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 미·일동맹 재조정 의의와 발전방향
1. 동북아 정세에 미치는 영향
2001년 1월 부시 미 행정부 출범이후 특징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미‧일 동맹 강화는 역내국가들의 국방비 증액, 최첨단무기 개발 및 도입 경쟁 등 군비경쟁을 심화시키고 있다. 또한 미·일과 중·러는 각기 양자 차원의 안보협력을 긴밀히 하는 한편, 외부세력과도 전략 적 연대를 강화하고 있다. 그 결과 동아시아 지역에는 미·일 중심의 아·태지역 민주국가연대와 중·러 중심의 상하이협력기구(SCO:
Shanghai Cooperation Organization)라는 두 개의 큰 틀이 형성되고 있다.160 그러나 양축의 대립구도는 이념과 체제 경쟁을 지향하는 경직된 대결구도가 아니다. 동북아 4국간의 실질적인 외교행태는 오 히려 국익과 실리에 따라 이합집산을 거듭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각기 양자회담을 통하여 공동이익에 관한 상호 협력을 증진시키는 한편, 국익이 상충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서로 상대방의 영향력을 견 제하는 정책을 취하고 있다. 일본의 국내정치 보수화와 국제적 역 할 확대는 과거사‧영토 문제를 둘러싼 한‧중‧일 3국간 심각한 갈등 을 야기하기도 하였으나, 2006년 9월 아베 총리의 집권이후 3국 관 계는 개선되는 추세에 있다.
160_ 중국·러시아·카자흐스탄·키르기스스탄·타지키스탄 등 5개국은 1996년 4월 26
일 ‘상하이 5개국회의’를 결성하였다. 2001년 6월 14일 상하이 5개국회의에 우 즈베키스탄이 정식 회원국으로 참가하자, ‘상하이협력기구’(SCO)의 설립을 선 언하였다. 島村智子, “上海協力機構(SCO)創設の経緯と課題,” レファレンス (東京: 日本国会図書館, 平成 18年 12月号), pp. 45~58.
가. 동북아 4국의 군비경쟁 강화 (1) 국방비 증액
클린턴 대통령 집권기간 동안 공화당 의원들은 민주당 행정부의 과도한 국방비 삭감으로 인해 미군 전력이 약화되고 있다고 비난하 였다. 2001년 집권한 부시 대통령은 국방비를 증액하고 새로운 군 사·안보전략을 추진하였다. 미국의 국방예산은 특히 9·11 테러사태 이후 아프가니스탄·이라크 등에서 테러와의 전쟁을 벌이면서 급격 히 확대되었다. 다음 <표 Ⅵ-1>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2002 회 계연도 3,485억 달러에서 2005회계연도 4,953억 달러로 증액되었다.
스톡홀름국제평화연구소(SIPRI) 자료에 의하면 2006년 세계 군 사비 지출은 미국 5,287억, 영국 592억, 프랑스 531억, 중국 495억, 일본 437억, 독일 370억, 러시아 347억 등의 순서로 발표되었다.161 미국의 군사비 지출은 전 세계 군사비의 46%를 차지하여 압도적인
1위를 유지하고 있다. 미국의 국방비 지출이 압도적으로 많은 이유
는 군사력의 절대우위를 확보함으로써 중국·러시아·프랑스 등 강대 국들이 미국의 패권적 지위에 도전하기 위해 군사력을 증강하려는 의도를 사전에 단념(dissuade)시킨다는 의도적인 전략에 때문이 다.162
일본은 국방비를 GDP 1%와 연동시켜 매년 경제성장률만큼 군사 비를 증가시켜 오고 있다. 2001년 취임한 고이즈미 수상은 미·일동 맹 강화하며 새로운 안보정책을 모색하였다. 그러나 일본의 국방비
161_ Stockholm International Peace Research Institute, SIPRI Yearbook 2007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162_ U.S. Department of Defense, Report of the Quadrennial Defense Review (February 6, 2006), p. 30.
ⅠⅠ
Ⅱ
Ⅲ
Ⅳ
Ⅴ
Ⅵ
Ⅶ
Ⅷ
는 여전히 GNP 대비 1%선을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일본의 군사비 총액은 한국보다 두 배를 능가하고 있다.
<표 Ⅵ-1> 동북아 국가의 국방비와 병력
(국방비 및 GDP 단위: 100만 $)
구분 국가명
연도 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 북한 한국
국방비
2002년 348,555 39,200 68,963 50,800 n.a 13,081
2003년 404,920 42,835 75,500 65,200 n.a. 14,632
2004년 455,908 45,152 87,150 59,600 m.a. 16,541
2005년 495,300 43,910 103,956 58,000 n.a. 20,313
GDP비율 2005년 4.0 1.0 1.3 3.7 n.a. 2.6
GDP총액 2006년 3,201,819 4,340,133 2,668,071 986,940 n.a. 888,024 병력(천명) 2007년 1,506 240 2,255 1,027 1,106 687 자료: 1) 2006년 GDP 총액은 World Development Indicators database, World Bank, July 1, 2007; The
International Institute for Strategic Studies, The Military Balance 2007 (London: Routledge, 2007).
