破血湖 儀式은, 위에서 본 바와 같이, Henry Doré가 언급한 이후, 강남 지역에서 血盆齋로서 행해져 왔다는 것이 빈번하게 보고되어 왔 다. 필자가 현지의 도사들과의 談話를 통해, 이 의식은 공산화한 이후, 특히 문화대혁명부터 1980년대까지 봉건미신이라고 박해를 받으면서도 은밀하게 행해져 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오늘날에는 경제적 발전에 따라, 道士들에 의해 민간인들 사이에서 활발하게 엄청난 비용 을 들여가면서 南通, 蘇州, 昆山 지역에서 행해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의식은 많은 상징적인 과정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각 각의 과정에는 깊은 의미가 내포되어 있는데, 궁극적으로는 자녀들이 報恩을 통해 모친을 血湖에서의 고통으로부터 구하고 靈的으로 구원한 다(救母生天)는 종교적 의미가 깊이 내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儀式은 단순히 종교적인 면으로만 기능한 것에 그치 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劉煥林은 자신이 어린 시절에 고향인 澄(江 陰)西에서 보고 들었던 몇몇 戱劇들(京戱, 灘簧, 木偶戱, 面具戱, 把戱 幻術, 動物戱, 影子戱, 樂班, 僧道戱[破血湖 儀式] 및 茶館子裏的戱)에 관해 기록하면서 이것들이 民間藝術로서는 물론 민간에서의 娛樂으로 서 기능했음을 지적하고 있다. 그는 1930년대 후반 전쟁 등으로 당시 농촌이 경제적으로 破産했을 뿐만 아니라, 이와 함께 민간에서의 과거 에 활발했던 여러 오락들도 따라서 몰락해, 농촌에서 삶의 흥취를 전 혀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고 하고 있다.47) 그의 이러한 지적은 오늘날 중국의 경제적 발전과 그에 따른 전통의 부활, 그 가운데 하나로서 血 盆齋 儀式의 성행의 배경을 설명해 줄 수 있는 것이 아닌가 한다.48) 47) 劉煥林, 澄西農村的演劇和雜戱 (民衆敎育 5卷4ㆍ5期合刊 民間藝術專號 ,
1937), pp.18上下, 25下.
48) 필자는 山東大學校의 劉平 教授와 함께 2010年 7月 2日 南通市 港閘區 陳橋 鄉 沈道士와 對談을 했는데, 沈道士는 이러한 儀式이 一族들의 화합은 물론 국
20세기 초 서양 선교사들과 일본 제국주의 체제 하의 현지조사자들 의 조롱과 공산주의 지배 하에서의 박해에도 불구하고, 그리고 문헌상 으로 봤을 때 宋 이후 거의 천여 년이나 되는 기간에 걸쳐서, 이 민간 종교 의식이 지금까지 존속해 갈 수 있었던 근거는 무엇이었는가? 그 것은 무엇보다도, 위에서 唐金林 道士와의 담화에서도 나타나 있는 바 와 같이 모친에 대한 孝에 있었던 것이 아닌가 한다. 다만, 왜 여성들 에게만 월경과 産血과 관련해 영적 구원을 위해 이러한 의식이 필요했 는가 하는 것이다.
필자는 2010년 8월 29일 南通市 通州區 劉橋鎭 萬願樓村 5組에 소재 한 齋主 桑樹芝의 家에서 王建이라는 釋敎道士를 수장(老板)으로 10명 의 釋敎道士들이 행한 五ㆍ七日의 破地獄 儀式을 참관하였다. 여기에 서는 의식용 사각탁자의 四面 각각의 바닥에 모래를 뿌려 ‘地’, ‘獄’,
‘門’, ‘開’라고 돌아가면서 한 글자씩 써 놓고, ‘地’라고 써져 있는 면으 로부터 시작해 의식을 치루고 끝날 때마다 桑樹芝는 비로 모래를 탁자 에서 멀리 쓸어내었다. 마지막 면에서의 의식이 끝난 후에는 탁자 밑 에 두었던 桑樹芝의 堂兄 桑蘭芝의 위패를 들고 儀式을 집행한 道士를 따라 탁자를 몇 바퀴 돈 뒤에 그것을 본채(堂屋) 안으로 모셔 들였다.
이러한 의식 절차는 여성들을 위해 행해졌던 破血湖 儀式에 비하면 아 주 단순했다. 이 儀式으로 “出離地獄 上升仙界”할 수 있게 되는 것이 다.
南通, 蘇州와 昆山 지역을 볼 때, 남성들을 대상으로 하는 破地獄 儀 式이 어느 정도로 널리 행해지고 있는지를 확인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여성을 대상으로 한 破血湖 儀式의 경우는, “보통 여자들은 다 한 다”49)고 하는 말을 통해서 볼 때, 여성의 월경과 산혈이 땅과 하늘의 신을 노하게 하는 불결함은 물론이고 영적 구원에 장애가 되는 죄와 밀접하게 결부되어 있다는 인식이 깊이 뿌리박혀 있었고 지금도 그것
가 경제에도 도움을 주고 있음을 피력하였다.
49) 2010년 7월 3일(土) 江蘇省 蘇州市 勝蒲鎮에서 한 여성 念佛太太의 증언.
