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다음은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결과이다. 부모관 계, 교우관계, 자아존중감의 모든 측정변수들의 왜도와 첨도를 확인한 결 과, 정규성 판단기준에 벗어난 경우가 없었다. 일반적으로 왜도의 절대값 이 3미만이고 첨도의 절대값이 10미만일 경우에 다변량 정규성을 충족했 다고 판단한다(Kline, 2005).

부모관계, 교우관계, 자아존중감의 시점별 상관은 <표 Ⅳ-1>와 <표 Ⅳ-2>

에 제시하였다. 주요변인 모두 동일시점 내의 측정변인 간 상관이 높고, 시 점 간 차이가 커질수록 상관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부모 관계는 같은 시점 간 상관이 .59 이상, 교우관계는 .42 이상, 자아존중감은 .41 이상으로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다른 시 점 간 상관은 동일 시점 내의 문항 간 상관보다 모두 낮은 상관을 보여 변 수들이 시기별로 일관된 경향성을 보였다.

변인 간 시점별 상관관계는 <표 Ⅳ-3>에 제시하였다. 대체적으로 부모 관계(.33~.49) 및 교우관계(.31~.42)와 자아존중감은 비슷한 정도의 정적 상 관관계가 있었다. 학업성취도는 친구관계(.05~.08)보다는 부모관계(.16~.19) 와 더 상관이 높았으며 자아존중감 또한 부모관계와 비슷한 정도의 정적 상관(.15~.19)을 보였다. 변인 간 상관이 .80이상인 경우 다중공선성 (multi-collinearity) 존재 가능성을 의심할 수 있는데(유태균, 김경휘, 2013), 변인 간 상관이 .49 이상인 경우가 없어 분석에 무리가 없다고 판단하였 다.

기 술 통 계 중1 중2 중3 사례

S.D. 왜도 첨도 1

(6) 2 (7) 3

(8) 4 5 1

(6) 2 (7) 3

(8) 4 5 1

(6) 2 (7) 3

(8) 4 5

중1

1 3639 1 5 4.15 0.92 -1.00 0.73 1.00 2 3639 1 5 4.07 0.94 -0.90 0.49 0.73 1.00 3 3640 1 5 4.06 0.96 -0.85 0.22 0.69 0.75 1.00 4 3641 1 5 4.18 0.91 -1.00 0.64 0.65 0.70 0.78 1.00 5 3638 1 5 3.94 1.04 -0.78 -0.01 0.59 0.68 0.70 0.74 1.00

중2

1 3559 1 5 4.06 0.90 -0.84 0.49 0.48 0.44 0.44 0.43 0.40 1.00 2 3555 1 5 4.01 0.92 -0.78 0.35 0.42 0.47 0.45 0.45 0.43 0.76 1.00 3 3558 1 5 4.07 0.90 -0.81 0.42 0.42 0.44 0.50 0.48 0.43 0.66 0.72 1.00 4 3555 1 5 4.14 0.88 -0.90 0.65 0.41 0.45 0.47 0.52 0.45 0.65 0.70 0.80 1.00 5 3556 1 5 3.90 1.02 -0.71 0.01 0.36 0.42 0.43 0.45 0.50 0.58 0.65 0.69 0.75 1.00

중3

1 3497 1 5 4.07 0.88 -0.88 0.80 0.43 0.42 0.42 0.40 0.38 0.51 0.46 0.45 0.44 0.41 1.00 2 3835 1 5 4.17 0.85 -0.79 0.49 0.39 0.44 0.42 0.42 0.40 0.46 0.49 0.44 0.45 0.44 0.77 1.00 3 3497 1 5 3.96 0.96 -0.84 0.60 0.39 0.41 0.44 0.43 0.41 0.44 0.45 0.51 0.49 0.44 0.72 0.73 1.00 4 3498 1 5 4.17 0.85 -0.93 0.77 0.36 0.40 0.42 0.46 0.41 0.44 0.46 0.49 0.54 0.46 0.68 0.71 0.81 1.00 5 3499 1 5 3.96 0.96 -0.77 0.28 0.34 0.39 0.40 0.40 0.45 0.39 0.43 0.43 0.47 0.52 0.63 0.69 0.73 0.78 1.00

중1

6 3674 1 5 4.45 0.78 -1.51 2.39 1.00 7 3660 1 5 4.28 0.80 -0.99 0.79 0.49 1.00 8 3650 1 5 4.12 0.80 -0.61 0.09 0.42 0.50 1.00 중2

6 3577 1 5 4.45 0.74 -1.41 2.26 0.43 0.28 0.27 1.00 7 3571 1 5 4.27 0.79 -0.96 0.82 0.33 0.41 0.31 0.51 1.00 8 3563 1 5 4.13 0.79 -0.55 -0.12 0.27 0.28 0.41 0.46 0.54 1.00 중3

6 3509 1 5 4.46 0.70 -1.37 2.40 0.37 0.24 0.24 0.46 0.33 0.30 1.00 7 3506 1 5 4.26 0.78 -0.93 0.72 0.29 0.34 0.27 0.34 0.45 0.32 0.57 1.00 8 3503 1 5 4.18 0.76 -0.66 0.23 0.27 0.27 0.35 0.32 0.35 0.44 0.53 0.58 1.00 주1: 모든 상관계수가 유의수준 .01에서 유의하다.