중국은 높은 경제성장률을 바탕으로 1990~2005년 사이에 연평 균 15% 이상의 국방비를 증액시켜왔다. 중국의 2006 국방백서 는 2004년에는 전년대비 15.31% 증가한 2,200억 위엔(元), 2005년에는
12.5% 증가한 2,475억 위엔을 국방비로 지출하였다고 밝히고, 2006년
에는 전년대비 14.7% 증가한 2,838억 위엔(약 351억 달러)으로 발표 하였다.163 이와 같은 증가세에도 불구하고 2006 국방백서 는 GDP대비 국방비 비율은 2003년 1.4%, 2004년 1.38%, 2005년 1.35%
로 점차 하강하는 추세라고 주장하고 있다. 또한 2005년 중국의 국
163_ “Information Office of the State Council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China’s National Defense in 2006 (Beijing: December 2006).
방비는 미국 국방비의 6.19%, 일본의 67.52%에 불과하다고 강조하 고 있다. 그러나 미국은 중국의 국방정책은 투명성이 결여되어 있 으며 공개된 국방예산도 신뢰할 수 없다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미 국방부는 중국이 전략무기, 해외 구매, 군사기술개발 등에 사용하는 액수를 국방비에 포함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이를 포함할 경우 실 제로는 공개한 액수보다 2~3배 많은 군사비로 지출하고 있다고 주 장한다. 중국은 2007년 국방비를 전년 대비 17.8% 증가한 450억 달 러로 공개하였으나, 미 국방부는 실제로 850~1,25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164이와 같이 중국의 군사적 투명성을 불신 하고 있는 미 국방부는 중국의 전략무기 현대화가 놀라운 속도로 확대·발전되어 동아시아의 군사력 균형을 변화시키고 있다고 강조 하고 있다.
러시아의 국방비는 2000년 5월 푸틴(Vladimir Putin) 대통령이 취임한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되어 왔다. 푸틴 대통령은 석유· 천연 가스 등 에너지 자원의 높은 국제가격에 힘입어 러시아 경제가 성 장하자 국제사회에서 러시아의 강대국 위상 회복을 위해 군사력 현 대화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2005년 국방비 총액은 미국의 1/8 수준에 머물러 있다. 한편, 러시아는 전략적인 목적과 더불어 경 제적 실리를 목표로 최단무기를 수출하고 군사기술을 이전함으로써 동아시아 지역의 군비경쟁을 부추기고 있다. 2002~2006년 국제사 회의 재래식무기 수출 시장에서 미국이 30%를 점유하여 세계 제1 무기수출국이 되었고, 러시아는 28%로 두 번째 무기 수출국이 되었 다. 그러나 미국의 무기는 중동지역으로 39%, 아·태지역으로 25%가
164_ Office of the Secretary of Defense, Annual Report to Congress: Military Power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2007, p. 25.
ⅠⅠ
Ⅱ
Ⅲ
Ⅳ
Ⅴ
Ⅵ
Ⅶ
Ⅷ
공급된 반면, 러시아의 무기는 중국에 45%, 인도에 25%가 수출되어 동아시아 군비경쟁을 부추기고 있다.165
(2) 최첨단무기 개발 및 도입
미국과 러시아는 탈냉전기에 들어 재래식 무기와 핵무기를 감축 하였다. 그러나 여전히 상호 확증파괴를 보장할 수 있는 수준의 핵 탄두를 보유하고 있다. 미·러 양국은 전략핵탄두를 6,000개 수준으 로 삭감하기로 합의한 START-I이 1994년 12월 발효되자 이를 현 재까지 이행해 오고 있다. 1993년 1월에는 전략핵탄두를 3,000~
3,500개로 감축하기로 약속한 START-Ⅱ를 서명하였으나 미국의 탄도미사일금지조약(ABM) 탈퇴로 인해 아직까지 발효되지 못하 고 있다. 그 후 2002년 5년 체결한 「전략공격무기 감축협정」(SORT:
Strategic Offensive Reductions Treaty)에 의해 핵무기를 양적으로 감축하고 있지만 핵전력의 질적 향상을 위한 기술개발을 지속하고 있다.166 부시 대통령이 취임한 후 미국의 MD체제 구축에 박차를 가하자 미·러간에는 우주공간에서의 핵·미사일 경쟁이 강화되었다.
미국은 2004년부터 지대공 패트리어트 미사일(PAC-3)과 해상
배치형 요격미사일 (SM-3) 등의 미사일 방어시스템을 실전배치하 였다. 그리고 기존의 중거리 탄도미사일 탐지 레이더보다 탐지거리 가 길고, 대륙에서 발사되는 미사일 형상도 식별 가능한 X밴드 레 이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미국은 이러한 MD관련 장비들을 일본
165_ Stockholm International Peace Research Institute, SIPRI Yearbook 2007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pp. 387~422.
