Ⅲ. 동북아 주요 6개국의 코로나19 대응 및 협력
71
기도 한 만큼, 방역‧보건 협력체의 틀 안에서 비교적 백신 공급이 열악할 것으로 예상되는 북한에 무료 백신을 공급할 가능성도 높아 보인다. 다만, 러시아는 미국보다는 중국과의 관계 발전에 공을 들이고 있는 만큼, 방역‧보건 협력체에서의 미중 갈등이 있을 경우, 중국의 입장을 지지할 가능성이 높다.서 첫 확진자가 발생한 2020년 3월 7일부터 2021년 2월까지는 봉쇄 령, 이동제한 조치, 사업장 영업 제한, 온라인 수업, 재택근무 의무화 등으로 국내 확진자의 발생 억제 및 확산 방지에 중점을 두었다. 동시 에 다양한 대국민 재난지원 대책 시행과 기존 사회복지제도의 확대로 국민의 생계유지를 보장할 수 있는 조치를 시행하였다.
몽골은 국내에 확진자가 발생한 이후 즉각적으로 국경을 폐쇄하고 국내 이동을 제한 등 과감하고 강력한 방역 조치를 시행하였다. 이렇게 과감하고 강력한 방역 조치는 지체 없는 행정조치 시행과 강력한 공권 력 행사가 용인되는 사회문화 속에서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두었으며, 델타 변이바이러스 대유행 이전인 2021년 초까지는 방역 상황이 크게 악화되지 않았다. 그러나 2021년 12월 3일 기준 코로나19 확진자가 누적 합계 383,093명을 기록하였으며, 그중 누적 사망자 수는 1,978 명에 달하고, 최근 7일 동안 새로 보고된 확진 사례는 2,768건으로 적은 인구수에 비해 많은 편이다. 한편 몽골 정부는 백신 물량 확보 및 접종률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보여주었는데 2021년 상반기에 이미 백신 접종 대상자(만 12세 이상)의 80% 이상이 1차 접종을 완료 하였고, 인구 100명당 백신 접종자 수(백신 종류에 따라 1회 또는 2회로 접종 완료한 경우)는 65.49명(12월 3일 기준)으로 세계 평균 42.13명보다 높고 ‘동북아 방역‧보건 협력체’ 참여국들의 평균 수준이다.81)
처음 백신 접종은 중국 시노팜 백신을 시작으로, 아스트라제네카 (AstraZeneca), 러시아 스푸트니크 V, 화이자(Pfizer) 백신 등을 충분 히 확보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백신 확보 초기에는 세계적으로 상대 적 선호도가 낮은 중국의 시노팜과 러시아의 스푸트니크 V 백신이 다수를 차지하였지만, 저개발국가는 물론, 인근 국가들과 비교해도 백신 물량 확보 및 접종률에 있어 뛰어난 외교적 수완을 발휘했다고
81) WHO, “WHO Coronavirus(COVID-19) Dashboard.”
Ⅲ. 동북아 주요 6개국의 코로나19 대응 및 협력
73
평가된다. 몽골은 중국이 코로나19에 의해 가장 큰 어려움을 겪고 있 던 2020년 1월 말 중국에 코로나19 확산 통제를 명분으로 20만 달러 를 지원하기로 결정하였고,82) 2월에는 바툴가(Khaltmaa Battulga) 대통령이 양 3만 마리와 함께 중국을 방문하였다.83) 또한 2020년 3월 13일에는 ‘영원한 이웃–하트 서포트’ 캠패인을 통해 모금된 3억 9,160 만 투그릭(약 98만 위안)을 중국에 전달하였다.84) 러시아에도 인도적 차원에서 2020년 5월 26일 6천 7백만 루블(1백만 달러) 상당의 육류 및 육가공 제품을 제공하였다.85) 이러한 정부 지원 노력이 이후 몽골이 어려움을 겪게 되었을 때 중국과 러시아 등으로부터 백신 및 각종 지원에 대한 협상에서 이롭게 작용하였다.한편 <그림 Ⅲ-7> 그림과 같이 몽골의 코로나19 관련 보도에 대한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86)을 통해 각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연결중심성은
‘몽골’과 ‘코로나19’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아기’, ‘회담’, ‘협력’, ‘한국’,
‘중국’, ‘산모’, ‘대응’, ‘확진’, ‘화상’, ‘우즈베키스탄’, ‘브리핑’의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에서 연결중심성의 관점에서 보
82) “蒙古国将向中国提供20万美元的无偿援助,” Монцамэ, 2020.1.31., <https://
www.montsame.mn/cn/read/214702> (검색일: 2021.11.15.).
