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미·일의 국익과 전략적 공동목표

Dalam dokumen 미·일동맹 강화 (Halaman 67-70)

ⅠⅠ

적 공동목표를 설정하였다.

2005년 2월 「미·일 안전보장협의위원회」가 제시한 공통의 전략 목표는 <그림 Ⅳ-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역차원과 세계차원으 로 구체화되었다.

<그림 Ⅳ-1> 미·일 공동전략 목표의 범위 및 내용

<세계차원>

* 국제평화협력 활동 강화 * 대량파괴무기 삭감 및 비확산 추진 * 테러 방지 및 근절

* 전세계 에너지공급의 안정을 유지 및 향상

<지역차원>

* 일본의 안전 및 지역평화와 안정 강화 * 북한문제의 평화적 해결 * 중/러의 건설적 개입 촉구 * 중국의 군사적 투명성 제고 촉구 * 해상교통로 안전 유지 등

자료: 外務省, 共同発表 日米安全保障協議委員会 (2005年 2月 19日) 참조 작성.

지역차원에서 양국의 공동목표는 ① 일본의 안전을 확보하고 아 시아·태평양 지역에서의 평화와 안정을 강화함과 동시에 미·일 양 국에 영향을 주는 사태에 대처하기 위한 능력을 유지하며, ② 한반 도의 평화적 통일을 지지하고, ③ 핵 개발·탄도미사일과 관련된 활 동·불법활동·북한에 의한 일본인 납치 등 인도적인 문제를 포함한 북한과 관련된 모든 현안을 평화적으로 해결하며, ④ 중국이 지역 및 세계적으로 책임있고 건설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환영하고, 중국과 협력관계를 발전시키며, ⑤ 대만 해협을 둘러싼 문제를 대 화를 통해 평화적으로 해결하기를 촉구하고, ⑥ 중국이 군사분야에 서 투명성을 증진시키도록 촉구하며, ⑦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러시아의 건설적인 관여를 촉구하고, ⑧ 북방영토 문제의 해결을 통하여 러·일 관계를 완전히 정상화하며, ⑨ 평화롭고 안정되고 활 력 있는 동남아시아를 지원하고, ⑩ 지역 관계의 포괄적인 개방성 및 투명성의 중요함을 강조하며 다양한 형태의 지역협력 발전을 환 영하며, ⑪ 불안정을 초래하는 무기 판매와 군사기술 이전을 하지 않도록 촉구하고, ⑫ 해상 교통로의 안전을 유지하는 것이다.

지구적 차원에서 양국은 다음과 같은 공동목표에 합의하였다. ① 국제사회에서 기본적인 인권·민주주의·법치주의 등 기본적인 가치 를 추구하고, ② 세계적인 평화 안정 및 번영을 확보하기 위하여 국제평화협력활동 및 개발지원에 있어서 미·일 파트너십을 더욱 강 화하면서, ③ NPT·IAEA 등 국제레짐과 PSI에 관한 주도권의 신뢰 성 및 실효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대량살상무기와 운반수단의 삭감 과 불확산을 추진하며, ④ 테러를 방지하고 근절하고, ⑤ 일본의 유 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 진출 및 안전보장이사회의 실효성 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⑥ 세계 에너지 공급의 안정성을 유 지 및 향상시킨다는 것이다.

기존의 미·일 안보협력의 범위는 아시아·태평양지역으로 한정되 었고, 위협의 실체를 한반도의 정세불안, 핵무기 등 군사력의 집중, 영토문제의 존재, 지역분쟁 발생 가능성 내재, 대량살상무기(WMD) 및 운반수단의 확산이라는 것으로 규정하였을 뿐 특정 국가를 위협 의 대상국으로 지목하지 않았다. 그러나 2005년 2월 공동성명에서 는 지구 전역에 걸쳐 테러와 대량살상무기의 확산을 저지하며, 에 너지공급원의 안정화를 위해서도 공동으로 대처하기로 하였다. 즉, 미·일 안보체제의 적용범위를 세계 전역으로 확대하였다. 또한 북 한의 핵·미사일, 중국의 군사적 불투명성, 대만해협 사태 등 위협

ⅠⅠ

실체를 특정국과 관련하여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특히 아·태 지역 차원의 공통전략목표 12개 중에서 - 세계적·지역적 현안문제 에 대한 중국의 건설적인 역할 환영, 중·대만 관계에 관련된 문제들 의 대화를 통한 평화적 해결, 중국의 군사적 투명성 증진 촉구 등 - 3개가 직접적으로 중국과 관련되어 있다는 점은 중국과 대만문제 에 관한 미·일의 전략적 공동대응이 미·일동맹 변혁과 주일미군의 재편계획의 핵심적인 고려사항임을 시사하고 있다.

Dalam dokumen 미·일동맹 강화 (Halaman 67-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