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표 2 김정은 집권 10년, 주요 대상건설 동향 ㅣ 김혁
Ⅳ. 김정은 체제의 지방도시 건설과 시장화
□ 지방도시별 건설동향
함경북도 청진시
- 함경북도 지역별 건설동향을 보면 도소재지인 청진시가 가장 많은 건설성과를 내 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어랑군, 경성군, 회령시 순으로 건설 완공 모습이 나타남.
- 함경북도의 분야별 특징으로는 농축수산업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교육, 연구, 공장기업소, 문화생활 순으로 건설 동향이 나타남.
<그림 5> 함경북도 지역별・분야별 건설동향(2012~2022)
출처: 필자 작성.
- 청진시의 주요 특징을 보면 교육과 연구 분야가 가장 높고 공장기업소, 농축수산업 순으로 나타난 반면, 인프라, 상업, 지구개발, 살림집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남.
- 청진의 공장기업소에는 김책제철연합기업소 개건사업, 수성천종합식료공장 개 건, 보건산소공장, 김치공장 건설, 교육연구에서는 연구보다는 학교, 학원, 도서관 과 같은 교육시설 건설이 확인되었음.
- 농축수산업에는 대서양연어종어장, 양어기지, 축양장과 같은 수산업 시설, 함경북도 버섯공장과 같은 버섯배양 시설, 문화생활에는 청진경기장, 청진광산금속대학 체육 관 시설, 보건복지의료에는 양로원, 양생원, 전쟁로병보양소 시설 건설이 확인됨.
- 살림집, 상업, 인프라, 지구개발에는 버섯공장종업원 살림집 건설, 경성단고기집 건설, 청진화력발전소 노동자합숙, 지구개발에는 직하협동농장마을 개건 건설이 나타남.
<그림 6> 청진시 분야별 건설동향(2012~2022)
출처: 필자 작성.
- 청진시 건설완공동향과 달리 해안문화도시 건설과 관련된 지구개발이나, 관련 건 설 동향은 경성단고기국집(호수 북쪽 끝)을 제외하면 공사는 완료되었지만 완공소 식은 확인되지 않음.
함경남도 함흥시
- 함경남도 지역별 건설동향을 보면 도소재지인 함흥시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단천시, 북청군 순으로 건설동향이 나타나고 있음.
- 분야별 특징으로 도 전체로 놓고 볼 때 공장기업소, 농축수산업 관련 시설 완공이 다른 분야보다 월등히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인프라 건설에서 발전소완공이 많은 부분을 차지함.
<그림 7> 함경남도 지역별・분야별 건설동향(2012~2022)
출처: 필자 작성.
- 함흥시의 분야별 건설동향에서 공장기업소, 교육연구 관련시설이 높은 순으로 나 타나며, 인프라와 지구개발이 가장 적게 나타남.
- 함흥시의 공장기업소 건설은 흥남비료연합 공정별 시설 개건 및 영양액비료공장 신설, 함경남도 건재공장 개건, 2.8비날론연합기업소 개건, 성천강 구물공장, 수 지관직장 건설이 완료되면서 산업시설 건설동향이 가장 높게 나타남.
- 교육연구 분야는 전국에 설치된 고아원(애육원, 육아원, 초등학원, 중등학원)을 제외하면 함흥농업대학, 함흥의학대학, 함흥화학공업대학 등 고등교육시설(대학) 개건사업과 과학기술도서관, 국가과학원 함흥분원 건설성과가 나타난 결과임.
- 농축수산업은 함흥메기공장, 양묘장, 버섯공장 건설, 문화생활은 마전유원지 개 건, 함흥물놀이장, 함흥민속공원, 흥덕구역경기장 건설, 보건복지의료는 양로원, 양생원, 도인민병원, 철도국병원 건설이 완료됨.
- 살림집은 함흥과학자살림집, 회상구역 수백가구의 살림집, 상업분야는 신흥관, 마전유원지, 인프라는 흥덕구역 오물처리장, 지구개발은 함흥남새전문농장 건설 이 완공됨.
