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4차년도) 종 명 채집지역 및 시기

1

꽃게 (Portunus trituberculatus)

전북 부안 격포항 구입 2011년 5월

2

동죽 (Mactra veneriformis)

전북 부안 격포항 구입 2011년 5월 Table 3.1.8. Collection of the useful invertebrates in study area(2011)

ㄹ. 4차년도(2011년)

4차년도에는 조사대상 해역을 서해안 해역으로 옮겨 조사를 실시하였다. 서해안 일대에서 조업 중인 잠수기어업의 현황은 다음과 같다. 서해안 해역에 속한 경기도의 잠수기 어업의 어기는 1~12 월로 주로 펄, 모래, 자갈 등의 저질에서 채집이 이루어지며, 수심은 10~50 m에서 이루어지고 있 다. 주요 어종은 키조개, 개조개, 성게 등이며, 어장은 서해안 일대이다. 충남의 잠수기어업의 어획 량은 2004~2006년 1,920~3,395톤으로 꾸준히 증가세를 나타냈으나, 이후 2007년 2,860톤으로 소 폭 하락한 후 2008년 3,765톤으로 증가했다. 그리고 2009년 4,647톤을 나타내어 제일 높은 어획량 을 나타내었다. 어기는 4~5월에는 키조개, 해삼, 소라 등이며, 7~8월엔 개조개로 나타났다. 주로 10 m 수심에서는 해삼을 채집하며, 25~35 m 수심에서는 조개류를 채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 요 어종은 조개류, 해삼, 소라 등으로 나타났다. 전북의 잠수기어업의 어획량은 2004년 835톤, 2005년 1,277톤, 2006년 662톤으로 가장 적은 어획량을 나타내었고, 2007년 2,918톤으로 가장 많 은 어획량을 나타냈다. 주요 어기는 충남과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주요 어종 또한 조개류, 해삼, 소 라 등으로 비슷한 어종으로 나타났다(국립수산과학원, 2010).

4차년도의 조사대상 해역인 서해안 해역의 조간대 갯벌에서 수시로 채집하거나 현지답사를 통해 주요항구 및 어판장에서 시료를 채집 및 구입하였다. 시료의 채집은 충남 태안, 대천, 인천 강화도 갯벌, 전북 부안의 조간대 갯벌에서 채집하였으며, 시료의 구입은 인천 소래포구, 충남 보령, 서천, 태안, 전북 부안, 전남 무안 등의 주요 어시장에서 주로 구입하였다. 채집 및 구입한 시료는 꽃게, 동죽, 백합, 주꾸미, 낙지, 피뿔고둥, 갈맛조개, 큰구슬우렁이, 개맛, 갯고둥, 민챙이, 개량조개, 명주 개량조개, 가리맛조개, 대하, 가무락조개, 흰새우, 맛조개, 대맛조개, 넓적왼손집게, 비단고둥, 흰반점 민챙이아재비, 새조개, 떡조개, 꼬막, 칠게, 쏙, 개불 등을 채집 및 구입하였다(Table 3.1.8).

- 47 -

3

백합 (Meretrix meretrix)

전북 부안 격포항 구입 2011년 5월

4

주꾸미 (Octopus ocellatus)

전북 부안 격포항 구입 2011년 5월

5

낙지 (Octopus minor)

전남 목포 어시장 구입 2011년 5월

6

피뿔고둥 (Purple whelk)

충남 보령 대천항 구입 2011년 5월

7

갈맛조개 (Solecurtus divaricatus)

충남 보령 대천항 구입 2011년 5월

8

큰구슬우렁이 (Glossaulax didyma didyma)

충남 보령 대천항 구입 2011년 5월 Table 3.1.8. Continued

- 48 -

9

개맛 (Lingula unguis)

전북 부안 격포해수욕장 채집 2011년 5월

10

갯고둥 (Batillaria multiformis)

전북 부안 격포해수욕장 채집 2011년 5월

11

민챙이 (Bullacta exarata)

전북 부안 격포해수욕장 채집 2011년 5월

12

개량조개 (Mactra chinensis Philippi)

충남 보령 대천해수욕장 채집 2011년 8월

13

명주개량조개 (Coelomactra antiquata)

충남 보령 대천항 구입 2011년 8월

14

가리맛조개 (Sinonovacula constricta)

충남 서산 어시장 구입 2011년 9월 Table 3.1.8. Continued

- 49 -

15

대하 (Fenneropenaeus chinensis)

충남 서산 어시장 구입 2011년 9월

16

가무락조개 (Cyclina sinensis)

충남 서산 어시장 구 2011년 9월

17

흰새우 (Exopalaemon orientis Holthuis)

충남 서천 어시장 구입 2011년 9월

18

맛조개 (Solen corneus Lamarck)

충남 서천 어시장 구입 2011년 9월

19

대맛조개 (Solen grandis Dunker)

충남 서천 어시장 구입 2011년 9월

20

넓적왼손집게 (Diogenes edwardsii)

충남 태안 만리포해수욕장 채집 2011년 9월

Table 3.1.8. Continued

- 50 -

21

비단고둥 (Umbonium costatum)

충남 태안 만리포해수욕장 채집 2011년 9월

22

흰반점민챙이아재비 (Philinopsis gigliolii)

충남 태안 만리포해수욕장 채집 2011년 9월

23

새조개 (Fulvia mutica)

충남 태안 안면도 어시장 구입 2011년 9월

24

떡조개 (Phacosoma japonica)

인천 소래포구 어시장 구입 2011년 10월

25

꼬막 (Tegillarca granosa)

인천 소래포구 어시장 구입 2011년 10월

26

미동정

인천 소래포구 어시장 구입 2011년 10월 Table 3.1.8. Continued

- 51 -

27

칠게 (Macrophthalmus japonicus)

인천 강화 동막해수욕장 채집 2011년 10월

28

쏙 (Upogebia major)

충남 태안 의항리 채집 2011년 7월

29

미동정

인천 소래포구 어시장 구입 2011년 10월

30

개불 (Urechis unicintus)

충남 태안 대천항 구입 2011년 10월 Table 3.1.8. Continued

ㅁ. 5차년도(2012년)

5차년도 조사는 4차년도와 동일한 서해안 해역에서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간대 갯벌에서 수시로 채집하거나 현지답사를 통해 주요항구 및 어판장에서 시료를 채집 및 구입하였다. 시료의 채집은 충 남 태안, 전북 군산의 조간대 갯벌에서 채집하였으며, 시료의 구입은 전북 군산, 전남 무안 등의 주 요 어시장에서 주로 구입하였다. 시료로 문어, 밤게, 방게, 수동방게, 엽낭게, 풀게, 농게, 애기참게, 검은띠불가사리, 아무르불가사리, 별불가사리, 댕가리, 보리무륵, 긴발가락참집게, 빛조개, 말미잘, 가시닻해삼, 상어껍질별벌레, 해삼, 가는버들갯지렁이, 참갯지렁이, 갯가재, 광동줄새우, 긴발딱총새 우, 꼬마자주새우, 둥근돗대기새우, 큰손딱총새우, 홈발딱총새우, 염통성게 등을 채집 및 구입하였다 (Table 3.1.9).

- 52 -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