83) “蒙古国向中国赠送30000只羊,” Монцамэ, 2020.2.27., <https://montsa me.mn/cn/read/217209> (검색일: 2021.11.15.).
84) “蒙古国"永久的邻居‧暖心支持"人道之旅首批善款移交中方,” 人民网, 2020.3.3.,
<http://world.people.com.cn/n1/2020/0313/c1002-31631413.html> (검 색일: 2021.11.15.).
85) “(몽골)러시아에 1백만 달러 상당 육류 및 육류 제품 지원,” 하이몽골리아뉴스, 2020.5.26., <https://himongolianews.net/%eb%aa%bd%ea%b3%a8%eb%
9f%ac%ec%8b%9c%ec%95%84%ec%97%90-1%eb%b0%b1%eb%a7%8c-%e b%8b%ac%eb%9f%ac-%ec%83%81%eb%8b%b9-%ec%9c%a1%eb%a5%98 -%eb%b0%8f-%ec%9c%a1%eb%a5%98-%ec%a0%9c%ed%92%88-%ec%a 7%80%ec%9b%90/> (검색일: 2021.11.15.).
86) 몽골과 관련된 분석 대상 뉴스는 전체 16,618건 중에서 54건으로 뉴스 건수가 적어 통계를 일반화하기에 한계가 있을 수 있으나, 키워드 네트워크는 유의미한 내용을 보여주고 있다.
면 가장 중요한 핵심어는 앞에서부터 나열된 순서대로 높은 연결중심 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몽골은 코로나19 발생 이후 주로 지원을 받아야 하는 상황이며, 주변 국가들, 특히 중국과 방역
‧보건 협력을 추진하기 위해 다방면에서 노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방역‧보건 협력과 관계된 ‘협력’이라는 단어는 5번째로 매우 높은 연 결중심성을 보여주며, 한국이 몽골에게 지원한 내용을 중심으로 많이 나타나 있다. ‘협력’이라는 단어가 높은 연결중심성을 보여준 북한과 마찬가지로 주로 도움을 받게 되는 상황이 많아, ‘협력’이 절실함을 강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림
Ⅲ
-7>몽골의 코로나19 관련 주요 키워드 네트워크75
Ⅲ. 동북아 주요 6개국의 코로나19 대응나. 몽골의 방역
‧
보건 협력87)코로나19 팬데믹 상황 속에서 개발도상국가 중 하나인 몽골은 주로 지원을 받아야 하는 입장이다. 몽골은 이웃 국가인 중국과 러시아가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어려운 상황이었을 때 식료품 및 지원금 등을 지원하였으나, 이후 몽골에 코로나19 확진자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중 국과 러시아로부터 백신 및 각종 지원을 받기도 하였다. 2000년 4월 몽골에 16명의 확진자가 발생한 상황에서 중국은 49만 개의 마스크를 긴급 지원하고,88) 후베이성과 내몽골을 통해 400만 위안(6억 8천만 원) 상당의 의료장비를 기증하였다.89)
아시아개발은행(Asian Development Bank: ADB)은 개발도상국 에 공평한 백신 예방 접종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시행하였으며, 몽골이 안전한 백신을 구입해 국민들이 코로나19를 예방할 수 있도록 1,900만 달러의 소프트 론 패키지를 승인했다. 유엔아동기금(United Children’s Fund: UNICEF)은 코로나19 방역을 위한 장비 및 의료기 기 구입 등을 목적으로 하는 사업에 할인된 금리로 자금을 지원하였다.
