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소화 설비

Dalam dokumen 소방학개론 - 강원도립대학교 (Halaman 75-110)

시설 제외)

지하층의 층수가 3개 층 이상 이고 지하층의 바닥면적의 합

1,000m2 이상 지하층의 전 층

3. 지하가 중 터널로서 길이 500m이상

4. 지하구로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 2조제9호

규정의 공동구 전부

연소방지설비

및 방화벽 지하구 (전력 또는 통신사업용) 전부

학습 목표

1. 소화 기구의 종류를 나열할 수 있다.

2. 각 소화기의 구조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3. 옥내 소화전 설비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다.

4. 스프링클러 설비의 종류를 나열하고 그 기능을 설명할 수 있다.

5. 할로겐 소화 설비의 기능을 설명할 수 있다.

가. 소화기구

(1) 개요

대부분의 화재진압은 초기소화에 달려있다. 초기소화를 유효하게 실시하기 위해서 소화기는 누구라도 쉽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2) 소화기구의 종류

(가) 수동식소화기

물이나 소화약제를 압력에 의하여 방사하는 기구로서 사람이 조작하여 소화하는 것(소화약 제에 의한 간이소화용구를 제외)을 말한다.

그림

Ⅲ-3

수동식 소화기 사용 요령

(나) 자동식소화기

가연성 가스 등의 누출을 자동으로 차단하며, 소화 약제를 압력 등에 따라 자동으로 방사하여 소화하는 것을 말한다.

그림

Ⅲ-4

자동식 소화기 설치도

(다) 간이소화용구

소화기 외의 것으로서 소화약제(물 제외)가 충전되어 소화용으로 사용하는 기구를 말한다.

1) 자동 확산 소화용구 2) 투척용 간이소화용구 3) 에어졸식 간이소화용구 4) 수동 펌프 식 간이소화용구 5) 팽창질석 및 팽창 진주암 6) 마른모래

(a) 자동 확산 소화용구 (b) 에어졸식 소화용구

(c) 투척용 간이 소화용구

그림

Ⅲ-5

각종 간이 소화용구

(3) 소형․대형 수동식 소화기의 구분

(가) 소화 능력 단위

소화기의 소화 능력은 각각의 소화기에 화재의 종류별로 일정한 화재 모형을 설정하고, 규격으 로 정하는 소화 시험에 의하여 측정한 수치를 말한다. 그 값은 1단위 이상이 아니면 안 된다.

다만, 대형 소화기로 A급 화재에 적응하는 것에 있어서는 능력 단위가 10단위 이상, B급 화재 에 적응하는 것에 있어서는 능력 단위가 20단위 이상이 아니면 안 된다. 각 소화기의 능력 단 위는 아래의 그림과 같은 표식이 소화기에 붙어 있다.

그림

Ⅲ-6

소화기의 소화 능력 단위 표식

(나) 대형소화기의 소화약제의 양 기준

종 류 소화 약제 양

포소화기(기계포) 강화액소화기

물소화기 분말소화기 할로겐화합물소화기

이산화탄소소화기

20L 이상 60L 이상 80L 이상 20kg 이상 30kg 이상 50kg 이상

(다) 소화 능력 단위 기준 소형․대형 수동식 소화기구분

종 류 능력 단위 기준

소형수동식소화기

능력단위가 1단위 이상이고 대형수동식소화기의 능력 단위 미만인 것.

대형수동식소화기

화재 시 사람이 운반할 수 있도 록 운반대와 바퀴가 설치되어 있 고 능력단위가 A급 화재 10단위 이상, B급 화재 20단위 이상인 것

(4) 소화기의 구조 원리

(가) 분말소화기

분말소화기는 A B C 급과 B C 급으로 구분되며 현재 시중에 판매되는 분말소화기는 대부분 A B C 급이다.

1) 소화약제 및 적응화재

적응 화재 주성분 약제의 색 소화 효과

ABC급 제1인산암모늄(NH4H2PO4) 담홍색

질식, 부촉매(억제) BC급

탄산수소나트륨(NaHCO3) 백 색 탄산수소칼륨(KHCO3) 담회색

2) 구조

가) 가압식소화기

본체 용기에는 규정량의 소화약제가 충전되어 있으며, 가압용가스로는 소형의 경우 이산화탄 소, 대형의 경우 이산화탄소 또는 질소가스가 사용된다.

