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기후변화에 따른 생물다양성 모니터링 및 변화예측

Dalam dokumen 한반도 보호지역 발전방안 연구 (Halaman 115-123)

Ⅳ. 한반도 보호지역 발전을 위한 R & D 과제 발굴

- 생태계서비스 유형: 공급서비스(Provisioning Services), 조절서비스(Regulating Services), 문화서비스(Cultural Services), 지지서비스(Supporting Services)

- 생태계 및 생물다양성은 여러 가지 구성요소와 가치로 종합할 수 있으며 생태계서비스는 그런 가치를 종합하는 척도로 활용 가능함

- 생물다양성 및 기후변화 등에 의해 도출된 정보들은 생태계서비스와 연계하여 모니터링하 고 변화를 예측(20년, 50년)하여 정책적으로 대응 필요

모니터링 정보를 활용한 변화예측 필요

- 지구관측 플랫폼의 개발은 정보의 불균형성을 극복하기 위한 목적을 포함하고 있으며, 플 랫폼을 통해 수집되는 정보는 생태계서비스 및 생물다양성 확보를 통한 한반도 생태네트 워크의 연계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목적을 포함

- 플랫폼을 통해 수집되는 다양한 정보는 생물다양성 및 생태계서비스 측면에서 종합되고 변화하는 환경을 모니터링 하여 환경문제에 대응

3차 남북정상회담에서 선언한 자연생태계의 보호 및 복원의 구현 필요

- 3차 남북정상회담에서 선언된 자연생태계의 보호 및 복원은 실천적 성과를 위한 노력이 포함되어 있어 선언문의 구현 필요

- 하지만 북한의 자연생태계 정보의 수집과 분석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지구관측 플랫폼을 통해 정보를 수집하고 생태계서비스 및 생물다양성을 통한 변화 예측필요

나. 연구 목적

지구관측 플랫폼을 통해 수집된 정보를 활용한 북한 생물다양성 모니터링 및 변화예측

다. 주요 사업 내용

기후변화 취약성 분석을 위한 생물기후권역 구축

생물다양성 모니터링을 위한 생물기후취약성 분석 모델 개발 지구관측 플랫폼을 활용한 생물다양성 모니터링 기술 개발

Ⅳ. 한반도 보호지역 발전을 위한 R & D 과제 발굴 3. 기후변화에 따른 생물다양성 모니터링 및 변화예측

라. 세부 개발 대상기술

기후변화 취약성 분석을 위한 생물기후권역 구축 기후변화 취약성 분석을 위한 과정

- 기후변화 취약성은 기후데이터의 수집에서부터 시작하여 현재 및 미래의 생물기후 변수를 구축하고, 동북아 생물기후도 구축, 생물기후권역의 변화분석, 생물기후권역 취약성 지수 및 자연성 지수를 개발하고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프레임웍 제시

- 이 과정은 월간 기온 및 강수량 정보에서부터 시작하여 토지피복, 지형 등 다양한 정보를 필요로 하며 지구관측 플랫폼은 이 과정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제공하게 되어 더욱 정 밀한 결과를 도출 가능하게 할 수 있음

[그림 Ⅳ-3-2] 기후변화 취약성 분석을 위한 과정 기후변화 취약성

- 기후변화 취약성이란 “기후 다양성과 극한 기후 상황을 포함한 기후 변화의 역효과에 대 한 시스템의 민감도, 또는 대처할 수 없는 정도(IPCC)”, “기후 변동이나 스트레스에 대 한 노출과 이에 대한 대처, 회복, 적응능력에 따른 노출단위의 위험에 대한 민감도 (UNDP)” 등으로 정의되고 있음120)

- 식량안보 및 자연재해 등이 기후변화에 노출되어 대처할 수 없는 정도를 의미하는 민감 도로, 본 연구에서는 생태계 또는 보호지역에 적용하여 서식처가 기후변화로 인해 바뀌고 그 서식처에 분포하고 있는 생물종이 변화하거나 감소 또는 멸종될 수 있는 가능성으로 볼 수 있음

생물기후권역 분석 결과

- 분석 결과는 동북아를 대상으로 도출되고 추후 지구관측 플랫폼의 정보 수집을 통해 세 밀화 가능함(수집가능한 정보로 도출된 동북아 생물기후권역은 총 15개로 구분)

- 북한은 기후변화, 황폐화, 대기오염, 수질오염 등 다양한 환경문제에 직면하고 있으며 3 차 남북공동선언을 통해 한반도의 환경문제를 극복하고자 하는 의지를 보이고 있으나 정 보제공 및 수집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는 상황임

- 아열대 기후지역(14, 15)은 북쪽으로 확장되는 경향이 있고, 한대 및 산악지역(1, 2, 4, 8)은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중부내륙의 고온다습한 기후지역(6, 7)은 확장되는 경향 이 있음

[그림 Ⅳ-3-3] 생물기후권역 분석결과

120) 국가기후변화적응정보포털(https://kaccc.kei.re.kr/portal/index.do)

