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37> 여우 복원사업의 자연환경보전에 도움이 되는 정도
¡
여우 복원사업의 자연환경보전에 도움이 되는 정도에 대해 조사한 결과 긍정적인 의견(큰 도움이 된다+도움이 된다)이 일반인의 경우 65.3%, 지역민의 경우 60.2%, 전문가의 경우 84.0%로 조사되었다. 반면, 부정적인 의견(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은 일반인의 경우 10.9%, 지역민의 경우 13.4%, 전문가의 경우 4.0%로 조사되었다
¡
일반인의 여우 복원사업의 자연환경보전에 도움이 되는 정도에 대해 조사한 결과 성별에 따라 여성(66.8%)이 남성(63.9%)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대로는 40 대(74.9%), 20대(70.4%)에서 높게 나타났다. 소득별로는 500만원이상(73.5%), 100만원미만(73.2%), 300만원이상 500만원미만(68.3%) 순으로 나타났으며, 학 력별로는 대졸(68.3%), 고졸(66.2%)순으로 조사되었다.
¡
지역민의 여우 복원사업의 자연환경보전에 도움이 되는 정도에 대해 조사한 결과 성별에 따라 여성(60.9%)이 남성(59.3%)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대로는 30 대(69.3%), 20대(60.3%), 40대(56.9%), 50대(55.0%), 60대 이상(54.1%) 순으 로 나타났다. 소득별로는 500만원이상(74.1%), 300만원이상 500만원미만 (71.0%) 순으로 나타났으며, 학력별로는 대졸(74.0%), 고졸(56.9%)순으로 조사 되었다.
¡
전문가의 여우 복원사업의 자연환경보전에 도움이 되는 정도에 대해 조사한 결과
성별에 따라 남성(86.5%)이 여성(84.7%)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대로는 50
대(92.8%), 30대(87.5%), 60대이상(85.7%), 40대(83.3%), 20대(50.0%) 순으로
나타났다. 소득별로는 500만원이상(93.8%), 300만원이상 500만원미만(83.3%),
문11. 소백산국립공원에서 추진중인 여우 복원사업이 자연환경보전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십니까?
구분 일반인(N=1000) 지역민(N=500) 전문가(N=50)
큰 도움이 된다 18.6% 17.6% 52.0%
도움이 된다 46.7% 42.6% 34.0%
보통이다 14.6% 15.8% 10.0%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 9.1% 11.4% 4.0%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1.8% 2.0% 0.0%
모름/무응답 9.2% 10.6% 0.0%
<표 45> 여우 복원사업의 자연환경보전에 도움이 되는 정도
제7절 개발로 인한 서식지 파괴에 대한 인식
가.일반인
<그림 38> 개발로 인한 서식지 파괴에 대한 인식 (일반인)
¡
개발로 인한 서식지 파괴에 대한 의견을 조사한 결과 일반인의 경우 ‘개발사업은 최대한 자제’해야 한다라는 의견이 60.4%로 ‘개발사업 적극 추진’해야 한다는 의 견 15.5%에 비해 약 4배 가량 높은 것으로 조사 되었다.
¡
일반인의 개발사업 최대한 자제해야 한다는 의견은 성별에 따라 여성(66.4%)이 남성(55.0%)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대로는 20대(69.8%), 40대(67.3%), 30대(64.4%) 순으로 나타났다. 소득별로는 500만원이상(66.0%), 300만원이상 500만원미만(64.4%) 순으로 나타났으며, 학력별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일반인의 개발사업 적극추진 해야 한다는 의견은 성별에 따라 남성(17.2%)이 여 성(13.7%)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대로는 60대 이상(24.5%), 50대(23.4%) 순으로 조사되었다. 소득별로는 100만원이상 300만원미만(22.4%)이 가장 높게 조사되었으며, 학력별로는 중졸이하(30.5%), 고졸(15.8%), 대학원졸이상(15.1%) 순으로 조사되었다.