나) 축압식 소화기

본체 용기 내에는 규정량의 소화약제와 함께 압력원인 질소가스가 충전되어 있다. 용기 내 압 력을 확인할 수 있도록 지시압력계가 부착되어 사용가능한 범위가 0.7~0.98MPa 으로 녹색으 로 되어 있다.

그림

Ⅲ-7

가압식 분말 소화기 그림

Ⅲ-8

축압식 소화기

(나) 이산화탄소소화기 1) 소화약제

가) 주성분 : 이산화탄소 일명 액화탄산(CO2)가스 나) 적응화재 : BC급

다) 소화효과 : 질식, 냉각소화

2) 구조

본체용기에 충전된 이산화탄소를 레버식 밸브(대형수동식소화기는 핸들식) 의 개폐에 의해 방 사되므로 방사를 중지할 수 있다. 밸브 본체에는 일정한 압력에서 작동하는 안전밸브가 장치 되어 있다.

(다) 할로겐화합물소화기 1) 소화약제

가) 할론1211 : CF2ClBr [모노브롬모노클로로디플루오르화메탄]

나) 할론2402 : C2F4Br2 [디브롬테트라플루오르화이탄]

다) 할론1301 : CF3Br [모노브롬트리플루오르화메탄]

2) 적응화재 및 소화효과 가) 적응화재 : BC급

나) 소화효과 : 부촉매 및 질식소화 3) 구조

가) 할론1211, 할론2402 소화기

용기 내 압력을 가리키는 지시압력계가 붙어 있어 사용 가능한 압력 범위가 녹색으로 되어 있 다. 이 녹색범위는 레버식의 것은 0.7~0.98MP 으로 되어 있다.

나) 할론1301

할론1301 소화기는 고압가스로서 가스자체의 압력(증기압)으로 방사하며(질소가스로 가압한 것도 있다) 지시압력계는 부착되어 있지 않다.

(라) 자동식 소화기

가연성가스의 누출이나 화재발생시 경보를 발하고 가연성가스의 누출을 자동으로 차단하여야 하며, 화재발생시 소화 약제를 압력에 의하여 자동으로 방사하여 소화는 것을 말한다.

1) 설치 대상

아파트의 세대별 주방 2) 기능

과열감지기능, 가스누설감지 및 차단기능, 화재의 자동소화기능 및 수신부 자동감시기능

(마) 자동 확산 소화 용구

밀폐 또는 반 밀폐된 장소에 고정시켜 화재 시 화염이나 열에 따라 자동으로 소화약제가 확산 하여 소화하는 것을 말한다.

(5) 소화기구의 설치 기준

(가) 소방대상물의 설치장소에 따라 적합한 종류의 것으로 한다.

(나) 소방대상물에 따라 능력단위(소화기구의 소화능력을 나타내는 수치)를 기준 이상으로 한다.

※ 소화기구의 능력단위를 산출함에 있어서 건축물의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이고, 벽 및 반자 의 실내에 면하는 부분이 불연재료․준 불연재료 또는 난연재료로 된 소방대상물에 있어서는 위 표의 기준면적의 2배를 당해 소방대상물의 기준면적으로 한다.

(다) 보일러실, 발전실, 변전실 등 부속용도별로 사용되는 부분에 대하여는 소화기구의 능력 단위를 추가하여 설치한다.

(라) 수동식소화기는 다음의 기준에 따라 설치한다.

1) 각층마다 설치하되, 소방대상물의 각 부분으로부터 1개의 수동식소화기까지의 보행 거리 가 소형수동식소화기의 경우에는 20m 이내, 대형수동식소화기의 경우에는 30m이내가 되도록 배치한다.

2) 소방대상물의 각 층이 2 이상의 거실로 구획된 경우에는 각 층 마다 설치하는 것 외에 바닥

면적이 33 m2이상으로 구획된 각 거실( 아파트의 경우에는 각 세대를 말한다) 에도 배치한다.

