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방염 기준

Dalam dokumen 소방학개론 - 강원도립대학교 (Halaman 147-150)

학습 목표

1. 방염의 정의를 설명할 수 있다.

2. 방염 성능 기준을 설명할 수 있다.

가. 방염의 정의

(1) 개요

과거와 달리 현대의 건축물에는 다양한 인공재료가 건축 재료로 사용된다.

이러한 인공재료는 화재안전측면에서 볼 때 연소 확산 속도 증가나 유독가스의 생성 등과 같 은 위험요인을 가지고 있다. 특히 실내장식물로 많이 사용되는 합성고분자물질 같은 경우에는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열분해를 일으켜 가스를 발생되며 화재로 인한 대부분의 사망자가 유독 가스에 의한 질식으로 사망하고 있다.

따라서 방염제도란 연소 확대의 우려가 높은 다중이용시설이나 고층건물에 대하여 법령이 정 하는 물품을 방염처리를 하도록 의무를 부여하고 있다. 즉 방염의 필요성을 화재 시 연소확대 방지와 지연을 통해 피난자에게 피난시간을 확보하고 인명 및 재산피해를 줄이는데 있는 것이 다.

(2) 방염가공

방염가공이란 연소가 확대되기 쉬운 물질에 가연성 가스의 발생을 억제하여 연쇄반응을 중단 하고 결정성 또는 탄소분해물을 생성시키도록 처리하는 것이다.

즉, 커튼, 카펫 등과 같이 불에 잘 타는 실내장식물에 자기소화성 또는 난연성을 부여한 것으 로 화재초기에 연소 확대의 방지를 위한 것이다.

(3) 방염성능기준 이상의 실내장식물 등을 설치하여야 할 장소

(가) 근린생활시설 중 안마시술소 및 헬스클럽

(나) 건축물의 옥내에 있는 문화집회 및 운동시설로서 수영장을 제외한 것 (다) 숙박시설, 종합병원, 통신촬영시설 중 방송국 및 촬영소

(라) 노유자 시설

(마) 의료시설 중 정신보건시설(입원실이 없는 정신과 의원 제외) (바) 숙박시설이 있는 청소년시설

(사) 다중이용업의 영업장

(아) 건축물의 층수가 11층 이상인 것(아파트를 제외한다)

(4) 방염대상 물품

(가) 창문에 설치하는 커튼 류(블라인드를 포함한다.)

(나) 카펫, 벽지류로서 두께가 2mm 미만인 종이 벽지를 제외한다.

다. 전시용 합판 또는 섬유판, 무대용 합판 또는 섬유판 (라) 암막․무대막(영화영상관에서 설치하는 스크린을 포함)

※ 방염 처리된 제품의 사용을 권장할 수 있는 경우

다중이용업소․숙박시설․의료시설 또는 노유자 시설에서 사용하는 침구류․소파 및 의자에 대하여 방염처리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사유

(5) 방염성능기준

(가) 잔염시간 : 버너의 불꽃을 제거한 때부터 불꽃을 올리며 연소하는 상태가 그칠 때까지 시간은 20초 이내

(나) 잔진 시간 : 버너의 불꽃을 제거한 때부터 불꽃을 올리지 아니하고 연소하는 상태가 그 칠 때까지 시간은 30초 이내

(다) 탄화면적 등 : 탄화한 면적은 50cm² 이내, 탄화한 길이는 20cm 이내 (라) 접염 횟수 : 불꽃에 의해 완전히 녹을 때까지 접촉횟수는 3회 이상 (마) 발연량 : 최대연기밀도 400 이하

(6) 방염처리 물품의 성능검사

(가) 제조공정방염처리물품(선처리 물품) : 물품 제조과정에서 방염처리(커튼, 카펫 등 섬유류) 1) 검사신청수량 중 일정한 수량을 표본 추출 실시

2) 성능검사에 합격된 경우 합격표시

(나) 현장방염처리물품(후처리 물품) : 제조과정에서 처리할 수 없는 목재류에 대하여 특정대 상물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처리

1) 관할소방서 → 소방학교

2) 검사 신청물품 중 일정한 크기․수량 표본 추출 실시

Dalam dokumen 소방학개론 - 강원도립대학교 (Halaman 147-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