166_ 2003년 6월 SORT협약이 발효됨에 따라 미·러 양국은 실전배치 중인 전략핵탄
두를 2012년까지 1,700~2,200개 수준으로 감축해가고 있다. 한국국방연구원, 2006-2007 동북아 군사력 (서울: 한국국방연구원, 2007), p. 139.
에 이전하고 MD체제 공동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미·일 양국 은 2010년까지 PAC-3, 레이저 항공요격기, 이지스 대공 요격함 및 전역 고고도 미사일방위망을 갖춘 MD체제 구축을 완료할 예정이 다. 미국은 MD체제 구축과 더불어 우주공간을 군사적 목적으로 사 용하기 위한 기술개발을 강화하고 있다. 미 공군은 미사일 요격용 레이저 무기를 탑재한 항공기를 개발하고 있으며, 2010~2020년에 는 우주배치 레이저를 개발·배치할 계획이다.167
한편, 러시아는 ‘2006~2015년 러시아연방 우주 프로그램’을 새로 발표하고 우주전력을 정비·강화하고 있다. 특히 미국의 MD체제 구 축에 대응하여 미사일 공격 조기경보 우주시스템을 복구시키고 있 다.168 아울러 MD체제를 무력화할 수 있는 최신형대륙간탄도미사
일 Topol-M을 개발하고 실전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2008년경
Topol-M 미사일을 해상발사용으로 개량한 불라바(Bulava) SLBM
을 전략 핵잠수함에 탑재하여 실전 배치할 예정이다.169 러시아 공군 은 Tu-160 Blackjack 전폭기를 개량하여 핵전력을 강화하고 있다.
(3) 일본과 중국의 해·공군력 증강
MD 개발을 둘러싼 미국과 러시아의 경쟁은 동아시아 군비경쟁 을 우주공간으로까지 확장하고 있다. 그러나 <표 Ⅵ-2>에서 보여 주는 바와 같이, 미·러 양국이 동아시아 지역에 배치한 병력의 양적 규모는 크지 않다. 미국은 10만 병력을 전진배치하고, 항공모함과
167_ 한국전략문제연구소, 동북아 전략균형 2006 (서울: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06), p. 29.
168_ 위의 책, p. 36.
169_ 국방부, 2006 국방백서 (서울: 국방부, 2006), p. 14.
ⅠⅠ
Ⅱ
Ⅲ
Ⅳ
Ⅴ
Ⅵ
Ⅶ
Ⅷ
전투비행대대 및 공중조기경보통제기(AWACS)등의 전력을 유지 하고 있다. 한편, 러시아는 극동지역에 약 16만 병력을 주둔시키고, 태평양함대사령부 및 장거리 항공사단 등을 운영하고 있다.
이와 같이 미·러 양국은 역내에 제한된 병력을 배치해 놓고 있는 바, 동아시아 군비경쟁은 실제로 일본과 중국이 각기 미국과 러시 아의 지원을 받아 해·공군 전력의 최첨단화를 추진하고 있는 특징 을 보이고 있다. 일·중 양국은 또한 정찰위성과 달 탐사선을 발사하 는 등 우주기술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들은 달 탐사가 군사적 목적이 아니라고 밝히고 있지만, 인공위성 개발에 사용되는 우주기술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의 규모와 정확성을 향상시 키데 이용될 수 있다. 우주과학기술과 군사기술은 사실상 경계가 모호하다.
일본은 2007년 1월 9일 방위청을 방위성으로 승격시켜 군사력 증 강을 위한 제도를 정비하였다. 일본은 육상·해상·항공 자위대 24만 병력을 유지하고 있지만 ‘핵무기의 보유·제조·반입’을 금지하는 비 핵 3원칙을 준수하고 있다.170 비교적 소수의 병력을 유지하면서 핵 무기 비보유 원칙을 견지하는데서 오는 불리함을 군사력의 질적 향 상을 통해 극복해 오고 있다. 일본은 특히 MD체제 구축에 참여한 이후 미국으로부터 최첨단무기를 대량으로 구입하고 있다. 한편, 일 본은 북한의 탄도미사일 시험발사(1998.8)를 계기로 총 4기의 정찰 위성을 발사하기로 결정하였다. 그 후 단계적으로 이를 추진하여
2003년 3월 정찰위성 2기를 발사한데 이어 2007년 2기를 추가함으로
170_ 일본은 2000년 현재 핵무기의 원료가 될 수 있는 플루토늄 54톤을 보유하고
있고 핵무기를 제조할 능력을 갖추고 있으나 핵보유국 지위를 추구하고 있지는 않다. 한국국방연구원, 2004-2005 동북아 군사력 (서울: 한국국방연구원, 2005), p.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