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소화설비의 점검

Dalam dokumen 소방학개론 - 강원도립대학교 (Halaman 159-182)

소화기를 거꾸로 뒤집어서 소화기 내부의 소화약제가 응고(덩어리 짐) 되었는지를 양제가 떨 어지는 소리를 듣고 알 수 있다. 소화약제가 굳지 않고 정상적인 소화기는 가루가 쏟아지는 소리가 나며 소화약제가 굳은 소화기는 큰 덩어리가 떨어지는 소리가 나거나 소리가 전혀 나 지 않는다.

2) 상세한 점검방법

가) 소화기를 내부 부품을 점검하기 위하여 캡 스패너로 캡(뚜껑)을 연다.

(a) 소화기 캡 여는 모습 (b) 캡 스패너

그림

Ⅴ-2

가압식 분말 소화기의 개방

나) 약제의 분말 상태를 확인하고, 만일 소화약제 가루가 덩어리로 굳었으면 소화약제를 교 환해야 한다.

그림

Ⅴ-3

가압식 분말 소화기의 소화약제

다) 가압용기(CO₂봄배) 봉판이 파손되었는지 눈으로 확인한다.

(a) 가압용기 분해 (b) 봉판 확인

그림

Ⅴ-4

가압식 분말 소화기의 봉판 파손 확인

라) 가압용기의 가스가 들어있는지 가압용기를 저울에 달아 무게를 측정하여 점검한다.

(봉판이 파괴되지 않아도 가압가스가 누설될 수 있으며 가압용기 통의 무게와 가압가스 가 들어 있는 상태에서의 무게의 차이를 이용하여 가스의 무게를 가늠 할 수 있다) 마) 파괴핀(공이)의 상태를 확인하다. 손잡이를 누르면 파괴핀(공이)의 뾰족한 부분으로 가 압용기의 봉판을 뚫는다

(파괴핀(공이)의 끝이 뾰족하지 않고 뭉뚱거려 졌는지 확인한다)

그림

Ⅴ-5

파괴 핀

(

공이

)

바) 가스도입관, 약제방출관의 상태를 확인한다.

(가스도입관이나 약제방출관이 구부러져 가스나 소화약제가 정상적으로 이동할 수 없는 지 확인한다)

그림

Ⅴ-6

가스도입관 및 약제방출관

(다) 자동확산 소화용구 점검방법

소화기의 지시압력계 상태를 확인한다. 지시압력계가 녹색의 범위 내에 있어야 적합하며, 빨간 색 부분은 과압의 범위이고, 노란색 부분은 소화기 내의 압력이 부족한 것으로서 소화약제를 정상적으로 방출할 수 없다.

(라) 자동식소화기 점검 1) 가스누설탐지부 점검

가) 가스(점검용 가스 등)를 가스누설탐지부에 분사를 한다.

나) 화재경보음이 발생하는지 확인을 한다.

다) 가스누설차단밸브가 작동하는지 확인을 한다.(가스차단밸브가 잠긴다)

2) 가스누설차단밸브 시험

가) 수동 작동 버튼을 눌러 작동이 되는지 확인을 한다.

나) 감지센서에 가열시험을 하여 1차 감지온도에서 가스차단밸브가 작동하는지 점검을 한다.

다) 가스누설탐지부의 작동시험으로 가스밸브가 작동하는지 점검을 한다.

3) 제어반(수신부) 점검

제어반에서 자동점검 기능이 있어 가스센서나 온도센서 및 예비전원의 이상이 생기면 자동으 로 점등이 되며, 소화기 상태의 이상이 있을 경우 경보음이 발생한다.

나. 옥내소화전설비 점검

(1)

옥내소화전설비 점검 방법

(가) 방수압력 및 방수량 측정

방수압력과 방수량의 측정은 옥내소화전의 방수구가 가장 많이 설치된 층에서 5개 이상 설치 된 경우에는 5개를 5개미만으로 설치된 경우에는 실제 설치된 수를 동시에 개방시켜 놓고 측 정해야 한다.

1) 방수압력 측정

방수구에 호스를 결속한 상태로 노즐의 선단에 방수압력 측정계(피토게이지)의 압력계상의 눈 금을 확인한다.

그림

Ⅴ-7

피토게이지

그림

Ⅴ-8

피토게이지를 이용한 방수압력 측정

2) 방수량 산정

산정한 방수압력을 아래 식에 대입하여 산출한다.

