 재해대 응기관 등의 정보를 다루는 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하여 재해 상황의 조기 파악과 관련기 관 상호간 정보를 공유하며 응급복구시의 신속하고 정확한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것을 목 적으로 지진방재 정보시스템인 DIS를 개발함. DIS의 관리와 운영은 내각부에서 하고 있음

지진방재 정보시스템은 일시적인 피해정보와 복구와 관련된 공공시설, 라이프라인 등에 관 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집하여 지도상에 정보를 표현함. 또한 이 시스템은 정부에서 관심

Dalam dokumen 해양 스마트 안전도시 기획연구 (Halaman 76-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