몽골은 유엔아동기금을 통해 한국으로부터 구매한 36만 도즈의 독감 백신은 코로나19 백신 접종 미 대상인 어린이들에게 접종하였다.90)
87) 박정후, “몽골의 방역‧보건 특징과 동북아 협력 방안,” (통일연구원 자문회의 자료, 2021.11.1.)을 바탕으로 저자 작성.
88) “中国向蒙古国紧急援助49万只口罩,” 中国新闻网, 2020.4.11., <https://www.c hinanews.com.cn/sh/2020/04-11/9154005.shtml> (검색일: 2021.11.15.).
89) “중국, 몽골에 6억 8천만원 상당의 장비와 도구 기부,” 하이몽골리아뉴스, 2020.
11.23., <https://himongolianews.net/%ec%a4%91%ea%b5%ad-%eb%aa%
bd%ea%b3%a8%ec%97%90-6%ec%96%b5-8%ec%b2%9c%eb%a7%8c%ec%
9b%90-%ec%83%81%eb%8b%b9%ec%9d%98-%ec%9e%a5%eb%b9%84%ec%
99%80-%eb%8f%84%ea%b5%ac-%ea%b8%b0%eb%b6%80/> (검색일: 2021.
11.15.).
90) “(단신) 한국에서 구매한 독감 백신 36만 도즈 몽골에 9월 8일 공급,” 하이몽골리 아뉴스, 2021.9.9., <https://himongolianews.net/%ec%95%84%ec%8b%9c%
ec%95%84%ea%b0%9c%eb%b0%9c%ec%9d%80%ed%96%89adb-%eb%aa%
Ⅲ. 동북아 주요 6개국의 코로나19 대응 및 협력
77
한국은 정부 및 민간 기업 등이 나서서 몽골을 지원하였는데 한국국 제협력단(KOICA)은 코로나19 구호 활동을 위해 150만 달러 규모의 다양한 프로젝트를 지원하고 있으며, 2020년 5월에는 3만 개의 신속 검사키트와 6,432개의 PCR 진단키트를 지원하였고, 10월에는 10개 의 워크 스루 부스를 제공했다. 2021년 2월에는 15대의 이동식 음압 운반기를 제공하여 의료 종사자의 감염 위험을 줄이도록 하였고, 6월 에는 의료인을 위한 개인 보호구, 소독 용품, 위생용품을 기증하였으 며, 학생들을 위한 위생 및 소독 용품과 장학금을 지원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지원이 이뤄졌다.91) 민간 기업의 지원도 이뤄져 2021년 5월 에 ㈜씨젠이 14억 투그릭 상당의 코로나19 PCR 검사기를 몽골 보건부 에 기증하였다.92)중요한 점은 2021년 8월 17일, 한국 외교부가 ‘동방협’ 사업의 일환 으로 한몽 ‘의료방역 물품 공동 비축제’ 시범사업을 통해 신속 항원 진단키트를 30만 달러 규모로 지원함으로써 ‘동방협’의 실질적 협력사 업의 출발을 알렸다.93)
bd%ea%b3%a8%ec%97%90-%eb%b0%b1%ec%8b%a0-%ec%a0%91%ec%a2%
85%ec%9d%84-%ec%9c%84%ed%95%b4-1900%eb%a7%8c-%eb%8b%ac%
eb%9f%ac/> (검색일: 2021.11.15.).
91) “KOICA(한국 국제 협력단) 코로나19 구호 활동을 위해 몽골에 150만 달러 상당 보조금 지원,” 하이몽골리아뉴스, 2021.3.27., <https://himongolianews.ne t/koica%ed%95%9c%ea%b5%ad-%ea%b5%ad%ec%a0%9c-%ed%98%91%e b%a0%a5%eb%8b%a8-%ec%bd%94%eb%a1%9c%eb%82%9819-%ea%b5%
ac%ed%98%b8-%ed%99%9c%eb%8f%99%ec%9d%84-%ec%9c%84%ed%9 5%b4-%eb%aa%bd%ea%b3%a8%ec%97%90-150/> (검색일: 2021.11.15.);
ЭРҮҮЛ МЭНДИЙН ЯАМ, “Аж ахуй нэгж байгууллага, ард иргэдээс өгсан хандив, тусламжийн жагсаалт,” <https://covid19.mohs.mn./p/cat/post/50/>
(검색일: 2021.11.15.).
