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그림 Ⅲ-1] 주요변인의 측정동일성 검증모형

따라서 [그림 Ⅲ-1]와 같이 매 시점 잠재변인의 측정모형(measurement model) 간 상관을 잡아주었고, 매년 측정되는 동일한 문항의 측정오차 간 상관을 잡아준 모형으로 측정동일성을 검증하였다.

종단연구에서의 측정동일성은 약한 측정동일성을 충족하는 것을 이야 기하며, 이후의 과정은 추가적인 확인 과정이라 할 수 있다. 형태동일성은 모형의 적합도에 근거하여 판단하며, 그 외의 검증은 요인계수, 절편, 분산 등을 시점 별로 자유롭게 추정한 모형과 동일 제약을 가한 모형의 카이제 곱차이검증()에 근거하여 판단한다. 이 때 비교 모형 간 차이가 유의하 지 않은 경우, 측정동일성이 충족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나.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

변인 간 양방적 관계(Bidirectional relationship)를 모형에 반영하여 종단 매개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며, 특징을 모형에 반영할 수 있음을 확 인하기 위하여, 제한된 교차지연모형, 교차지연모형, 2시점 지연모형을 연 구모형으로 설정하여,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관 계를 살펴보았다. 이 중 사회적 지지를 구성하는 부모관계와 교우관계를 각각 모형화 하여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즉, 부모관계, 자아존중감,

학업성취도 간 관계를 분석한 모형은 ‘부모관계 모형’으로, 교우관계, 자아존중감, 학업성취도 간 관계를 분석한 모형은 ‘교우관계 모형’으로 모형화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부모관계 모형 내 세 가지 하위모형, 교우관계 내 세 가지 하위 모형으로 분석하여 총 6개 모형에 기초하여 변 인 간 관계를 살펴보았다. 부모관계, 교우관계, 자아존중감은 잠재변인으 로, 학업성취도는 측정변인으로 설정하였으며, 같은 변인의 시점 간 측정 오차 상관을 설정하였고, 같은 시점에 측정된 변인의 잠재변인 간 상관도 설정하였다13).

[그림 Ⅲ-2] 제한된 교차지연효과모형

‘제한된 지연효과모형’은 기존 국내 연구에서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 을 활용하여 종단매개를 검증할 때 주로 활용한 모형으로 이 연구의 문제 의식을 반영한 모형이며, [그림 Ⅲ-2]과 같다. 이 모형은 부모관계가 자아 존중감을 거쳐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방향을 가정하여, [그림 Ⅲ-2]와 같이 5개의 교차지연경로(Cross-lagged effect)만 설정하였다. 중1 사회적 지지 가 중2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중3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경로와 관련된 세 가지 경로계수14)에 근거하여 종단매개효과를 확인하게 된다.

13)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의 측정모형(measurement model)과 같은 변인의 시점 간 측정오차 상관은 생략하여 세 가지 하위모형의 연구모형 제시하였다. 부모관 계는 5문항, 교우관계는 3문항, 자아존중감은 5문항을 사용하여 잠재변인을 구성 하였고, 중1-중2, 중2-중3, 중1-중3 시점 간 같은 내용을 묻는 측정변인 간 상관 을 잡아주었다.

14) 세 가지 경로계수는 중1 사회적 지지가 중2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경로, 중2 자

[그림 Ⅲ-3] 교차지연효과모형

‘교차지연효과모형’은 제한된 지연모형에 변인 간 모든 교차지연 경 로를 설정한 모형이며, [그림 Ⅲ-3]과 같다. 제한된 지연효과모형 결과와 비교하여 중학교 시기 세 변인 간 양방적 관계가 나타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림 Ⅲ-4] 2시점 지연효과모형

‘2시점 지연효과모형’은 교차지연모형에 자아존중감이 중3 사회적 지지와 중3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2시점 지연경로를 설정한 모형이며, [그 림 Ⅲ-4]과 같다. 이는 자아존중감이 중학생의 삶에 미치는 지속적 영향을 고려하여 모형에 반영한 부분이다.

미치는 경로를 말한다.

최종적으로 적합도 비교에 근거하여 분석 자료를 가장 잘 설명하는 최 종 모형을 확인한 후, 변인 간 종단적 관계 및 종단매개효과를 살펴봄으로 서 중학교 3년 동안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 학업성취도 간 관계의 변화 양상을 확인하고자하였다.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