주2: 1=자녀의 학교생활에 대한 관심, 2=자녀의 학없에 대한 격려, 3=자녀와의 시간 갖는 노력, 4=자녀에 대한 사랑과 애정, 5=자녀에 대한 이해, 6=

<표 Ⅳ-1> 사회적 지지(부모관계, 교우관계) 측정 문항의 기술통계 및 시점별 상관

기술통계 중1 중2 중3 사례

S.D. 왜도 첨도 1 2 3 4 5 1 2 3 4 5 1 2 3 4 5

중1

1 3660 1 5 3.76 0.92 -0.38 -0.14 1.00 2 3659 1 5 3.78 0.94 -0.40 -0.22 0.78 1.00 3 3658 1 5 3.90 0.94 -0.60 0.07 0.75 0.83 1.00 4 3659 1 5 3.91 0.96 -0.63 0.02 0.71 0.76 0.83 1.00 5 3658 1 5 3.88 0.98 -0.64 0.01 0.67 0.72 0.77 0.81 1.00

중2

1 3554 1 5 3.76 0.86 -0.30 -0.12 0.46 0.41 0.42 0.41 0.40 1.00 2 3555 1 5 3.75 0.91 -0.32 -0.20 0.42 0.48 0.46 0.46 0.45 0.78 1.00 3 3555 1 5 3.86 0.89 -0.45 -0.05 0.42 0.46 0.48 0.46 0.45 0.76 0.85 1.00 4 3553 1 5 3.86 0.92 -0.49 -0.11 0.42 0.45 0.47 0.49 0.47 0.71 0.77 0.83 1.00 5 3552 1 5 3.81 0.93 -0.50 -0.05 0.39 0.43 0.44 0.46 0.48 0.68 0.74 0.78 0.82 1.00

중3

1 3501 1 5 3.81 0.86 -0.37 -0.11 0.38 0.36 0.35 0.35 0.35 0.50 0.46 0.45 0.45 0.41 1.00 2 3501 1 5 3.77 0.89 -0.35 -0.20 0.36 0.42 0.40 0.38 0.38 0.46 0.52 0.48 0.49 0.46 0.76 1.00 3 3500 1 5 3.89 0.88 -0.43 -0.16 0.37 0.40 0.42 0.41 0.38 0.45 0.49 0.51 0.50 0.47 0.74 0.82 1.00 4 3500 1 5 3.89 0.90 -0.48 -0.14 0.35 0.38 0.40 0.42 0.41 0.44 0.48 0.49 0.53 0.49 0.70 0.75 0.83 1.00 5 3500 1 5 3.82 0.93 -0.46 -0.17 0.35 0.38 0.39 0.39 0.41 0.42 0.47 0.47 0.50 0.51 0.65 0.73 0.77 0.82 1.00 주1: 모든 상관계수가 유의수준 .01에서 유의하다.

주2: 1=나는 좋은 성품을 가진 사람, 2=나는 능력있는 사람, 3=나는 가치있는 사람, 4=자신에 대한 긍정적 태도, 5=자신에 대해 대체로 만족

<표 Ⅳ-2> 자아존중감 측정 문항의 기술통계 및 시점별 상관

기 술 통 계 부모관계 교우관계 자아존중감 학업성취도 사례

최소 최대 평균 S.D. 왜도 첨도 중1 중2 중3 중1 중2 중3 중1 중2 중3 중1 중2 중3

중1 3642 1 5 4.08 0.83 -0.79 0.31 1.00

중2 3559 1 5 4.04 0.80 -0.67 0.25 0.59 1.00

중3 3499 1 5 4.05 0.79 -0.74 0.53 0.53 0.60 1.00

중1 3675 1 5 4.28 0.64 -0.83 0.80 0.34 0.27 0.25 1.00

중2 3578 1 5 4.28 0.63 -0.73 0.57 0.29 0.35 0.28 0.51 1.00

중3 3509 1 5 4.30 0.63 -0.77 0.87 0.28 0.32 0.39 0.43 0.53 1.00

중1 3660 1 5 3.84 0.85 -0.48 0.03 0.49 0.38 0.34 0.42 0.31 0.30 1.00 중2 3556 1 5 3.81 0.81 -0.31 -0.14 0.38 0.49 0.36 0.32 0.40 0.34 0.55 1.00 중3 3502 1 5 3.83 0.80 -0.27 -0.26 0.33 0.38 0.47 0.32 0.33 0.42 0.48 0.58 1.00

중1 3695 150.5 467.0 335.12 46.78 -0.38 1.18 0.17 0.17 0.18 0.08 0.08 0.06 0.16 0.19 0.18 1.00 중2 3556 293.0 531.0 384.28 39.69 0.42 -0.51 0.16 0.19 0.16 0.07 0.07 0.06 0.15 0.19 0.17 0.73 1.00 중3 3499 177.0 479.5 353.88 48.96 0.25 -0.54 0.16 0.18 0.16 0.06 0.08 0.05 0.15 0.17 0.17 0.67 0.75 1.00 주1: 모든 상관계수가 유의수준 .01에서 유의하다.

주2: 부모관계, 교우관계, 자아존중감은 각 시점별 측정변인의 평균 값이다.

<표 Ⅳ-3> 주요변인(시점별 평균 값) 기술통계 및 시점별 상관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