3) 지하가 중 터널의 경우에는 능력단위 3단위 이상의 수동식소화기를 주행방향의 측벽길이 50m 이내마다 2개 이상 설치한다.

소방대상물별 소화기구의 능력단위 기준

(마) 능력단위가 2단위 이상이 되도록 수동식소화기를 설치하여야 할 소방대상물 또는 그 부 분에 있어서는 간이소화용구의 능력단위 수치의 합계수가 전체 능력단위 합계수의 2분의 1을 초과하지 아니하게 한다.(노유자시설의 경우에는 이를 제외)

(바) 소화기구(자동식소화기 및 자동 확산 소화용구를 제외)는 바닥으로부터 높이 1.5m 이하 의 곳에 비치하고, 수동식소화기에 있어서는 “소화기”, 마른모래에 있어서는 “소화용모래

”, 팽창진주암 및 팽창질석에 있어서는 “소화질석”이라고 표시한 표지를 보기 쉬운 곳에 게시 한다.

(사) 자동식소화기는 아파트의 각 세대별로 주방에 다음의 기준에 따라 설치할 것

1) 소화약제 방출구는 환기구의 청소 부분과 분리되어 있어야 하며, 해당 방호면적을 유효하 게 소화할 수 있도록 설치한다.

2) 감지부는 형식 승인된 유효한 높이 및 위치에 설치한다.

소방대상물 소화기구의 능력단위

1. 위락시설 당해 용도의 바닥면적 30m2 마다 능력단위 1단위 이상

2. 공연장․집회장ㆍ관람장ㆍ문화재 및 의료시 설

당해 용도의 바닥면적 50m2 마다 능력단위 1단위 이상

3. 근린생활시설․판매시설 및 영업시설ㆍ숙박 시설ㆍ노유자 시설ㆍ전시장ㆍ공동주택ㆍ업무 시설ㆍ통신촬영시설ㆍ공장ㆍ창고ㆍ운수자동 차 관련 시설 및 관광 휴게시설

당해 용도의 바닥면적 100m2 마다 능력단위 1단위 이상

4. 그 밖의 것 당해 용도의 바닥면적 200m2 마다 능력단위 1단위 이상

3) 자동식소화기의 가스차단장치는 주방배관의 개폐밸브로부터 2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하되, 상시 확인 및 점검이 가능하도록 설치한다.

4) 자동식소화기의 탐지부는 수신부와 분리하여 설치하되, 공기보다 가벼운 가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천장면으로부터 30c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하고, 공기보다 무거운 가스를 사용하는 장소에는 바닥면으로부터 30c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한다.

5) 자동식소화기의 수신부는 주위의 열기류 또는 습기 등과 주위온도에 영향을 받지 아니하 고 사용자가 상시 볼 수 있는 장소에 설치할 것.

(아) 이산화탄소 또는 할로겐화합물( 할론 1301을 제외한다)을 방사하는 소화기구(분사식 자동 확산 소화용구를 제외한다)는 지하층이나 무창층 또는 밀폐된 거실로서 그 바닥면적이 20 m2 미만인 장소에는 설치할 수 없다. 다만, 배기를 위한 유효한 개구부가 있는 장소인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나. 옥내소화전 설비

(1) 개 요

건축물 내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 소방대상물 관계자 또는 자체소방대원이 화재발생 초기에 신속하게 소화할 수 있도록 건물 내에 설치하는 물소화설비로서 가장 기본적인 자체 초기 소화 설비이다.

옥내소화전 사용방법 숙지와 유사시에 정상적인 동장을 위하여 철저한 유지 관리를 필요로 하는 설비이다.

(2) 옥내소화전 설비의 제원

소방대상물의 어느 층이나 당해 층의 옥내소화전(5개 이상인 경우 5개)을 동시에 방수할 경우 각 소화전 노즐에서

(가) 방수량 : 130L/min 이상

(나) 방수압 : 0.17MPa 이상 0.7MPa 이하를 갖추어야 한다.

Dalam dokumen 소방학개론 - 강원도립대학교 (Halaman 75-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