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위와 같이 五代와 遼, 北宋의 고분벽화에 나타나는 화조화의 형식과 내용 및 양식을 통해 벽화에 반영된 화조화의 양상과 변화를 고찰하고 고분의 구조와 묘실 안에 화조벽화가 그려진 위치를 畵題와 함께 고려 하여 화조화가 당시의 묘장제도에서 지니는 의미를 파악하였다.

오대 王處直墓의 通屛式 모란도는 기록으로만 전하는 裝堂花의 면모 를 밝혀주며 화조화의 형식과 화제가 역시 고분벽화를 통해 알려진 당 대 회화의 전통을 계승하였지만 대상의 표현기법이 발전했음을 드러낸 다. 요대 고분에 그려진 다양한 병풍형식의 화조벽화는 요의 영역에서 도 화조화가 고분벽화의 중요한 화제로 표현되었음을 말해준다. 또한 78) 瑞應圖의 정치적인 함의와 궁정화조와의 양식적 특징에 대해서는 Maggie Bickford, “Emperor Huizong and the Aesthetic of Agency” (Archives of Asian Art, 53), pp.71-104 참조.

묘실의 가장 중요한 벽면에 태호석과 함께 그려진 모란도는 모란이 당 시의 묘장제도에서 지닌 의미와 의례적 기능을 드러내며 거란족과 한 족의 상호교류를 배경으로 형성된 묘장문화와 회화의 양상을 반영한 다. 지배계층인 문인사대부가 유교적 禮制의 이념을 추구하며 厚葬의 풍습을 따르지 않았던 북송에서는 주로 부유한 지주나 상인계층에 의 해 벽화고분이 조성되었고 화조벽화는 의례적인 상징성이 강조되었던 오대나 요대의 고분과 달리 장식문양이나 묘주인이 생시에 생활하던 실내 공간을 재현하는 화제가 되었다. 이는 회화에 대한 관심이 증폭 된 당시의 사회적, 문화적 배경에서 화조화가 새로운 의미와 기능을 지니고 다양한 방향으로 발전하기 시작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처럼 고분벽화는 묘장제도와 관련된 회화의 의미를 파악하고 화조 화를 비롯한 당시 회화의 일반적인 상황과 특징을 보다 구체적으로 이 해하는 데 도움을 주지만 중국회화사에서 고분벽화에 대한 연구는 몇 가지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무엇보다도 대부분의 벽화가 발굴된 후 보존을 위해 박물관이나 문물연구소 등지로 옮겨졌거나 현지에 있더라 도 실견할 수 없는 경우가 많아 입체적인 건축구조의 한 부분인 고분 벽화의 전모와 특수한 요소를 직접 확인할 수 없고 발굴보고서에 의존 해 고찰할 수밖에 없는 한계를 지닌다. 따라서 벽화의 화법이나 양식 을 자세히 논하기보다 화제와 구도 위주로 고찰할 수밖에 없는 어려움 이 따른다. 또 현재까지 알려진 벽화를 통해 연구함으로 앞으로 새로 운 발견이 이루어지면 지금과 다른 해석이 전개될 가능성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성 시기가 확실하게 밝혀지는 고분의 벽화는 결코 높은 수준의 회화를 대표하는 예는 아니지만 조성시기에 활동한 화가들의 전칭 작품이나 작가와 시대가 명확하지 않은 작품의 주제와 양식과 연결하여 비교함으로 당시 회화를 입체적으로 조명하는 데에도 도움을 준다. 그러므로 고분벽화는 현전하는 작품이 영성한 남송대 이 전의 회화사 연구의 불가결한 자료로 대두되었고 현재도 계속 발견되 고 있는 고분벽화는 그동안 기록으로만 전하거나 알려지지 않았던 중 국회화의 다양한 양상을 밝혀줄 것으로 기대된다.

<參考文獻>

高蓮姬,韓․中 鴒毛花草畵의 政治的 性格(이화여자대학교 미술사학과 박사학 위논문, 2012)

郭若虛 지음, 박은화 옮김,곽약허의 도화견문지(시공사, 2005) 김홍남, 朝鮮時代 ‘宮牧丹屛’ 硏究 (美術史論壇9, 1999) 羅世平, 略論曲陽五代墓山水壁畵的美術史價値 (文物1996-6) 羅世平, 遼代 墓室壁畵의 발굴과 연구 (美術史論壇9, 2004)

朴恩和,宣和畵譜의 山水門에 나타난 北宋末의 山水畵觀 (中國史硏究71, 2011.4).

宣和畵譜(畫史叢書(一), 臺北: 文史哲出版社, 1974) 徐光冀 主編,中國出土壁畵全集(北京: 科學出版社, 2011) 宿白,白沙宋墓(北京: 文物出版社, 2002)

施建中, 論“徐黃體異”與五代畵家地籍, 身份分異之間的關係 (南京藝術學院學報 -美術與設計版2006-1)

野崎誠近 지음, 변영섭․안영길 옮김.중국미술상징사전(고려대학교출판부, 2011)

楊泓, 中國 古墳壁畵 연구의 회고와 전망 (美術史論壇23, 2006) 劉婕, 唐代花鳥畵硏究的新視野 -墓葬材料引發的思考 (文藝硏究2011-1) 李星明, 唐代和五代墓室壁畵中的花鳥畵 (南京藝術學院學報 -美術與設計版』

2007-1)

李星明,唐代墓室壁畵硏究(西安: 陝西人民美術出版社, 2005)

이종숙, 조선 후기 국장용(國葬用) 모란병[牧丹屛]의 사용과 그 의미 -정조(正 祖) 국장(國葬) 관련 의괘(儀軌) 분석을 중심으로- (고궁문화vol.1, 2007).

