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1 부산 북항 제1항로의 동적 통항 패턴
부산 북항 제1항로는 왕복항로로서 입항과 출항이 동시에 일어나는 해역이다. 앞 서 동적 항행패턴에서 소형선과 중형선은 입항 시 슬래시형으로, 대형선은 직선형을 가지고, 출항 시 소형선은 백슬래시형으로, 중형선과 대형선은 슬래시형으로 분석되 었다. 또한 대부분의 구간에서 정속구간이나 부산항대교 부근에서 입항 시 감속이, 출항 시 증속이 일어나는 구간이다. 이를 도식화 하면 Fig. 118과 같다.
Fig. 118 Dynamic pattern on Busan north port No.1 route
Fig. 1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부산 북항 제1항로 입항기준 입구부에서는 해상교통 이 분산되는 패턴을, 출구부에서는 집중되는 패턴이다. 또한 집중되는 패턴부에서 속력의 증감도 같이 일어난다.
5.1.2 부산 신항 가덕수도 입구항로의 동적 통항 패턴
부산 신항 가덕수도 입구항로는 편도항로로서 통항이 분리된 해역이다. 앞서 동적 항행패턴에서 소형선은 입항 시 쐐기 슬래시형으로, 중형선과 대형선은 쐐기 백슬래 시형으로 분석되었고, 출항 시 소형선, 중형선 및 대형선 모두 확산 백슬래시형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대부분의 구간에서 정속구간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도식화 하면 Fig. 119와 같다.
Fig. 119 Dynamic pattern on Gadeok-sudo
Fig. 1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부산 신항 가덕수도 입구항로는 입항 시의 입구부와 출항 시의 출구부에서는 해상교통이 분산되는 패턴, 입항 시 출구부와 출항 시 입구 부에서는 집중되는 패턴이다. 특히, 입항 및 출항 시 백슬래시형이므로 더욱 더 집중 되는 패턴이다.
5.1.3 옹도항로의 동적 통항 패턴
옹도항로는 편도항로로서 입항과 출항이 분리된 해역이다. 앞서 동적 항행패턴에 서 소형선과 중형선은 입항 시 쐐기 직진형으로, 대형선은 쐐기 백슬래시형으로 분 석되었고, 출항 시 소형선은 확산 백슬래시형으로, 중형선은 확산 슬래시형으로, 대 형선은 쐐기 백슬래시형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대부분의 구간에서 정속구간으로 분 석되었다. 다만, 옹도항로는 앞서 기술한 두 항로와는 달리 굽은 항로이므로 항로의 변침이 일어나기 전과 후를 따로 도식화하면 Fig. 120과 같다.
Fig. 120 Dynamic pattern on Ongdo route
Fig. 1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옹도항로는 굴곡부에서 집중되는 패턴을, 입출구부에 서는 분산되는 패턴이다. 또한 입항 시 쐐기형, 출항 시 확산형이 시작되는 입항 시 출구부와 출항 시 입구부는 굴곡부 다음으로 해상교통이 집중되는 부분으로 분석되 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