Ⅳ. 한반도 보호지역 발전을 위한 R & D 과제 발굴
사업 단기(1~3년) 중기(1~5년) 장기(1~10년) q 정보구축 및 활용을
위한 지구관측 플랫 폼 구축
- 플랫폼 구축을 위한 환경분석
- 지구관측 플랫폼 설계 를 위한 기능 분석 - 유사 관측 플랫폼 사
례분석
- 플랫폼 예상 사용자 요구분석
- 지구관측 플랫폼 구축 을 위한 시스템 설계 - 플랫폼 운영을 위한
조직 및 예산 계획 수립 - 플랫폼 운영을 위한
인력수급 및 교육체계 마련
- 지구관측 플랫폼 구축 을 위한 법제도 정비 및 관련기관 협조요청
- 지구관측 플랫폼 운영 을 위한 공간 확보 - 지구관측 플랫폼 운영
실적 평가 및 고도화 방안
- 지속적 정보 수집을 위한 협력체계 강화 방안 모색
q 관측플랫폼 및 AI를 활용한 중위도 및 한 반도 정보수집
- 정보수집 범위 검토를 위한 현황분석
- 위성정보 수집을 위한 협력체계 마련
- 위성정보 수집 및 저 장경로 확보
- AI기법을 활용한 정보 수집방안 마련 - 국제기구 및 네트워크
를 통한 북한정보 수 집방안 마련
- 한반도 직접 정보수집 을 위한 남북협력체계 마련
- 동북아 및 중위도 정 보수집을 위한 협력체 계 마련
- 국제기구에서 운영하 고 있는 프로그램을 통한 정보수집체계 마련
- 북한 정부와 협력을 통한 한반도 정보확보 방안 마련
- 지구관측 플랫폼 운영 에서 발생하는 정보의 활용방안 및 고도화 방안 마련
- 생태계 직접조사를 통 한 사실정보 수집방안 마련
q 관측 모니터링 데이 터를 통한 한반도 환 경정보 구축
- 기후, 황폐지, 훼손지, 생태네트워크, 대기질, 수질 등 관측 모니터링 정보 생산방안 마련
- 구축되는 환경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남북 환경정책 지원방안 마련
- 훼손지 복구, 생태네 트워크 구축, 환경질 개선을 위한 정보의 정책기여도 평가방안 마련
[표 Ⅳ-4-3] 한반도 환경정보 구축을 위한 지구관측 플랫폼 개발(안)
기후변화에 따른 생물다양성 모니터링 및 변화 예측 기후변화 취약성 분석을 위한 생물기후권역 - 기후변화 취약성 분석을 위한 활용정보 구축방안 - 생물기후권역 세밀화 및 정책적 연계를 위한 기반마련
Ⅳ. 한반도 보호지역 발전을 위한 R & D 과제 발굴 4. 사업추진 계획 및 예산(안)
생물다양성 모니터링을 위한 생물기후취약성
- 플랫폼을 통해 수집된 정보를 활용한 생물다양성 지수개발 - 생물기후취약성 분석 및 생태계서비스 가치평가 연계
지구관측 플랫폼을 활용한 생물다양성 평가 및 모니터링
- 생물다양성평가 및 모니터링, 생태계서비스 등의 정보를 활용한 보호지역 연구 - 협력체계 및 네트워크 구축 등을 통한 생물다양성 모니터링
사업 단기(1~3년) 중기(1~5년) 장기(1~10년)
q 기후변화 취약성 분 석을 위한 생물기후 권역
- 기후변화 취약성 분석 방안 및 고도화 방안 마련
- 환경현황 분석을 위한 지구관측 플랫폼 정보 요청방안 마련
- 기후 데이터를 활용한 생물기후권역 세밀화 방안 마련
- 생물기후권역 검증 및 교정방안 마련 - 지속적인 생물기후권
역도의 생산을 통한 정책 연계방안 마련
- 기후변화 취약성 분석 을 위한 국제협력체계 마련
- 남북한 기후변화 협력 체계 마련
- 남북공동 기후변화 취 약성 적응대책 마련 q 생물다양성 모니터링
을 위한 생물기후취 약성
- 생물다양성 모니터링 을 위한 지수개발 - 생물다양성 모니터링
을 위한 정보수집방안 마련
- 생물다양성 예측을 위 한 정보 및 검증방안 마련
- 생물다양성, 생태계서 비스, 기후변화, 기후 변화 취약성, 생물기 후권역, 자연성 등 환 경현황 검토 및 종합 을 위한 지수개발 - 생물기후취약성의 정
책적 활용방안
- 생물다양성 모니터링 국제협력체계 마련 - 생물다양성 확보를 위
한 정책 연계 - 생태계서비스 가치평
가를 통한 생물다양성 확보정책 개발
q 지구관측 플랫폼을 활용한 생물다양성 평가 및 모니터링
- 지구관측 플랫폼을 통 해 수집되는 데이터와 생물다양성 평가체계 의 연계방안 마련 - 모니터링을 위한 조사
주기, 조사방법, 데이 터 누적 및 체계화 방 안 마련
- 생태계서비스 가치평 가를 통한 생물다양성 평가방안 마련
- 생물종 조사를 위한 조사원 교육 및 조사 결과 데이터화 방안 마련
- 남북 합동 생태계 모 니터링 방안 마련
- 북한 정부와 협력체계 를 통한 생물다양성 모니터링 방안 마련 - 국제기구 및 네트워크
를 통한 한반도 생물 다양성 평가 및 모니 터링 방안 마련 [표 Ⅳ-4-4] 기후변화에 따른 생물다양성 모니터링 및 변화예측(안)
다. 사업 예산(안)
총 예산 : 일백억원(10,000,000,000) - 단기 : 사십억원(4,000,000,000) - 중기 : 삼십억원(3,000,000,000) - 장기 : 삼십억원(3,000,000,000)
단위: 백만원
사업 단기
(1~3년)
중기 (1~5년)
장기
(1~10년) 총예산
한반도 보호지역 발전방안 R&D 4,000 3,000 3,000 10,000
m 한반도 환경정보 구축을 위한 지구관측 플
랫폼 개발 2,000 2,000 2,000 6,000
- 정보구축 및 활용을 위한 지구관측 플랫폼
구축 1,000 1,000 1,000 3,000
- 관측플랫폼 및 AI를 활용한 중위도 및 북
한지역 정보수집 500 500 500 1,500
- 관측 모니터링 데이터를 통한 한반도 환경
정보 구축 500 500 500 1,500
m 기후변화에 따른 생물다양성 모니터링 및
변화예측 1,400 1,300 1,300 4,000
- 기후변화 취약성 분석을 위한 생물기후권역 400 300 300 1,000
- 생물다양성 모니터링을 위한 생물기후취약성 500 500 500 1,500
- 지구관측 플랫폼을 활용한 생물다양성 평가
및 모니터링 500 500 500 1,500
[표 Ⅳ-4-5] 한반도 보호지역 기초연구 예산(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