Ⅳ. 한반도 보호지역 발전을 위한 R & D 과제 발굴 3. 기후변화에 따른 생물다양성 모니터링 및 변화예측

[그림 Ⅳ-3-4] 생물기후권역의 변화 및 예측

생물다양성 모니터링을 위한 생물기후취약성 분석 모델 개발 생물다양성 모니터링

- 생물다양성은 생물종의 조사로부터 도출할 수 있고 또는 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인 서식처의 특성으로 부터도 도출 가능함

- 생물종의 조사는 조사자의 지식수준과 경험에 따라 조사결과가 달라지는 특성이 있고 조 사지역, 조사강도, 조사방법 등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으나 가장 정확한 사실정보를 수 집할 수 있는 방법으로 볼 수 있음

- 하지만 북한을 비롯한 접근불능지역이나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에 대한 조사는 직접조사에 소요되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긴 특성을 갖고 있음

- 지구관측 플랫폼은 이런 직접조사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원격탐사기법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을 통해 정보를 생산함

- 생물다양성은 식생을 기반으로 하여 다양한 동식물의 범위까지로 볼 수 있음

- 생태계의 기반이 되는 식생은 원격탐사 기법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용이하게 취득할 수 있어 기회요소로 볼 수 있음

- 지구관측 플랫폼을 통해 지속적으로 생물다양성을 모니터링 하고 북한지역의 정보 또한 누적하여 한반도 생물다양성 및 생태계서비스 가치 측정이 필요함

생물기후취약성

- 생물기후 취약성 지수(BVI)는 현재 및 미래기후와 이런 기후지역의 이동속도에 의해 도 출되는 지수로 값이 클수록 취약한 정도를 나타냄

- 또한 자연성지수(NI)를 개발하여 취약성 지수와 비교하고 이렇게 도출된 결과를 통해 생 물다양성 보전전략을 도출함

[그림 Ⅳ-3-5] 생물기후 취약성 분석방안 예시(최유영, 2020)

Ⅳ. 한반도 보호지역 발전을 위한 R & D 과제 발굴 3. 기후변화에 따른 생물다양성 모니터링 및 변화예측

[그림 Ⅳ-3-6] BVI와 NI에 따른 생물다양성 보전전략(안)(최유영, 2020)

지구관측 플랫폼을 활용한 생물다양성 평가 및 모니터링 지구관측 플랫폼 데이터 연계

- 구축된 생물기후 취약성은 한정된 정보를 통해 도출된 결과임. 불확실성을 포함하고 있는 결과로 사실정보에 의한 검증이나 교정에 한계가 있을 수 있음

- 또한 한반도 지역을 중점적으로 검토하기 위해서는 한반도에 적합한 데이터의 수집이 필 요하지만 데이터 수집 또한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는 현황임

- 따라서, 지구관측 플랫폼을 통한 데이터 부족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방향 모색

- 지구관측 플랫폼에서 수집되는 데이터들은 기존의 데이터 불균형성을 보완하고 데이터의 정밀화와 세밀화 또한 향상시킬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으로 북한 보호지역 및 환경 정책에 필요한 세부적인 기초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

생물다양성 평가 및 모니터링

- 생물다양성 평가에 활용될 데이터는 지구관측 플랫폼으로부터 수집되기 때문에 데이터의 풍부성을 기대할 수 있으며 AI 등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와 검증 및 교정을 통해 정보의 정합성 및 무결성 향상 또한 기대할 수 있음

- 지속적인 데이터 수집을 통한 생물다양성 평가결과의 모니터링 등은 추후 북한 환경정책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됨

사업추진 계획 및 예산(안)

4

가. 사업추진 계획

사업추진 계획의 구성

- 사업추진 계획은 지구관측 플랫폼과 생물다양성 모니터링의 두 부문으로 구분

- 각각의 사업은 단기, 중기, 장기로 구분(단기 사업은 사업초기에 달성하여 사업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요소로 구성)

- 중기 사업은 초반부터 준비하기 시작하여 장기 및 운영을 준비하기 위한 요소로 구성 - 장기는 R & D사업 후 지구관측 플랫폼의 운영 및 생물다양성 모니터링의 업무운영을 위

한 준비 요소로 구성 사업의 구분

- 한반도 보호지역 기초자료 구축 R&D는 크게 “한반도 환경정보 구축을 위한 지구관측 플 랫폼 개발”과 “기후변화에 따른 생물다양성 모니터링 및 변화예측”으로 구분함

구분 세부사업

한반도 환경정보 구축을 위한 지구관측 플랫폼 개발

- 정보구축 및 활용을 위한 지구관측 플랫폼 구축

- 관측플랫폼 및 AI를 활용한 중위도 및 북한지역 정보수집 - 관측 모니터링 데이터를 통한 한반도 환경정보 구축

기후변화에 따른 생물다양성 모 니터링 및 변화예측

- 기후변화 취약성 분석을 위한 생물기후권역 - 생물다양성 모니터링을 위한 생물기후취약성

- 지구관측 플랫폼을 활용한 생물다양성 평가 및 모니터링 [표 Ⅳ-4-1] 한반도 보호지역 기초연구 R & D 사업 구분

Ⅳ. 한반도 보호지역 발전을 위한 R & D 과제 발굴

Dalam dokumen 한반도 보호지역 발전방안 연구 (Halaman 115-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