Q = 2.065×D²× p Q : 분당방수량(l/min)

D : 관경(또는 노즐의 구경 mm) - 옥내소화전 : 13mm, 옥외소화전 : 19mm P : 방수압력(MPa)

3) 주의사항

가) 반드시 직사형 관창을 이용하여 측정하여야 한다.

나) 초기 방수시 물속에 존재하는 이물질이나 공기 등이 완전히 배출된 후에 측정하여야 방

수압력 측정계(피토게이지)의 입구구경이 작기 때문에 막힘이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다) 방수압력 측정계(피토게이지)는 봉상주수상태에서 직각으로 측정하여야 한다.

(나) 펌프성능시험방법(순서)

1) 주배관의 개폐밸브(①)를 잠근다.

2) 제어반에서 충압펌프를 기동(작동)중지 시킨다.

3) 펌프성능시험배관의 2차 측 개폐밸브(④)를 완전히 잠그고 1차 측 개폐밸브(③)를 완전히 개방한다.

4) 주펌프를 작동시킨다.

가) 작동방법 1 : 제어반에서 수동기동 버튼을 누르다

나) 작동방법 2 : 제어반의 스위치를 자동으로 돌린 상태에서 기동용 수압개폐장치의 배수 밸브(②)를 개방하여 주펌프가 기동되면 배수밸브를 다시 잠근다.

5) 펌프성능시험배관의 2차 측 개폐밸브(④)를 잠근상태(체절운전)에서 펌프의 체절압력을 압 력계를 보고 읽는다.

6) 펌프성능시험배관의 2차 측 개폐밸브(④)를 서서히 열면서 유량계와 압력계를 확인하면서 펌프성능을 측정한다. 펌프성능시험곡선의 자료를 측정하여 펌프성능곡선을 그린다.

7) 측정완료 후 복구한다.

가) 주배관의 개폐밸브(①)를 개방한다.

나) 펌프성능시험배관의 1차 측 개폐밸브(③)를 잠근다.

다) 제어반의 충압펌프 스위치를 자동위치로 돌린 후 충압펌프가 정지하면 주펌프를 자동위 치로 돌린다.

그림

Ⅴ-9

펌프성능시험 계통도

(다) 펌프성능시험

1) 체절운전(무부하 시험, No Flow Condition)

펌프의 토출(송수)측 배관에 있는 주밸브와 유량조절밸브가 잠긴 상태로서 펌프에서 토출되는 가압수의 출구가 없는 상태의 운전이며, 이 때의 양정은 정격양정의 140% 이하가 되어야 한 다. 그림Ⅴ-9에서 ①의 개폐표시형 개폐밸브와 ③의 1차 측 개폐밸브를 잠그고 펌프를 작동시 킨다. 여기서의 체절 압력이란 펌프의 사양서에 명시된 펌프의 양정값에 140%를 곱한 값을 압력으로 환산한 것이다. 예를들면 펌프의 양정이 100m이면, 여기세 104%를 곱한 140m를 압 력으로 환산한 1.4MPa( 10m=0.1MPa)이 체절압력이다. 펌프가 노후되면 체절압력이 낮아진다.

2) 정격부하 운전(정격부하시험, Rated Load)

펌프를 기동한 상태에서 유량조절밸브를 개방하여 유량계의 유량이 정격 유량상태(100%)일 때의 운전상태

3) 최대운전(피크부하 시험, Peak Load)

유량조절밸브를 개방하여 토출량이 150%가 되었을 때 토출 측과 흡입 측의 차압이 정격양정 의 65% 이상이 되는지 확인한다.

4) 총양정

펌프를 설치한 장소(건물)에서의 펌프가 화재안전기준에 필요한 최소한의 압력을 낼 수 있는 값을 높이(m)로 계사한 수치를 말한다.

펌프의 크기(용량)를 설계 할 때에는 총양정과 총 토출량을 계산하여 펌프의 용량(크기)을 결 정한다.