<그림 8> 함흥시 분야별 건설동향(2012~2022)
출처: 필자 작성.
- 한편 함흥시 성천강구역 새별동 신흥관, 과학기술도서관, 함경남도 도서관, 회 상구역 함흥과학자살림집 건설과 달리 성천강구역 새별동 고급주택 건설 동 향에 대한 소식은 나타나지 않고 있음.
평안북도 신의주시
- 평안북도 지역별 동향에서는 신의주시가 가장 높게 나타나고 창성군을 제외하면 대부분 지역들에서 건설동향은 제한적으로만 나타나고 있음.
- 분야별 건설은 교육과 연구 분야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농축수산업, 공장기 업소, 보건복지의료 순으로 확인되었으며, 가장 적은 분야는 살림집과 지구개발로 확인됨.
<그림 9> 평안북도 지역별・분야별 건설동향(2012~2022)
출처: 필자 작성.
- 신의주시 교육시설, 연구시설에는 도 농업과학연구소 개건, 도 산림과학연구소, 도 품질분석소를 비롯한 도급 연구기관 건설과 학생소년궁전, 소년단야영소를 비 롯한 교육시설 건설이 완료됨.
- 농축수산업에는 신의주닭공장, 도 남새온실, 도 양종축장, 쏘가리종어장, 도 젖소 목장 건설이, 공장기업소는 신의주가방공장, 신의주방직공장, 신의주구멍탄공 장, 신의주화장품공장, 보건산소공장이 완료됨.
- 문화생활시설은 신의주경기장, 신의주청년야외극장, 인조잔디축구장, 영화관, 압록강유원지, 도 미술창장사, 도 도서관, 은정물놀이장, 호텔 건설이, 보건복지의 료는 도 의양품관리소를 제외하면 대부분 다른 지역과 유사함.
- 살림집 건설은 대동강과 근접한 본부동을 비롯한 지역에 25층 높이의 고층아파트 와 500세대 살림집이 건설되었으며, 인프라는 자연에네르기발전소 개건이 완료 되고, 지구개발은 남신의주 지역 석하협동농장마을 개선(농촌주택, 공공건물)으 로 확인됨.
<그림 10> 신의주시 분야별 건설동향(2012~2022)
출처: 필자 작성.
- 한편 신의주시의 대표적인 특징은 문화시설에 대한 건설과 고층아파트 건설이 크 게 나타나고 있어 중국 단동지역과 경쟁할 수 있는 도시화사업을 추진하는 것으로 보이며, 다른 지역들보다 건설 중에 있는 고층 아파트 모습이 나타나고 있음.
평안남도 평성시
- 평안남도 지역별 건설동향은 도 소재지인 평성시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순천시, 안주시, 평원군 순으로 확인됨.
- 분야별 건설동향은 농축수산업이 압도적으로 높고 이어 교육연구, 공장기업소 순 으로 확인되며, 지구건설, 상업분야가 가장 적게 나타남.
<그림 11> 평안남도 지역별, 분야별 건설동향(2012~2022)
출처: 필자 작성.
- 평성시 분야별 건설동향을 보면 교육연구, 공장기업소와 농축수산업, 문화생활 순으로 확인되며 보건복지의료, 지구개발 건설이 가장 적게 나타나 도 전체 농축수 산업 건설 비중과 다르게 나타나 도소재지와 지방간 분야별 차이를 보여주고 있음.
- 교육연구는 평성중덕소학교, 평성유치원, 평성수의축산대학 등 소아교육과 고등 교육 관련 시설 건설, 도급 농업연구소, 과수학연구소 건설이 완공됨.
- 공장기업소는 평성골재생산사업소, 평성기와공장 등 건재관련 건설, 평성가방공 장, 평성김치공장, 평성샘물공장, 평성합성가죽공장 등 경공업 관련 건설이, 농축 수산업은 평성버섯공장, 남새온실, 염소목장, 에너지절약형 종어장 등 농축수산 관련 건설이 완공됨.