92) “한국 씨젠, 14억 MNT 상당의 PCR 검사기를 몽골 보건부에 기증,” 하이몽골리 아뉴스, 2021.5.18., <https://himongolianews.net/%ed%95%9c%ea%b5%ad -%ec%94%a8%ec%a0%a0-14%ec%96%b5-mnt-%ec%83%81%eb%8b%b9%
ec%9d%98-pcr-%ea%b2%80%ec%82%ac%ea%b8%b0%eb%a5%bc-%eb%aa%
bd%ea%b3%a8-%eb%b3%b4%ea%b1%b4%eb%b6%80%ec%97%90-%ea%b8%
b0%ec%a6%9d/> (검색일: 2021.11.15.).
미국은 2021년 3월 10일, 주몽골 미국대사관을 통해 코로나19 진 단 테스트기 3만 회분, 마스크 2만 개, N95 마스크 5만 5천 개, 장갑 142,500개 등을 지원하였다.94) 사실 코로나19 사태 이후로, 미국은 약 800만 달러를 지원하였고, 화이자 백신 100만 회분을 제공할 예정 으로 2021년 10월 6일 지난 9월 도착한 화이자 백신 188,370회분에 이어 899,730회분이 추가로 도착하였다.95) 일본 또한 몽골 정부가 화 이자 백신 235만 회분을 구입하도록 자금을 지원했다.96)
일본은 2021년 2월 10일, 일본국제협력기구(Japan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e: JICA)를 통해 N95 마스크 3,700개, 작업복 3,700벌 및 가운, 장갑, 시신 보관 가방, 물티슈, 소독제 등 방역‧의료 물품을 지원하고,97) 코로나19 위기 대응 긴급 지원을 위한 8억 8,300 만 엔(800만 달러)의 보조금을 무상지원하기로 하였다.98) 그 밖에도
93) 외교부, “「동북아 방역‧보건 협력체(이하 협력체)」 협력사업 시범 가동,” 보도자료 21-588.
94) ЭРҮҮЛ МЭНДИЙН ЯАМ, “Аж ахуй нэгж байгууллага, ард иргэдээс өгсан хандив, тусламжийн жагсаалт,” <https://covid19.mohs.mn./p/cat/post/50/>
(검색일: 2021.11.15.).
95) 2021년 4월 16일 미국 상원에서 몽골과 미국의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강화하기 위한 결의안이 승인을 받으면서 미몽 간 협력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미국 상원에서 몽골-미국 전략적 파트너십을 강화하기 위한 결의안을 승인,” 하이몽골 리아뉴스, 2021.4.21., <https://himongolianews.net/%eb%af%b8%ea%b 5%ad-%ec%83%81%ec%9b%90%ec%97%90%ec%84%9c-%eb%aa%bd%e a%b3%a8-%eb%af%b8%ea%b5%ad-%ec%a0%84%eb%9e%b5%ec%a0%81 -%ed%8c%8c%ed%8a%b8%eb%84%88%ec%8b%ad%ec%9d%84-%ea%b0%
95%ed%99%94%ed%95%98/> (검색일: 2021.11.15.).
96) “미국에서 화이자 백신 899,730회가 추가로 몽골에 도착,” 하이몽골리아뉴스, 2021.10.7., <https://himongolianews.net/%eb%af%b8%ea%b5%ad%ec%
97%90%ec%84%9c-%ed%99%94%ec%9d%b4%ec%9e%90-%eb%b0%b1%e c%8b%a0-899730%ed%9a%8c%ea%b0%80-%ec%b6%94%ea%b0%80%e b%a1%9c-%eb%aa%bd%ea%b3%a8%ec%97%90-%eb%8f%84%ec%b0%a9 /> (검색일: 2021.11.15.).
97) ЭРҮҮЛ МЭНДИЙН ЯАМ, “Аж ахуй нэгж байгууллага, ард иргэдээс өгсан хандив, тусламжийн жагсаалт.”
98) “일본, 몽골에 800만 달러 자금 지급 승인,” 하이몽골리아뉴스, 2021.8.4., <htt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