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1 조사방법
전국 단위의 근골격계부담작업 보유현황 및 사업장 특성에 따른 유해요인조사 실 시현황을 분석하기 위한 자료로 2017년도 안전보건공단 사업 중 근골격계부담작업 유해요인조사 컨설팅 사업 수행 결과를 활용하였다. 수행 대상사업장 3,105개소 중 사업장 정보, 규모 등 데이터가 부적절한 117개소를 제외한 2,988개소에 대한 데이 터를 분석한 결과를 아래와 같이 해석하였다.
3.2.2 실태분석 결과
2017년도 안전보건공단에서 근골격계부담작업 유해요인조사에 관한 컨설팅을 실 시하기 위해 방문한 3,105개소 (통계적 가치가 있는 사업장수 2,988개소) 중에 근 골격계부담작업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 사업장 수는 2,700개소였으며, 상 세 분석자료는 아래 [표 3-1]과 같다. 아래 표6에서 보면 규모에 관계없이 근골격 계부담작업을 보유한 비율은 약 88~95%로 상당히 높게 조사되었다. 이는 안전보건 공단에서는 근골격계질환 발생 위험이 높은 고위험업종, 취약계층 근로자(장년 및 여성)를 보유한 사업장을 사업대상으로 선정하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조사된 2,700 개소의 사업장은 근골격계부담작업을 보유한 사업장으로서 법적 제도 이행 의무사 항인 유해요인조사를 예외없이 실시하여야 한다.
근골격계부담작업 유해요인조사를 실시하여야 하는 사업장은 2,700개소로 조사되 었고, 제도 이행여부에 관한 확인 결과 아래 [표 3-2]에서 보듯이 72.6%에 해당하 는 1,961개 사업장이 유해요인조사를 미실시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표 3-2] 근골격계부담작업 유해요인조사 이행 현황 유해요인조사
제도 이행여부 조사 실시 조사 미실시 전체
50인미만 295(15.8%) 1,568(84.2%) 1,863(100.0%)
50인이상 444(53.0%) 393(47.0%) 837(100.0%)
전체 739(27.4%) 1,961(72.6%) 2,700(100.0%)
[그림 3-7] 근골격계부담작업 개수 보유 현황
사업장 규모에 따른 유해요인조사 미실시 비율은 사업장의 규모가 작을 경우(50 인 미만, 미실시 비율 = 84.2%)가 사업장의 규모가 클 경우(50인 이상, 미실시 비 율 = 47.0%) 보다 약 1.72배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0.000)를 보 였다. 유해요인조사를 미실시한 사업장의 규모분포를 세부적으로 구분해서 살펴보 면 5인미만 (87.3%), 5~19인(90.3%), 20~49인(78.9%), 50~99인(53.8%), 100~299인 (38.0%), 300인 이상(41.7%)으로 조사되어 규모가 작은 사업장이 미실시율이 높으나 규모와 무관하게 전반적으로 실시율이 저하 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업장별 근골격계부담작업에 해당하는 작업개수 보유 현황을 아래 [그 림 3-7]와 같이 살펴보면 미보유 사업장은 286개소이고, 1개 이상의 부담작업을 보 유한 사업장은 2,700개소이며, 이중 약 70.4%인 1,901개소 사업장에서 1~3개의 근 골격계부담작업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약 70.4%에 해당하는 사업장 소속 근로자는 우리나라 고시에서 정해둔 근골격계부담작업을 수행함에 있 어서 최소 2개 이상의 신체부위에 부담이 되는 작업을 수행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안전보건공단의 컨설팅 사업 결과를 정리하면 근골격계부담작업을 보유함으로써 유해요인조사를 실시하여야 하는 사업장의 72.6%가 조사를 미실시하였으며, 50인 미만 사업장의 경우 50인 이상 사업장보다 미실시율이 1.72배 높았다. 뿐만 아니 라, 규모의 구분을 두지 않더라도 많은 사업장에서 유해요인조사를 실시하지 않고 있는 현실태까지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부담작업을 보유하고 있는 사업장의 약 70%에서는 1~3개의 부담작업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산업현장에서 유해요인조사 실시율이 저하되는 원인의 파악과 실효성 있 는 조사의 이행 및 이를 통한 부담작업의 제거 또는 작업환경 개선이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표 3-3] 설문조사 개요
설문대상
√ 사업장 내 안전보건관리를 총괄하거나 보건관리를 전담하는 자
√ 사업장에서 근로자의 근골격계질환 예방의무가 있음을 인지하고 있는 사업장
조사업종 √ 제조업, 건설업, 서비스업
설문기간 √ 2018.05.~09.
설문개요
√ 배포된 설문지 : 200개
√ 회수된 설문지 : 145개
√ 분석된 설문지(유효데이터) : 109개
설문항목 √ 별첨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