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연도별특허출원동향을살펴보면, 해양(A) 기술이전체 374건중 82건(22%) 이었으며, 육상
(B) 기술이 292건(78%)을출원하였음
■ 해양및 육상거대바이러스 전체기술의 위치는 1구간(1987년~1992년)부터 4구간(2005년~2010
년)까지 출원건수와출원인의수가계속 증가하고, 최근인 5구간(2011년~2016년)에서는 출원건
수와출원인수가함께감소하여, 전체적으로성숙기에진입하는것으로볼수있음.
■ 해양기술은구간별로도절대적인출원건수와출원인수가함께 적은것은기술개발이아직본격
화되지않은태동기에속하는것으로볼수있음.
■ 육상기술은전체적으로성숙기에진입하는것으로볼수있음
■ 해양(A) 기술의 소분류별 특허출원동향을 살펴보면, 방제(AE) 33건(40%), 진단방법(AB) 28건 (34%), 종판별(AA) 16건(20%), 배양(AC) 6건(6%) 순으로출원하였음
■ 육상(B) 기술의 소분류별특허출원동향을살펴보면, 방제(BE) 221건(76%), 배양(BC) 27건(9%),
진단방법(BB) 24건(8%), 종판별(BA) 20건(7%) 순으로출원하였음
■ 해양(A) 기술의국가별특허출원동향을살펴보면, 해양기술전체 82건중중국출원이 42건으로
전체중 51%로가장 많았고, 이어서한국(18건, 22%), 일본(8건, 10%), 미국(6건, 7%), 국제(6건,
7%), 유럽(2건, 3%) 순으로특허를보유하고있음
■ 육상(B) 기술의 국가별 특허출원 동향을 살펴보면, 전체 292건 중 미국출원이 73건으로 전체
중 25%로 가장많았고, 이어서 일본(58건, 20%), 한국(49건, 17%), 국제(48건, 16%), 중국(35건,
12%), 유럽(29건, 10%) 순으로특허를보유하고있음
■ 시장별로기술분류에따른상대적인비중을살펴보면, 전체적으로한국, 미국, 일본, 및유럽특허 공통적으로육상방제기술에 대한특허가가장많아, 전세계적으로이기술에대한연구개발이 가장활발한것을확인할수있음
■ 해양 거대바이러스 분야에서 가장 많은 특허를 보유한 출원인은 South China Sea Inst.
Oceanolog. (CN)가 8건의특허를보유하여주요경쟁자 TOP1으로나타났음.
■ 즉, 해양거대바이러스분야에서는시장을주도하는리딩(Leading) 기업은없는것으로분석되며,
최상위다출원인의특허건수도 10건미만에불과하여그순위가큰의미를가지지않음
■ 육상거대바이러스 분야에서가장 많은특허를 보유한 출원인은, 다출원 1위인 Bavarian Nordic
AS(DK)를 비롯하여 상위 TOP10의 다출원인이 거의 방제 기술을 역점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즉, Bavarian Nordic AS(DK)가보유하고있는 42건의특허중방제기술이 27건, 종판별 6건, 배양
9건에대한것임
■ 전체적으로해양거대바이러스종판별기술은중국, 한국을중심으로연구개발되는것으로나타
나나, 전체건수가많은것은아님.
■ 해양거대바이러스진단기법기술은해외기업을중심으로더활발히연구개발되는것으로나타
나고있으며, 진단기법에대한다수의특허를확보하는것이바람직함.
■ 거대바이러스종판별기술은다국적으로연구개발되는것으로보이나, 거대바이러스중폭스바
이러스외에는특정리딩기업은존재하지않아기술선점을위해기술개발에주력할필요가있는 것으로판단됨.
■ 육상거대바이러스진단기법기술은 해외산학또는연구기관을중심으로연구개발되는것으로
나타나고있는것으로보아, 이기술분야의시장은활성화되고있는것으로보임.
■ 육상거대바이러스 배양 기술은 전체 특허건수가 많지않고, 특히, 국내 특허는 존재하지 않는
상태이므로, 이분야의기술확보를통해외국기업에대한기술경쟁력을극대화할필요가있는것 으로판단됨.
기술구분 국내기술경쟁력 해외특허장벽
해양 거대바이러스
종판별 (AA) 6.5 6.6
진단방법 (AB) 3.6 4.4
배양 (AC) 3.4 6.7
방제 (AE) 5.0 4.2
■ 육상거대바이러스방제기술에서는, 외국기업을중심으로연구활동이주로이루어지고있어서, 이분야의기술기술경쟁력을강화할필요가있는것으로판단됨
■ moon chart 분석결과를참조하면, 기술별로국내와외국의기술수준은상이하나, 대체로보통수
준인것으로 나타났고, 세부기술별로차이는나지만, 해외의기술수준이국내보다다소높은 것 으로나타남
■ 미국(USPTO) 등록특허에대하여상위 10개출원인국적을대상으로지수분석을통해국가별기
술수준을비교해보면, 해양(A) 기술분야의경우, 캐나다의특허만존재하며, 등록특허수가높지 않고, 인용도지수(CPP)는우수하고, 영향력지수(PII), 기술력지수(TS), 시장확보지수(PFS)는높지 않아특허의질적, 양적수준은낮은것으로나타남
■ 육상(B) 기술분야의 경우, 미국은등록특허수, CPP, PII, TS, PFS 모두우수하고, 다른국가보다 압도적임. 덴마크, 프랑스는미국에비해등록건수가많은편은아니지만, 인용도지수(CPP), 영향
력지수(PII), 기술력지수(TS) 및시장확보지수(PFS)가우수한편임
■ 전체적으로, 해당기술 분야에서한국 국적을 포함하는다른 국적의 미국등록특허는 미비하여,
연구개발및경쟁력이미약한분야인것으로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