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추진전략

Dalam dokumen 제 출 문 (Halaman 87-91)

1. 연구단계 설정

2. 연구개발 추진전략

도입단계 발전단계

정립단계 확산단계

거대바이러스 모니터링/진단 감염/세포반응/해양생태계 영향 빅데이터 구축/ 데이터 마이닝 국가 대응전략 설계

1단계

거대바이러스빅데이터구축

도입단계 : 거대바이러스 모니터링 및 진단기술 개발

발전단계 : 거대바이러스 - 숙주 감염/세포반응 /생태계 영향 분석

2단계

국내해역거대바이러스미래변화대응방안수립 정립단계 : 빅데이터 유래 데이터 마이닝 기술 개발 확산단계 : 거대바이러스 국가대응전략 설계 및 구축

1단계

2021~2023

2단계

2024~2025

거대바이러스 모니터링/프로파일링 기술개발 및 거대바이러스

빅데이터 기반 구축

거대바이러스 빅데이터 마이닝 기술 개발 및

국가대응전략 설계

1. 국내 및 외래 거대바이러스 탐색 2. 거대바이러스 진단 기술 개발 3. 거대바이러스 감염/반응 분석 기술 개발 4. 거대바이러스-해양생태계 커플링 분석 기술 개발 5. 거대바이러스 정보처리 고도화 및 빅데이터 기반 구축

1. 거대바이러스의 해양생태계 종합평가 지수 기술 개발 2. 거대바이러스 빅데이터 구축 및 데이터마이닝 기술 개발 3. 거대바이러스 국가대응전략 설계 및 조직화

4. 포스트 거대바이러스 프로젝트 발전전략 수립 연구추진전략 4단계

도입단계추진과정

- 문헌기반거대바이러스목록작성위해도평가를통한연구대상거대바이러스리스트작성

- 국내해역거대바이러스샘플링거대바이러스탐색기술표준화

- 거대바이러스검출기법검토기술개발

■발전단계추진과정

- 거대바이러스목록연구대상거대바이러스리스트업데이트

- 위도별수입수산물기인거대바이러스샘플링거대바이러스탐색기술고도화

- 거대바이러스검출 ()실시간진단기법개발

- 거대바이러스 DB 구축빅데이터기반구축

■정립단계추진과정

- 이머징거대바이러스목록제시관리방안검토

- 이머징거대바이러스검출키트개발

- 이머징거대바이러스정기/장기모니터링방안구축종합평가지수개발

- 이머징거대바이러스빅데이터구축데이터마이닝기술개발을통한거대바이러스

예측시스템개발

■확산단계추진과정

- 이머징거대바이러스예찰시스템구축활용방안정립

- 이머징거대바이러스종합정보시스템구축공유방안확립

- 거대바이러스예찰의사결정지원체계구축

- 이머징거대바이러스국가대응전략설계조직화

3. 국제 공동연구 및 협력 전략

국제협력및공동연구의필요성

- 바이오분야의사회경제적중요성이증가함에따라질병과환경의변화사이의관계, 거대바이러

스의출현과중대성, 또한농업임업서식지에있는거대바이러스 상호작용을새롭게 이해하 려는시도가이루어지고있음

- OECD Global Forum('12)에서논의된 Emerging pathogens in the environment 주제는새로운 물, 동물, 토착외래병원체사이의교잡을포함하여농업, 삼림, 해양생태계병원균질병- 환경변화간의연결등에초점을맞추어논의되었음

- 새로운병원체의출현과감염성질환의확산은예방치료를위한기술개발아니라생활패턴

화, 국가무역규제조치대책, 그리고세계경제위기에까지이르는일련의상호작용임이 설되었음

- 환경변화에따른병원체질병의확산에대한연구는 감염성 질병의탐지규명프로젝트

의개발및향후발전을 위해관련기술의 융합부분 (영국기술전략위원회, Technology Strategy

Board) 다중숙주, 다중매개체 시스템으로인한매개체 전파질병의 확산증가이에대한

대응 및 대비부분(영국생태센터-Centre for Ecology & Hydrology) 위험에 대한 정보교환과 질병조절을위한프레임워크및국제적네트워크마련부분으로각각필요성이제시되었음

- 따라서 국내 최초로 시도되고 있는 해양생태계에서 거대바이러스의 역할 확산 연구는 관련

국제기구, 연구소 연구자들과의긴밀한 협력공동연구를필요로 하며, 이에대한전략적인 접근이요구됨

■국외협력연구방법

- 국제거대바이러스심포지움개최

- 국외전문가초청세미나개최

- 국외전문가협력현장조사공동시료분석

- 국외전문가공동논문출간

■거대바이러스연구사이트세계지도(global map)

1. 공동연구가가능한전세계거대바이러스연구기관위치지도

지역 미국 유럽 호주 일본 중국 기타

기관수 14 19 4 2 6 14 59

북극해

태평양 대서양

인도양 대서양

유럽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오세아니아

아프리카

아시아

2. 거대바이러스병원체협력기관협력분야

국가 기관 연구자 연구주제 협력분야

미국 University

of Florida Waltzek TB. 거대바이러스전유전체분석

계통유전학분류

연구자교류방문연구가능 해양수계의거대바이러스특성

미국 University of

Tennessee Wilhelm SW.

메타대사체분석을통한거대바 이러스-숙주상호작용관계

연구

해양수계의거대바이러스감염 특성확보된감염샘플을이용한

실험가능

미국

Monterey Bay Aquarium Research Institute

Worden AZ. 수계바이러스분포특징

연구

연구자교류방문연구가능 해양수계의거대바이러스특성

독일

Max Planck Institute for Medical Research

Hackl T. 거대바이러스-숙주간유전체

통합연구

해양수계의거대바이러스감염 특성확보된감염샘플을이용한

실험가능

프랑스 Aix-Marseille

Université La Scola B. 거대바이러스신종분석

연구

연구자교류방문연구가능 해양수계의거대바이러스특성

프랑스 Sorbonne

University Grimsley NH. 피코디엔에이바이러스-

미세조류감염 연구

해양수계의거대바이러스감염 특성확보된감염샘플을이용한

실험가능 노르

웨이

University of

Bergen Sandaa RA. 거대바이러스의시계열분석

숙주감염연구

연구자교류방문연구가능 해양수계의거대바이러스특성

호주

School of Biological Sciences at Flinders University

Mitchell JG. 미생물군집거대바이러스

표지자연구

연구자교류방문연구가능 해양수계의거대바이러스특성

일본 Kyoto University Ogata H.

박테리아-고생물군집 거대바이러스유전체

분포연구

연구자교류방문연구가능 해양수계의거대바이러스특성

브라질

Universidade Federal de Minas

Gerais

Abrahao JS. 미미바이러스감염숙주

유전체연구

해양수계의거대바이러스감염 특성확보된감염샘플을이용한

실험가능 중국 Ocean University

of China McMinn A. 바이러스다양성환경요인과

상관관계연구

연구자교류방문연구가능 해양수계의거대바이러스특성

Dalam dokumen 제 출 문 (Halaman 87-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