문12. 도로건설, 각종개발사업 등으로 인해 야생동물의 서식지가 단절, 파괴되는 등 야생동식물 서식환경이 위협을 받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구분 2012 2006
자연환경보전을 위해 개발사업은 최대한 자제해야 한다 60.4% 57.4%
경제개발 및 사람들의 편의를 위해 적극적으로 개발사업을
추진해야한다 15.5% 27.2%
<표 46> 개발로 인한 서식지 파괴에 대한 인식 (일반인)
나.지역민
<그림 39> 개발로 인한 서식지 파괴에 대한 인식 (지역민)
¡
개발로 인한 서식지 단절에 대한 의견을 조사한 결과 지역민의 경우 ‘개발사업은 최대한 자제’해야 한다라는 의견이 57.8%로 ‘개발사업 적극 추진’해야 한다는 의 견 16.8%에 비해 약 3배 가량 높은 것으로 조사 되었다. 일반인의 경우와 정반 대의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지역민의 개발사업 최대한 자제해야 한다는 의견은 성별에 따라 여성(60.2%)이 남성(54.9%)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대로는 50대(62.3%), 40대(61.5%), 30대(55.9%) 순으로 나타났다. 소득별로는 500만원이상(69.1%),
100만원미만(64.0%) 순으로 나타났으며, 학력별로는 고졸(62.9%)에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
지역민의 개발사업 적극추진 해야 한다는 의견은 성별에 따라 남성(17.3%)이 여성(16.4%)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대로는 60대 이상(21.6%),
30대(18.9%), 50대(17.4%), 20대(14.9%), 40대(12.8%) 순으로 나타났다.
소득별로는 100만원미만(24.0%)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학력별로는 중졸이하(33.8%)에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문12. 도로건설, 각종개발사업 등으로 인해 야생동물의 서식지가 단절, 파괴되는 등 야생동식물 서식환경이 위협을 받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구분 2012 2006
자연환경보전을 위해 개발사업은 최대한 자제해야 한다 57.8% 28.3%
경제개발 및 사람들의 편의를 위해 적극적으로 개발사업을
추진해야한다 16.8% 54.1%
기타 21.0% 6.4%
모름/무응답 4.4% 11.2%
<표 47> 개발로 인한 서식지 파괴에 대한 인식 (지역민)
다. 전문가
<그림 40> 개발로 인한 서식지 파괴에 대한 인식 (전문가)
¡
개발로 인한 서식지 단절에 대한 의견을 조사한 결과 전문가의 경우 ‘개발사업은 최대한 자제’해야 한다라는 의견이 86.0%로 ‘개발사업 적극 추진’해야 한다는 의 견 0.0%에 절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집단의 특성을 반영하듯 자연환 경보전을 위해 최대한 자제해야 한다는 의견이 과반수이었으며, 기타의견으로는
‘개발과 보존을 상호효과적으로 추진해야한다’는 의견이 대다수로 조사되었다.
¡
전문가의 개발사업 최대한 자제해야 한다는 의견은 성별에 따라 남성(86.5%)이 여성(84.6%)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대로는 60대 이상(100.0%),
40대(94.4%), 50대(85.7%), 30대(62.5%), 20대(50.0%) 순으로 나타났다.
소득별로는 500만원이상(100.0%), 100만원이상 300만원미만(86.4%),
300만원이상 500만원미만(66.7%) 순으로 나타났으며, 학력별로는 고졸(100.0%), 대졸(85.7%), 대학원졸이상(83.9%) 순으로 조사되었다.
문12. 도로건설, 각종개발사업 등으로 인해 야생동물의 서식지가 단절, 파괴되는 등 야생동식물 서식환경이 위협을 받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구분 2012 2006
자연환경보전을 위해 개발사업은 최대한 자제해야 한다 86.0% 76.7%
경제개발 및 사람들의 편의를 위해 적극적으로 개발사업을
추진해야한다 0.0% 3.3%
기타 14.0% 20.0%
모름/무응답 0.0% 0.0%
<표 48> 개발로 인한 서식지 파괴에 대한 인식 (전문가)
제8절 복원업무 수행기관 인지여부
<그림 41> 복원업무 수행기관 인지여부
¡
종복원사업 수행기관 인지여부는 일반인의 경우 48.4%, 지역민의 경우 61.2%, 전문가 100.0%로 조사되었다.