李淸泉, 裝堂花的身前身後 -兼論徐熙畵格在北宋前期一度受阻的原因 (美術學報

2007-3).

張鵬,遼代壁畵硏究(天津: 天津人民美術出版社, 2008) 鄭岩, 중국미술사의 고분미술 연구사 (美術史論壇30, 2010)

鄭以墨, 五代王處直墓壁畵形式, 風格的來源分析 (南京藝術學院學報 -美術與設 計版, 2010-2)

鄭州市文物考古硏究所,鄭州宋金壁畵墓(北京: 科學出版社, 2005)

지민경, 10-14세기 동북아 벽화고분 예술의 전개와 고려 벽화고분의 의의 ( 술사연구25, 2011)

지민경, 北宋․金代 裝飾古墳의 소개와 기초분석 (美術史論壇33, 2011) 陳葆眞. 南唐繪畵的特色與相關問題的探討 (李後主和他的時代: 南唐藝術與歷史

論文集, 臺北: 石頭出版, 2007)

河北省文物硏究所.宣化遼墓壁畵(北京: 文物出版社, 2001) 韓小囡, 宋代墓葬裝飾硏究 (山東大學校博士學位論文, 2006)

Kuhn, Dieter, The Age of Confucian Rule: The Song Transformation of China,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2009)

Kuhn, Dieter, A Place for the Dead: An Archaeological Documentary on Graves and Tombs of the Song Dynasty(960-1279) (Heidelberg: Edition Forum, 1996)

Laing, Ellen Johnston, “Patterns and Problems in Later Chinese Tomb Decoration” (Journal of Oriental Studies, vol.16, 1978)

Laing, Ellen Johnston, “The Development of Flower Depiction and the Origin of the Bird-and-Flower Genre in Chinese Art” (Bulletin of the Museum of Far Eastern Antiquities, vol.64, 1993)

Laing, Ellen Johnston, “A Survey of Liao Dynasty Bird-and-Flower Painting”

(Journal of Sung-Yuan Studies, 24, 1994)

Laing, Ellen Johnston, “Auspicious Motifs in Ninth -to 13th Century Chinese Tombs” (Ars Orientalis. vol.33, 2003)

Lin Wei-cheng. “Underground Wooden Architecture in Brick: A Changed Perspective from Life to Death in 10th -through 13th- Century Northern China” (Archives of Asian Art, vol.61, 2011)

Rawson, Jessica. “Ornament as system: Chinese bird-and-flower design” (The Burlington Magazine, vol.148, no.1239, June 2006)

Rawson, Jessica. “Changes in the Representation of Life and Afterlife as Illustrated by the Contents of Tombs of the T'ang and Sung Period”

(Maxwell K. Hearn and Judith G. Smith eds., Arts of the Sung and Yuan.

New York: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1996)

Shen Hsueh-man ed. Gilded Splendor: Treasures of China's Liao Empire (907-1125) (New York: Asia Society, 2006)

Tsao Hsingyuan, Difference Preserved: Reconstructed Tombs from the Liao and Song Dynasties (Portland: Reed College, 2000)

Tsao Hsingyuan, From Appropriation to Possession: A Study of the Cultural Identity of the Liao through Their Pictorial Art (Ph..D. dissertation, Stanford University, 1996)

Wu Hung ed. Tenth-century China and Beyond: Art and Visual Culture in a Multi-centered Age. Chicago: The Center for the Art of East Asia, University of Chicago, 2012)

(Abstract)

Bird-and-Flower Painting in the Tomb Murals of the Five Dynasties, Liao, and

Northern Song Period

Park, Eun Wha

With the vast archaeological excavation of tombs undertaken in various areas of China since 1970s, tombs decorated with murals provide valuable materials for the study of Chinese paintings before the Southern Song period when our knowledge of painting was limited to several extant works and written records.

This article examines the evolution of bird-and-flower painting in well preserved burials of Five dynasties, Liao, and Northern Song period when bird-and-flower painting began to developed as an independent genre and flourished with different styles, and defines the relevance and function of bird-and-flower painting in a funerary context.

The painting of peony and rock in the tomb of Wang Chuzhi in Quyang, Hebei province created in 923, clarified the style of decorative flower painting known only from written record, and it shows that Five dynasties continued the late Tang practice of representing bird-and-flower motifs in graves.

Recent excavations of Liao tombs located in modern Hebei, Shandong, Inner Mongolia unearthed the bird-and-flower paintings

dating from the tenth through the early twelfth centuries. Liao bird-and-flower paintings with garden rocks depicted on the most important wall of the tomb in the replicas of multi-paneled folding screen explain their function in funerary context which carried auspicious wishes for the welfare of the deceased and continued prosperity of his descendants. These bird-and-flower screens affected by Chinese funeral practices and painting styles continued to be used in Liao tombs as shown in the tombs in Xuanhua area.

Unlike the Liao tombs lavishly decorated with wall paintings, tombs of Northern Song scholar-officials show the simple construction and the lack of decoration. Archaeological evidence of tombs from the Northen Song reveals that the majority of the occupants of tombs decorated with paintings were non-official land owners or wealthy merchants in north China. Although some Northern Song graves are decorated with bird-and-flower motifs, the majority of images are related to the architectural furnishings, and none of them are placed along the north wall, adjacent to the burial platform, which explain their changed meaning and function in funerary context.

Examples of wall paintings discussed in this article also reflect the subject matter and styles of bird-and-flower painting practiced by well known contemporary artists, but only known to us by attributed works and written records. Therefore, close study of these tomb murals would shed more light for the better understanding of the bird-and-flower painting which came to be appreciated and recognized as an important genre of Chinese painting during the period of Five dynasties, Liao and Northern Song.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