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II. 지하수 유출량의 변동과 해빈 미지형변화
2) 부피와 층후 변화
이를 살펴보면 8월 29일 사리와 9월 19일 조금을 통틀어 시점과 종 점의 고도가 간조 시점 이후 하강하는 경향을 보인다. 반면 9월 19일 조금에서 간조 시점 이전에는 1.2cm 정도 상승하였다. 전반적인 경사 도는 큰 변화가 없으나, 유출면 하부 경사도와 유출면 상부 경사가 8월 29일 사리에 각각 0.02°, 0.05°, 9월 19일 조금에 각각 0.04°, 0°로 급 해지는 경향을 보인다. 하지만 간조 시점 이전으로 한정하면 9월 19일 조금의 측량 자료에서 유출지점 하부의 경사가 0.02°, 상부의 경사가 0.02° 정도 완만해졌다. 또한 측량 시점의 간격 별로 변화량을 살펴보 면, 간조 시점인 8월 29일 10시 8분과 9월 19일 13시 25분을 중심으 로 고도와 경사의 변화량이 다른 시간대에 비하여 크게 나타났다.
사리와 조금의 고도변화량을 비교해보면, 사리에는 시점에서 2.1cm, 종점에서 2.3cm이지만 조금에는 각각 0.1cm, 1.8cm로 조금에 더 변 화량이 작았다. 간조 시점 이후로만 한정하여도 조금에 각각 0.2cm, 0.8cm로 여전히 사리에 크게 변하였다. 특히 사리에는 시점, 종점 고 도의 변화가 동일한 시간 규모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지하수 유출지점 의 고도도 사리에는 눈에 띄게 하강하나 조금에는 큰 변화가 없는 모 습을 보인다. 그리고 지하수 유출지점을 기준으로 유출면 하부의 경사 도가 상부의 그것보다 훨씬 완만하였다. 사리에서는 시간이 지남에 따 라 유출지점 상부와 하부의 기울기 차이가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측량 일시 전체 변화량 유출지점 하부 변화량 유출지점 상부 변화량
침식량(㎥) 퇴적량(㎥) 층후(mm) 침식량(㎥) 퇴적량(㎥) 층후(mm) 침식량(㎥) 퇴적량(㎥) 층후(mm) 1000
-1100
16.202
15.4 6.961
15.5 9.241
16.205 0.003 6.961 - 9.245 0.004 15.3
1100 -1130
6.390
6.1 2.560
5.7 3.830
6.398 0.008 2.563 0.003 3.835 0.005 6.3
누적 변화량 22.60322.5910.011 21.4 9.523 9.521 0.003 21.1 13.08013.0710.009 21.6 표 13. 8월 29일 부피 및 층후 변화량
측량 일시 전체 변화량 유출지점 하부 변화량 유출지점 상부 변화량
침식량(㎥) 퇴적량(㎥) 층후(mm) 침식량(㎥) 퇴적량(㎥) 층후(mm) 침식량(㎥) 퇴적량(㎥) 층후(mm) 1230
-1300
-5.924
-5.5 -1.105
-2.3 -4.819
0.298 6.222 0.255 1.360 0.043 4.862 -8.1
1300 -1330
-2.011
-1.9 -0.662
-1.4 -1.349
0.077 2.088 0.043 0.705 0.034 1.383 -2.3
1330 -1430
-0.149
-0.1 -0.002
0 -0.148
-0.03
3.647 3.797 1.104 1.106 2.543 2.691
1430 -1500
0.366
0.3 0.328
0.7 0.038
0.588 0.222 0.384 0.056 0.204 0.166 0.06
1500 -1530
-2.087
-2.0 -0.497
-1.0 -1.590
0.143 2.230 0.105 0.602 0.378 1.628 -2.7
누적 변화량 4.753-9.80614.560 -9.2 1.891-1.9393.830 -4.1 3.203-7.86710.729 -13.3 표 14. 9월 19일 부피 및 층후 변화량
설정한 격자 내의 부피량 변화는 8월 29일 사리 때 누적 변화량 22.591㎥, 9월 19일 조금에 9.806㎥로 사리에 더 크게 나타났다. 간조 시점 이후로 한정하여도 조금의 누적 변화량은 1.870㎥에 불과하였다.
전반적으로 사리에는 오차범위를 넘는 침식이 발생하였으나 조금에는 유의미하지 않은 퇴적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층후 역시 9월 19 일 조금에는 누적 변화가 9.2mm이지만 30분 단위로는 12시 30분에서 13시까지를 제외하면 3mm 이하의 변화량을 보여 오차 범위 이내로 나타났다.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8월 29일 사리에는 간조 시점을 중심으로 발생한 변화량이 이후에 발생한 변화량보다 약 3배 크다. 9월 19일 조 금에는 간조 직전 시점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변화량이 오차범위 이 내여서 유의미하지 않다. 한편 유출지점을 중심으로 하부 해빈에서의 변화량이 상대적으로 상부 해빈보다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경향성 자체는 9월 19일 조금에서 간조 시점을 전후로 변화의 방향이 달라졌 다. 간조 이전에는 퇴적량과 층후 변화가 점차 감소하다가 간조가 지나 면서 다시 증가하는 모습을 보인다. 8월 29일 사리 역시 간조 시점 이 후에 침식량과 층후 변화가 감소하였다. 다만 전체적으로는 8월 29일 사리에는 전반적으로 침식 경향이 나타나며 9월 19일 조금에는 전반적 으로 오차범위 안팎의 퇴적 경향이 나타났음을 확인하였다.
그림 22. 격자 내 부피 변화량 (2015.08.29.)
그림 23. 격자 내 부피 변화량 (2015.09.19.)
요약하면, 8월 29일 사리 때는 9월 19일 조금보다 고도, 기울기, 부 피 및 층후 등의 지형변화가 더 크게 나타났다. 사리에는 침식이 증가 하고 고도가 하강하는 모습을 관측할 수 있으나 조금에는 일부 시점에 서의 지형변화를 제외하고는 유의미한 변화량이 관측되지 않았다. 지하 수 유출 지점을 중심으로는 하부 해빈에서의 경사가 상부 해빈보다 완 만함을 확인하였으나 지형변화량은 사리와 조금에서 모두 적게 나타났 다. 이는 지하수 유출로 인한 퇴적물의 운반보다 완만한 경사에서 오는 안정성이 더 크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경향성은 두 시기에서 어느 정도 일치하는데, 9월 19일 조금 에 간조 시점을 기준으로 변화의 방향이 달라지는 모습을 확인하였다.
8월 29일 사리에 간조 시점 이후 나타난 변화의 방향이 9월 19일 조 금의 동일한 시기와 일치하는 것으로 보아 8월 29일 또한 간조 시점을 기준으로 변화의 방향이 달라졌다고 추정할 수 있다. 즉, 유출지점 상 부와 하부의 기울기는 모두 간조 시점 이전에는 완만해지다가 이후에 는 급격해지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변화량의 경향성 자체는 동일하게 두 시기에서 각각 침식량과 퇴적량이 간조를 지나면서 점차 감소하였 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8월 29일 사리와 9월 19일 조금 사이의 3주 동 안 약 0.853㎥ 정도가 퇴적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