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본 연구는 간호사의 지식공유 활동을 파악하고 조직 커뮤니케이션 만족을 높 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며, 지식공유 활동과 조직 커뮤니케이션 만족과의 관 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 대상자의 지식공유 활동 평균점수는 5점만점에 3.79±0.46점으로 나타났으며, 구성원간 지식공유 활동 점수(3.87±0.71점)가 부서간 지식공유 활 동 점수(3.70±0.81)보다 높았다. 같은 도구를 사용한 선행 연구 Lee (2012)의 연구결과에서는 구성원간 지식공유 활동 3.60점, 부서간 지식공유 활동 3.33점 과 Choi (2013)의 연구결과에서 구성원간 지식공유 활동 3.64점, 부서간 지식공 유 활동 3.43점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병동 단위 구성원들과 간호에 관련된 지 식을 비교적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공유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연구는 코로 나19 상황에서 진행 되었으므로 대면 모임을 통해 지식을 전달할 수 있는 부서 컨퍼런스 및 동호회 활동 등이 감소되고, 비대면 상황에서 시간과 공간 제약이 없어 상대적으로 용이한 방법인 개인 휴대폰의 talk이나 원내 talk을 활용한 비 대면 지식공유가 증가함에 따라 구성원간 지식공유 활동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와 선행연구 모두 구성원간 지식공유 활동에 비해 부서간 지 식공유 활동이 낮은 것을 나타났는데, 이는 부서간 지식공유 활동에 있어서도 병원 조직 특성상 전문적이지만 폐쇄적이고 다른 분야의 업무에 무관심하거나 직종 간 지식공유 문화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향(Hwang, 2010)도 있고, 코로 나19 유행상황에서 비대면 회의나 온라인 교육으로 전환됨에 따라 부서간 정보 교환이나 교류가 적어진 영향도 있다고 보여진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지식공유 활동은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는데, 연령, 학력, 임상 경력이 높을수록 지식공유 활동 점수가 높 게 나타난 다른 연구결과(Kim & Lee, 2017)와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가 시행된

- 27 -

A상급종합병원은 원내 메일 및 원내 talk, 개인 폰의 talk을 활용한 다양한 지 식공유 활동의 방법으로 인해 연령 및 임상 경력이 차이가 있더라도 지식공유 활동에 있어서는 유의한 결과가 보이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가 서울소 재 일 상급 종합 병원에서만 시행한 연구결과이므로 여러 병원에 근무하는 간호 사를 대상으로 병원 간호조직들간의 지식공유 활동을 비교하고 관련 요인을 확 인하는 연구를 진행하거나, 간호사와 병원 직원들 간 혹은 병원 조직과 다른 조 직의 구성원들 간의 지식공유 활동을 비교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 다. 구성원간 지식공유 활동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지식공유 활동에 대한 긍정 적인 사고방식을 갖도록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며(Lee, 2012), 간호사들에게 좀 더 효율적인 방식으로 지식공유가 될 수 있도록 지식공유 활동의 효과적인 전략 을 위한 지식공유 활동 프로그램들이 개발되고 운영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일반적 특성 중 종교가 있는 간호사가 없는 간호사보다 조직 커뮤니케이션 만 족이 높았다(t=2.88,

p

= .004). 이는 비교할 선행 문헌이 없어 종교와 조직 커뮤 니케이션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의 기초자료로도 이용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조직 커뮤니케이션 만족 점수는 5점 만점에 평균 3.33±0.35점으로, 동일한 도구를 사용한 Park과 Lee (2018)의 연구에서의 3.32점이나 Park (2015)의 3.24점과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조직 통합성의 평균점수는 2.72±0.75점으로 가장 낮았는데,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태도의 커뮤 니케이션은 조직이 활성화되도록 하고, 간호사로서 자부심과 만족도를 향상시켜 양질의 간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Park & Lee, 2018). 조직 커뮤니케이션 만 족이 직무 착근도를 높이고(Park, 2018), 직무 만족을 향상(Kim, Lee & Baik , 2013) 시키는 연구결과를 미루어 볼 때 조직 내 의사소통을 지원하는 공식적인 조직 구조나 책임자가 필요하며, 간호사들 간에 개방적 의사소통을 통한 긍정적 인 상호관계 형성이 활성화되어 조직 내 긍정적 커뮤니케이션 문화를 조성해야

- 28 -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지식공유 활동과 조직 커뮤니케이션 만족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r= .467,

p

< .001), 구성원간, 부서간 지식공유 활동이 활발하게 이 루어질수록 조직 커뮤니케이션 만족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교육 훈련과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이 높을수록 직무 성과가 높다(Jung & Park, 2017)는 연구, 수평적 커뮤니케이션이 동료 간 유대감 형성, 소속감 고취, 사기 증진 등을 증 진시켜 개인의 직무 효율성 향상으로 직무 성과에 영향을 준다(Han & Jung, 2014) 는 연구도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구성원간 지식공유 활동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지식 공유 활동에 대한 긍정적인 사고방식을 갖도록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며(Lee, 2012), 간호사들에게 좀더 효율적인 방식으로 지식공유가 될 수 있도록 효과적 인 정보공유 방법 및 간호 정보 전달 시스템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간호사의 지식공유 활동은 환자 안전을 위해 중요하므로 구성원간 상황에 따른 정확한 매 체로 신속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어야 할 것이며, 조직 커뮤니케이션 만족이 향 상되면 조직의 직무수행 및 성과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는 일 상급종합병원에 근무중인 간호사를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기에 일반화하기에는 제한 점이 있다.

추후 본 연구가 간호사의 지식공유 활동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29 -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