¡
일반인의 종복원사업 수행기관 인지여부는 성별에 따라 남성(50.0%)이 여성(46.6%)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대로는 50대(63.6%), 60대 이상(63.2%), 40대(51.4%), 30대(38.6%), 20대(28.5%) 순으로 나타났다.
소득별로는 100만원미만(53.7%), 300만원이상 500만원미만(50.0%),
100만원이상 300만원미만(49.1%), 500만원이상(47.6%) 순으로 나타났으며, 학력별로는 중졸이하(53.7%), 고졸(51.8%), 대학원졸이상(45.3%), 대졸(44.6%) 순으로 조사되었다.
¡
지역민의 종복원사업 수행기관 인지여부는 성별에 따라 남성(63.3%)이 여성(59.5%)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대로는 50대(72.5%), 60대 이상(71.6%), 30대(61.4%), 20대(55.4%), 40대(53.2%) 순으로 나타났다.
소득별로는 100만원미만(72.0%)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학력별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문13. 반달곰, 산양, 여우 등 멸정위기 야생동식물 복원 업무를 수행하는 곳이 국립공원관리공단인 것을 알고 있습니까?
구분 일반인(N=1000) 지역민(N=500) 전문가(N=50)
안다 48.4% 61.2% 100.0%
모른다 51.6% 38.8% 0.0%
<표 49> 복원업무 수행기관 인지여부
제9절 건의사항 및 기타 의견
1. 일반인
<그림 42> 건의사항 및 기타 의견 (일반인)
¡
멸종위기종 복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국립공원관리공단에 대한 건의사항 및 기 타의견으로 일반인은 총 105명이 응답하였으며 ‘복원반대’ 26명, ‘정부지원 및 관 리필요’ 18명, ‘자연을 고려하여 복원’ 16명, 복원사업공개 및 홍보필요 14명, ‘적 극 찬성’ 11명, ‘주민 및 기관의 협력필요’ 9명, ‘기타’ 11명으로 조사되었다.
문14. 멸종위기종 복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국립공원관리공단에 당부하고 싶은 의견이 있으시면 말씀해주십시오
구분 복원반대 정부지원/
관리필요
자연고려 하여복원
복원사업공개/
홍보필요 적극찬성 주민/기관
협력필요 기타
일반인 26 18 16 14 11 9 11
<표 50> 건의사항 및 기타 의견 (일반인)
▶
복원반대의견
“자연파괴로 인한 동물(개구리) 많음. 먹이사슬로 인한 황폐화되고 있으니 신경써야된다”
“멸종위기 동식물 필요 없다. 그대로 놔두고 훼손만 하지말자”
“인간중심적인 의무관리보다는 자연을 있는 그대로 자연스럽게 관리해야 된다”
“복원사업말고 개체수를 조절해서 그냥 자연스럽게 나두는 것이 좋을것 같다”
▶
정부지원/관리필요 의견
“사후관리가 잘 되어야 한다”
“개발할건 하고 동시에 보전관리도 잘해주세요”
“이벤트성말고 지속적으로 진행해야 된다”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
▶
자연고려 복원
“자연을 훼손하지 않는 선에서 개발해야된다”
“야생동물들이 다닐수 있는 길을 만들고 추진해야된다”
“지키는 것은 좋은데 실속있고 피해없도록 해야된다”
▶
복원사업공개/홍보필요
“영상자료를 통해 복원사업과정을 공개해야 된다. 교육적인 측면에서 도움이 될것 같다”
“국립공원관리공단 홍보가 필요하다”
“다른 사람들이 공감할수 있게 홍보해야 된다”
▶
적극 찬성
“복원사업이 시작되었다면 열심히 잘 해주세요”
“여우나 반달곰에 한정하지 말고 전체적으로 복원사업을 해야 된다”
“애착을 가지고 진행해야 된다”
▶
주민/기관협력필요
“주민과의 마찰을 줄여주세요”
“환경단체와의 협력이 필요하다”
“사설기관과의 협조를 한다”
“지역주민과의 갈등을 줄이면서 복원해야된다”
Dalam dokumen
종복원사업 관련 국민의식 변화조사
(Halaman 72-1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