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2 절
합적인거대바이러스에관련연구는추진된바없음.
■ 결론적으로한국해양과학기술원에서 수행되었던 상기 3개과제의결과를 본기획과제의 선행연
구결과로활용하여거대바이러스연구를체계적으로수행하고자함.
■ 이로써미래국가해양생물의질병관리및해양생태계보존을위한과학적근거확보를본연구과
제의최종연구개발목표로 제시하고자하며, 산발적으로수행되어온거대바이러스 관련소규모 연구들은필요에따라본사업개발시흡수또는포함시켜진행할예정임.
2. 연구개발계획의 적절성
■ 해양생태계에서거대바이러스의역할및확산 평가기술개발을연구목표로제안된 본기획과제
는거대바이러스현황분석및모니터링기술개발, 거대바이러스검출및진단기술개발, 거대바이 러스-숙주감염및세포반응분석기술개발, 해양생태계영향분석기술개발, 빅데이터기반거대 바이러스정보체계구축및데이터마이닝기술개발을통한국가대응전략설계및조직화등으로 구성되어있음
■ 본기획과제는최근기후온난화등으로인하여출현빈도가높아지고있는거대바이러스의생태계
내동태파악및거대바이러스로기인하여발생할 수질병을 예찰할수있는연구분야를모두포 함하여본과제를성공적으로도출하기에매우적절한것으로판단됨
■ 환경변화에따른거대바이러스및질병의확산에 대한연구는 ①감염성 질병의탐지및규명프
로젝트의 개발및 향후발전을 위해관련 기술의 융합 부분 (영국기술전략위원회, Technology
Strategy Board) ②다중숙주, 다중매개체시스템으로인한매개체전파질병의확산증가및이
에대한대응및대비 부분(영국생태센터-Centre for Ecology & Hydrology) ③위험에대한정보 교환과질병조절을위한프레임워크및국제적네트워크마련부분으로각각그필요성이제시되 었음
■ 국내최초로시도되고있는본기획과제의해양생태계에서거대바이러스 영향및확산 평가기술
개발연구는문제해결지향적인매우현실적이고적절한연구개발계획으로사료됨
■ 2013년도부터한국해양과학기술원 내부과제로수행중인‘남해생태계이머징해양병원체탐색및
검출기술 개발(‘13-‘15)’이 2015년 12월말에 만료되었으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지원 ‘해외 유입
감염성해양바이러스탐색및검출기술개발(17-22)’과제가수행중에있는시점에, 본기획과제가 수행되고있는바, 본연구기획에서는거대바이러스에대한탐색, 진단그리고 예찰에대한기초 연구를이미수행하고있어서, 이연구목표에맞춰서정책목표와연계된연구개발목표와내용을 도출하여향후연구개발결과의활용도및파급효과를높일수있도록한점은적절한판단임.
거대바이러스에대한위해도평가경험
▶ GIS기반해양정보관리및해양지수개발
전문지식및경험보유
▶ 해외거대바이러스및숙주에대한연구경험부족
▶ 거대바이러스출현예측을위한다양한환경변수 선정및검증의어려움
▶ 법정전염병 20종에의한피해예측분석경험 보유
▶ 선박평형수등을 통한외래유입종의 이동과 정착등에관한연구경험과인력보유
▶ 향후국가해양생태계 및위해관리시스템과 연계활용가능
▶ 거대바이러스국내해역에의정착및확산에
대한조사경험및인력부재
▶ 거대바이러스를통한해양생물감염가능성및
생태계파괴등에관한정보부재
▶ 기존거대바이러스조사자료부재료모니터링
적진선정의어려움내재
SWOT
S
O
W
T STRONG
내부역량 강점
OPPORTUNITY 외부환경 강점
WEAKNESS 내부역량 강점
TREAT 외부환경 강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