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반달곰 복원사업 인지도

가. 일반인

<그림 1> 반달곰 복원사업 인지도 (일반인)

¡

반달곰 복원사업 인지도에 대해 조사한 결과, 일반인 중 ‘안다’는 의견은 73.3%,

‘모른다’는 26.7%로 2006년도 조사결과와 대조하여 반달곰 복원사업에 대한 일 반인의 인지도가 23.7%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

일반인의 반달곰 복원사업 인지도에 대해 조사한 결과, 성별에 따라 남성(80.3%) 이 여성(65.5%)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대로는 40대(81.3%), 50대(79.7%), 60대(77.4%)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가구소득에 따라 500만원이상(78.8%), 100 만원 미만(78.0%)순으로, 학력별로는 대학원졸이상(81.1%), 대졸(73.8%), 중졸 이하(72.0%) 순으로 조사되었다.

문1. 선생님께서는 지리산 국립공원에서 반달곰 복원사업이 추진되고 있는 사실을 알고 계십니까?

구분 일반인(N=1000)

2012 2006 증감률

안다 73.3% 49.6% 23.7% 증가

모른다 26.7% 50.4% 23.7% 감소

<표 7> 반달곰 복원사업 인지도 (일반인)

나. 지역민

<그림 2> 반달곰 복원사업 인지도 (지역민)

¡

반달곰 복원사업에 대해 조사한 결과, 지역민 중 ‘안다’는 의견은 77.8%, ‘모른 다’는 22.2%로 2006년도 조사결과와 대조하여 반달곰 복원사업에 대한 지역민의 인지도가 15.4%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

지역민의 반달곰 복원사업에 대해 조사한 결과, 성별에 따라 남성(84.1%)이 여성 (72.6%)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대로는 40대(80.7%), 60대(78.4%)순으로 높 게 나타났다. 가구소득에 따라 500만원이상(84.0%), 100만원이상 300만원미만 (80.9%), 학력별로는 대학원졸이상(86.7%), 대졸(83.0%)순으로 조사되었다.

문1. 선생님께서는 지리산 국립공원에서 반달곰 복원사업이 추진되고 있는 사실을 알고 계십니까?

구분 지역민(N=500)

2012 2006 증감률

안다 77.8% 62.4% 15.4% 증가

모른다 22.2% 37.6% 15.4% 감소

<표 8> 반달곰 복원사업 인지도 (지역민)

다. 전문가

<그림 3>

반달곰 복원사업 인지도 (전문가)

¡

반달곰 복원사업에 대해 조사한 결과, 전문가 중 ‘안다’는 의견은 100.0%, ‘모른 다’는 0.0%로 2006년도 조사결과와 대조하여 반달곰 복원사업에 대한 전문가의 인지도가 3.3%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

전문가의 반달곰 복원사업에 대해 조사한 결과, 성별에 따라 남성(100.0%)과 여 성(100.0%)이 같게 나타났으며 연령대와 가구소득, 학력별로도 차이가 없는 것으 로 나타났다.

문1. 선생님께서는 지리산 국립공원에서 반달곰 복원사업이 추진되고 있는 사실을 알고 계십니까?

구분 전문가(N=50)

2012 2006 증감률

안다 100.0% 96.7% 3.3% 증가

모른다 0.0% 3.3% 3.3% 감소

<표 9> 반달곰 복원사업 인지도 (전문가)

라. 일반인, 지역민, 전문가 비교평가

일반인의 반달곰 복원사업 인지도는 성별에 따라 남성(80.3%)이, 연령대로는 40대(81.3%), 가구소득에 따라 500만원이상(78.8%)학력별로는

대학원졸이상(81.1%)이 높게 조사되었다.

지역민의 반달곰 복원사업 인지도는 성별에 따라 남성(84.1%)이, 연령대로는 40대(80.7%), 가구소득에 따라 500만원이상(84.0%), 학력별로는

대학원졸이상(86.7%)이 높게 조사되었다.

전문가의 반달곰 복원사업 인지도는 성별, 연령대, 가구소득, 학력별로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달곰 복원사업의 인지도는 일반인 집단의 경우 23.7%, 지역민 집단의 경우 15.4% 증가하였다. 이는 2002년부터 SBS를 통해 방영된 ‘자연으로 돌아간 반달가 슴곰’이라는 반달곰 방사와 관련된 TV프로그램 및 ‘산책로 및 지역마을의 곰 출현’

에 관련된 뉴스등 대중매체를 통해 반달곰 복원사업의 인지도가 증가한 것으로 판 단된다.

또한, 전문가 집단의 경우 실제 복원사업을 직·간접적으로 참여하는 집단임으로 인 지도가 일반인 및 지역민 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표 10> 반달곰 복원사업 인지도 (비교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