- 문화생활은 평성공원, 물놀이장, 청년야외극장, 평안남도 도서관, 계급교양관 건 설이, 보건의료는 제3예방원, 지구개발은 화포농장(공공건물) 건설이 완공됨.
<그림 12> 평성시 분야별 건설동향(2012~2022)
출처: 필자 작성.
- 평성시 분야별 동향에서는 청진시와 마찬가지로 특징적인 부분은 나타나지 않지 만, 도시건설과 관련하여 고층주택 건설이 진행중에 있음.
황해북도 사리원시
- 황해남도 지역별 건설동향은 도 소재지인 사리원시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 며, 지방건설 동향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남.
- 분야별 건설동향은 공장기업소, 농축수산업, 교육연구, 문화생활, 지구개발 순으 로 나타났으며, 다른 지역과 큰 차이를 보이는 부분은 지구개발로 확인됨.
<그림 13> 황해북도 지역별・분야별 건설동향(2012~2022)
출처: 필자 작성.
- 사리원시의 분야별 건설동향은 교육연구가 가장 높고, 공장기업소, 문화생활, 농 축수산업 순으로 나타나며, 전반적으로 건설성과가 다른 도시들에 비해 낮은 것으 로 확인됨.
- 교육연구는 도 태권도훈련관, 도 품질분석소, 산림과학연구소, 과수학연구소 사리 원분소, 축구학교, 구천중학교 등 연구와 교육시설 건설성과가 나타나고 있음.
- 공장기업소는 사리원방직공장, 사리원포도술공장, 정방산종합식료공장 개건과 정방산샘물공장 건설이, 문화생활은 사리원 은덕원개건과 청년야외극장, 사리원 체육관, 입체율동영화관 건설이 완공됨.
- 농축수산업은 사리원시 양묘장, 성산목장, 정방산 버섯공장이, 보건복지의료는 황해북도산원, 상업은봉의협동농장 봉의원, 정방산호텔, 인프라는 사리원시 오수 정화시설 개건, 지구개발은 사리원시꾸리기 사업임.
<그림 14> 사리원시 분야별 건설동향(2012~2022)
출처: 필자 작성.
- 한편 사리원시 건설동향을 위성영상을 통해 확인한 결과 동상지구의 8층 이하 아 파트 단지가 건설 중에 있으며, 사리원역 역전동 지역 소규모 아파트가 건설되는 정도에 머물고 있음.
황해남도 해주시
- 황해남도 지역별로는 도 소재지인 해주시가 높게 나타나며, 재령, 삼천, 신천, 은률 군 순으로 건설동향이 나타남.
- 분야별로는 농축수산업이 가장 높게 나타나 농업대단위 지역의 특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공장기업소, 교육연구, 살림집 순으로 확인됨.
<그림 15> 황해남도 지역별・분야별 건설동향(2012~2022)
출처: 필자 작성.
- 해주시 분야별로 공장기업소, 교육연구, 농축산업, 문화생활, 보건복지의료 순으 로 나타남.
- 공장기업소는 수양산강냉이가공공장, 수양산은하피복공장, 좌양산샘물공장, 해 주대경가공사업소, 해주맥주공장, 학습장공장, 은정맥주공장 등이 건설됨.
- 교육연구는 조옥희해주교원대학 체육관, 청소년체육학교, 고아원(육아, 애육, 초 등, 중등)과 해주잔디연구소 건설이, 농축수산업은 남새온실, 그물우리양어장, 종 금장, 미꾸라지종어못 건설이 완공됨.
- 문화생활은 민속공원, 잔디축구장, 해주청년야외극장이, 보건복지의료는 보건산 소공급소, 수의방역소, 인프라는 해주오물처리장 건설이 완공됨.
<그림 16> 해주시 분야별 건설동향(2012~2022)
출처: 필자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