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종복원사업이 자연환경보전인식에 미친 영향력

제5절 자연환경보전인식에 미친 영향력

1. 종복원사업이 자연환경보전인식에 미친 영향력

문9. 반달곰 복원사업과 같은 종복원사업이 평소 선생님께서 갖고 계셨던 환경보전 필요성에 대한 인식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었습니까?

구분 일반인(N=1000)

2012 2006 증감률

매우 영향을 주었다 11.7%

39.7% 5.2%

39.8% 0.1% 감소

대체로 영향을 주었다 28.0% 34.6%

보통이다 34.9% 31.9%

별로 영향을 주지 않았다 17.9%

21.0% 15.8%

18.2% 2.8% 증가

전혀 영향을 주지 않았다 3.1% 2.4%

모름/무응답 4.4% 10.2%

<표 39> 종복원사업이 자연환경보전인식에 미친 영향력 (일반인)

나. 지역민

<그림 33> 종복원사업이 자연환경보전인식에 미친 영향력 (지역민)

¡

종복원사업이 자연환경보전인식 제고에 미친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지역민의 경 우 ‘영향을 주었다’라는 의견은 41.4%(‘매우 영향을 주었다’ 14.0%+‘대체로 영향 을 주었다’ 27.4%)로 조사되었으며, ‘영향을 주지 않았다’는 19.4%(‘별로 영향을 주지 않았다’ 16.0%+‘전혀 영향을 주지 않았다’ 3.4%)로 조사되었다. 2006년도 조사결과와 대조하여 긍정적인 의견이 15.5% 증가하였다.

¡

지역민의 종복원사업이 자연환경보전인식에 미친 영향력은 성별에 따라 남성 (46.4%)이 여성(37.2%)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별로 30대(48.0%), 20대 (46.3%)순으로 나타났다. 가구소득에 다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학력별로는 대졸(53.2%), 고졸(37.1%)순으로 조사되었다.

문9. 반달곰 복원사업과 같은 종복원사업이 평소 선생님께서 갖고 계셨던 환경보전 필요성에 대한 인식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었습니까?

구분 지역민(N=500)

2012 2006 증감률

매우 영향을 주었다 14.0%

41.4% 5.2%

25.9% 15.5% 증가

대체로 영향을 주었다 27.4% 20.7%

보통이다 36.2% 25.9%

별로 영향을 주지 않았다 16.0%

19.4% 22.3%

32.0% 12.6% 감소

전혀 영향을 주지 않았다 3.4% 9.7%

모름/무응답 3.0% 16.2%

<표 40> 종복원사업이 자연환경보전인식에 미친 영향력 (지역민)

다. 전문가

<그림 34> 종복원사업이 자연환경보전인식에 미친 영향력 (전문가)

¡

종복원사업이 자연환경보전인식 제고에 미친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전문가의 경 우 ‘영향을 주었다’라는 의견은 88.0%(‘매우 영향을 주었다’ 42.0%+‘대체로 영향 을 주었다’ 46.0%)로 조사되었으며, ‘영향을 주지 않았다’는 0.0%로 조사되었다.

2006년도 조사결과와 대조하여 긍정적인 의견이 11.3% 증가하였다.

¡

전문가의 종복원사업이 자연환경보전인식에 미친 영향력은 성별에 따라 여성 (100.0%)이 남성(83.8%)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대별로 20대(100.0%), 30대 (100.0%), 60대 이상(100.0%)로 나타났다, 가구소득에 따라 500만원이상 (100.0%), 300만원이상 500만원미만(83.4%), 100만원이상 300만원미만(81.8%) 순으로 나타났다. 학력별로는 고졸(100.0%), 대학원졸이상(93.6%), 대졸(71.4%) 순으로 조사되었다.

문9. 반달곰 복원사업과 같은 종복원사업이 평소 선생님께서 갖고 계셨던 환경보전 필요성에 대한 인식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었습니까?

구분 전문가(N=50)

2012 2006 증감률

매우 영향을 주었다 42.0%

88.0% 36.7%

76.7% 11.3% 증가

대체로 영향을 주었다 46.0% 40.0%

보통이다 12.0% 20.0%

별로 영향을 주지 않았다 0.0%

0.0% 0.0%

0.0% -

전혀 영향을 주지 않았다 0.0% 0.0%

<표 41> 종복원사업이 자연환경보전인식에 미친 영향력 (전문가)

라. 일반인, 지역민, 전문가 비교평가

<그림 35> 종복원사업이 자연환경보전인식에 미친 영향력 (비교평가)

2012년 조사결과 종복원사업이 자연환경보전인식 제고에 미친 영향력 대해 전문가 집단이 82.5점으로 가장 높게 분석되었으며, 지역민 집단이 58.4점, 일반인 집단이 57.1점으로 분석되었다.

2006년과 비교하여 전문가 집단은 3.2점 증가하였으며, 지역민 집단은 11.6점, 일 반인 집단은 0.3점 증가하였다.

일반인의 종복원사업이 자연환경보전인식에 미친 영향력은 성별에 따라

남성(42.1%)이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대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가구소득에 따라 100만원미만(43.9%), 학력별로는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지역민의 종복원사업이 자연환경보전인식에 미친 영향력은 성별에 따라 남성(46.4%)이, 연령별로 30대(48.0%)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가구소득에 다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학력별로는 대졸(53.2%)에서 높게 조사되었다.

전문가의 종복원사업이 자연환경보전인식에 미친 영향력은 성별에 따라 여성(100.0%)이, 연령대별로 20대(100.0%), 30대(100.0%), 60대이상(100.0%)로 나타났다, 가구소득에 따라 500만원이상(100.0%), 학력별로는 고졸(100.0%)에서 높게 조사되었다.

<표 42> 종복원사업이 자연환경보전인식에 미친 영향력 (비교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