이 계속되고 있음을 말해주는 것으로 생각된다.50) 따라서 이 파혈호 儀式은 단순한 모친에 대한 자녀들의 孝를 강조한다는 것 외에, 위의 對談에서 본 바와 같이 唐 道士나 劉平 敎授는 부정하고 있지만, 전통 시대에 있어서 여성들의 家庭 및 社會 안에서의 지위와도 깊이 결부되 어 있었음을 부인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파혈호 의식과 관련 해, 민간 종교에 있어서의 女性觀, 나아가서 가정과 종족 내에서의 여 성의 사회적 지위와 관련된 메카니즘에 대해서는, 따로 지면을 달리해 논하겠다.
道士라는 직업의 사회적 지위의 저하와 배우는데 있어서의 어려움, 산업화와 도시화 등은 젊은이들로 하여금 이 직업을 기피하게 하고, 따라서 1천년에 걸쳐 이어온 맥이 끊어져 가고 있다. 그러나 다른 한 편으로, 전통의 부활로 민중들 사이에서 이러한 의식에 대한 수요가 커지고 있다. 또한, 정부는 늘 邪敎가 민간종교에 개입되는 것을 두려 워하며 경계를 늦추지 않고 있으며, 지방 정부마다, 통제의 강도가 다 르긴 하지만, 그 나름의 민간종교 행사를 통제하는 방침을 갖고 있다.
이러한 血盆齋 등의 儀式은 현재 중국에서 민간종교와 관련된 전반적 인 상황을 살펴볼 수 있는 하나의 작은 창이 될 수 있지 않을까 한다.
50)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陳宏謀는 같은 글에서, 여성들이 閨房에서의 생활과 유교적 예법에서 벗어나, “寺廟를 출입하며 燒香做會하고 무릎꿇고 講經을 들 으며, 僧房ㆍ 道院에서 談笑하는 것이 평소와 같다, 또한 심한 경우에는 … 6 월 6일 經을 10차례 펴면 男身으로 바뀔 수 있다. ···”( 風俗條約 , (淸)賀長 齡ㆍ魏源 等編, 淸經世文編 卷68, 禮政 15, p.1685上左)고 하는데, 이 지역 에서 이러한 사회적 현상을 지적하고 있는 사료들을 많이 볼 수 있다. 이 인용 문에서 여성들이 신앙에 입각해서 자신들이 죄를 타고났으며, 이로부터 벗어나 서 영적 구원을 얻을 방법에 대해 관심을 많이 갖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Abstract)
Study on the Poxuehu(破血湖) Ceremony in Nantong(南通) area, Jiangsu Province(江蘇省)
Song, Yoo Who
A ceremony called the blood-pot ceremony(血盆齋) was practiced in China. The Chinese believe that in the infernal regions there is a pond of blood, into which deceased married women generally, or women who have died in childbirth are plunged upon their entrance into that world. The reason for the blood-pot ceremony, therefore, is to save the spirit of a deceased mother from the punishment of blood pond. If we call the sutras used for this purpose generically as the blood-pot sutra(血盆經), not only the sutra for the ritual service, but also a variety of versions of sutras for the salvation of women who are destined to be plunged into the blood pond can be included in this category. Blood-pot sutras first appeared from about the early tenth century to the twelfth century in the Buddhist community, and later it appeared in Daoist and folk religious communities as well.
I studied the blood-pot sutra and the blood-pot ceremony by mostly referring to historical literatures. Through this study, I presumed when the blood-pot sutra appeared, and sought the unfolding of the blood-pot sutra in the Buddhist, Daoist and folk religious(Bao-juan 寶卷) realms. I found that a variety of sutras which were published and transcribed were used for the ceremony
and for reciting privately.
After Henry Doré’s obversation, it has been reported frequently that the blood-pot ceremony was held by the name of Poxuehu(破 血湖; Breaking Blood-pond into pieces) in the Jiang-nan(江南) area.
This ceremony was held surreptitiously, after communization, suffering oppression as a feudal superstition especially from the Cultural Revolution to 1980s. Through my fieldworks, it is confirmed that nowadays, with economic improvements, vigorous and rather extravagant ceremonies of Poxuehu led by Daoist priests were held privately in Nantong(南通), Suzhou(苏州), and Kunsan(昆 山) areas.
This ceremony is made up of many symbolic processes, and each process has its own meanings. Among any others, the religious meaning that sons and daughters are eager to rescue their mothers from pains within the blood-pond and ultimately redeem her to be reborn in Heaven(救母生天), is inherent in this ceremony. So, even under the persecution of communist Government and in spite of ridicule by missionaries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I suggest, this religious ritual could survive until now.
But, as it was told that Poxuehu ritual was performed for all the women, we can recognize that in the back of their mind, the Chinese have the idea that the menstruation and childbirth blood are deeply related with the uncleanness that causes blasphemy as well as a sin which is an obstacle to spiritual redemption. Therefore, it cannot be denied that the Poxuehu ritual, in addition to the emphasis on filial piety, was deeply related with the status within a family and a lineage. Nowadays, owing to decrease of the number of childbirth and social change, and so forth, it seems that, the social meanings that are implicit in the ritual is fading o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