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단면 변화

Dalam dokumen 비영리 - S-Space - 서울대학교 (Halaman 46-51)

III. 지하수 유출량의 변동과 해빈 미지형변화

1) 단면 변화

2015.08.29. 비고 2015.09.19. 비고

0900 오차 3.8cm 1130 오차 5mm

0930 오차 3.8cm 1200 오차 1.1cm

1000 1008 간조 1230 -

1030 오차 10cm 1300 -

1100 - 1330 1325 간조

1130 - 1400 -

- 1430 -

- 1500 -

- - 1530 -

표 10. 지상 LiDAR 측량 자료 중 분석 대상 자료

그 결과 8월 29일에 측량한 DEM에서는 9시와 9시 30분에 측량된 고도 좌표와 10시 이후에 측량된 고도 좌표 간에 3.8cm의 차이가 발 생하였다. 또한 10시 30분에 측량한 DEM은 고도 10cm의 차이가 발 생하였다. 반면 10시 30분을 제외한 나머지 10시 이후의 DEM은 모두 3mm 이내의 오차를 보였다. 9월 19일에 측량한 DEM에서는 11시 30 분과 12시에 측량된 고도 좌표와 12시 30분 이후에 측량한 고도 좌표 간에 각각 5mm, 1.1cm의 차이가 발생하였다. 12시 30분 이후에 측량 한 DEM은 모두 2mm 이내의 오차를 보였다. 이용한 장비의 3차원 정 확도는 40m에서 3mm, 각도는 수직 및 수평 8도, 측정 정확도(Range accuracy)는 전체 범위에서 1.2mm + 10ppm 이다. 따라서 8월 29일 9시, 9시 30분, 10시 30분 측량 자료와 9월 19일 11시 30분, 12시에 측량한 자료는 오차 범위를 초과하는 측량 오차가 발생하였다고 판단 하여 분석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측량 자료는 다음 표와 같다(표 10).

설정한 격자 내에서 격자의 동쪽 변으로부터 10m 떨어진 가상의 직 선을 설정하여 해당 직선에서의 단면을 측량 시점마다 비교하였다. 이 를 지하수 유출지점을 중심으로 확대하여 그래프에 도시하였으며(그림 20-21), 시점 별 고도 및 경사도 변화량을 다음 표에 제시하였다(표 11-12).

측량 일시

시점 고도(m)

종점

고도(m) 경사도(°) 유출지점 하부(°)

유출지점 상부(°) 1000 0.902 4.312 5.02 1.11 7.82 1100 0.887 4.295 5.02 1.13 7.86 1130 0.881 4.289 5.02 1.13 7.87

표 11. 2015년 8월 29일 단면 변화

측량 일시

시점 고도(m)

종점

고도(m) 경사도(°) 유출지점 하부(°)

유출지점 상부(°) 1230 0.882 4.349 5.11 0.86 8.54 1300 0.885 4.361 5.12 0.84 8.52 1330 0.879 4.359 5.13 0.89 8.55 1400 0.881 4.355 5.12 0.86 8.53 1430 0.88 4.363 5.13 0.89 8.55 1500 0.88 4.363 5.13 0.89 8.57 1530 0.881 4.367 5.14 0.9 8.54

표 12. 2015년 9월 19일 단면 변화

그림 20. 연구 지역 단면도 (2015.08.29.)

그림 21. 연구 지역 단면도 (2015.09.19.)

이를 살펴보면 8월 29일 사리와 9월 19일 조금을 통틀어 시점과 종 점의 고도가 간조 시점 이후 하강하는 경향을 보인다. 반면 9월 19일 조금에서 간조 시점 이전에는 1.2cm 정도 상승하였다. 전반적인 경사 도는 큰 변화가 없으나, 유출면 하부 경사도와 유출면 상부 경사가 8월 29일 사리에 각각 0.02°, 0.05°, 9월 19일 조금에 각각 0.04°, 0°로 급 해지는 경향을 보인다. 하지만 간조 시점 이전으로 한정하면 9월 19일 조금의 측량 자료에서 유출지점 하부의 경사가 0.02°, 상부의 경사가 0.02° 정도 완만해졌다. 또한 측량 시점의 간격 별로 변화량을 살펴보 면, 간조 시점인 8월 29일 10시 8분과 9월 19일 13시 25분을 중심으 로 고도와 경사의 변화량이 다른 시간대에 비하여 크게 나타났다.

사리와 조금의 고도변화량을 비교해보면, 사리에는 시점에서 2.1cm, 종점에서 2.3cm이지만 조금에는 각각 0.1cm, 1.8cm로 조금에 더 변 화량이 작았다. 간조 시점 이후로만 한정하여도 조금에 각각 0.2cm, 0.8cm로 여전히 사리에 크게 변하였다. 특히 사리에는 시점, 종점 고 도의 변화가 동일한 시간 규모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지하수 유출지점 의 고도도 사리에는 눈에 띄게 하강하나 조금에는 큰 변화가 없는 모 습을 보인다. 그리고 지하수 유출지점을 기준으로 유출면 하부의 경사 도가 상부의 그것보다 훨씬 완만하였다. 사리에서는 시간이 지남에 따 라 유출지점 상부와 하부의 기울기 차이가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Dalam dokumen 비영리 - S-Space - 서울대학교 (Halaman 46-51)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