5) 펌프성능시험결과표

구분 체절 운전 정격 운전 (100%)

정격유량의

150% 운전 적정 여부

토출량 0 520 780 1. 체절 운전 시 토출압은 정격토출 압의 140% 이하(O)

2. 정격 운전 시 토출량과 토출압이 규정치 이상(O)

3. 정격토출량 150%에서 토출압이 정격토출압의 65% 이상(O)

* 릴리프밸브 작동 압력: 8.4kgf/㎠

토출압 9.8 7 4.55

Ⅴ-10

펌프 성능 곡선

(라) 압력스위치의 설정압력 계산 및 조정 방법 1) 압력스위치의 설정 방법

일반적으로 설계 시 정형화된 펌프의 설정 방법은 없으나 기동용 수압개폐장치 상의 압력스위 치를 사용할 경우 다음과 같이 적용한다.

가) 압력스위치(Pressure Switch)

압력스위치에는 “RANGE"와 ”DIFF"의 눈금이 있으며 압력스위치 상단부의 나사를 이용하여 조정하게 되어있다.

RANGE는 펌프의 정지점이며 DIFF는 『정지점과 기동점의 차』로 펌프가 RANGE 위치일 경우 DIFF만큼 압력이 떨어지면 펌프는 다시 가동하게 된다.

나) 펌프 설정의 방법

➀ 주 ·충압펌프의 기동점은 자연낙차압 보다 높아야 한다.

주) 펌프양정이 건물높이보다 작은 경우 언제나 기동용수 압력개폐장치 위치에서는 건물 높이에 의한 자연낙차압이 작용하므로 기동용수압 개폐장치 내의 압력이 펌프양정 이하로 내려갈 수 없기 때문에 절대로 자동기동이 될 수 없다.

➁ 따라서 펌프의 기동점은 당해 건축물의 자연낙차압에 0.2MPa을 가산한 압력 (스프링클 러 0.15MPa) 이하로 저하되었을 때 기동되도록 조정하여야 한다.

➂ 펌프의 정지점은 RANGE의 설정값으로서 당해 설비의 양정계산 시 산정된 총 양정(또 는 당해 펌프사양상의 양정값)을 100:1로 환산한 값(MPa)으로 설정한다.

➃ 일반적으로 주ㆍ충압펌프의 원활한 기동관계상 주펌프는 충압펌프보다 0.05MPA 낮게 기동점을 설정하고 정지점은 0.05MPa높게 설정→충압펌프는 주펌프의 기동/정지점 범위 내에 있도록 설정

➄ 충압펌프의 DIFF는 최소한 0.1MPa 이상이 되도록 하여 잦은 ON/OFF가 일어나지 않 도록 할 필요가 있다.

➅ 충압펌프 기동 → 주펌프 기동 → 충압펌프 정지 → 주펌프 정지 (마) 펌프 주변부 고장의 진단 및 처리방법

증 상 원 인 처리 방안

흡입 측 배관 내 의 물이 배수된다.

후드밸브가 고장이 나서 체크 밸브의 기능을 하지 못하여 물 이 배수된다.

후드밸브 수리교체

체 절 운 전 에 서 도 릴리프밸브가 개 방이 안 된다.

릴리프밸브의 고장, 또는 릴리프 밸브의 캡을 열고 스패너로 돌 려서 개방되는 압력을 조정한다.

릴리프밸브의 조정, 교체

성능시험을 할때 유량계에서 작은 기포(공기방울)가 올라온다.

1. 흡입 측 배관 연결부위의 결 함으로 공기가 흡인되는 상태 2. 유량계의 연결부위에 결함 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상태

1. 흡입배관의 수리 2. 유량계 접속부분 수리

펌프의 기동․정지 시에 수격작용(꽝 꽝하는 소음)이 일 어난다.

1. 수격방지기가 미설치 2. 수격방지기의 고장

3. 기동용 수압개폐장치 내에 공기 미취입

1. 수격방지기 설치 2. 수격방지기 교체, 수리

3. 기동용 수압개폐장치 내 공기 취입

주펌프가 먼저 기 동한다.

압력 챔버에 주펌프와 충압펌 프의 압력스위치 조정이 잘못 되었거나 전선의 결선이 바뀔 수 있다

압력스위치 조정

물올림탱크의 저 수 위 감 지 회 로 에 저수위 확인등이 점등된다.

1. 후드밸브의 고장 2. 자동급수장치 고장 3. 흡입측배관의 누수 4. 감지제어반의 오동작 5. 저수위 감시스위치 고장

고장부분의 교체, 수리

펌프가 진공이 되 지 않아 물 흡입 이 안 된다.

1. 실흡입양정이 펌프의 흡입 수두보다 큰 경우

2. 펌프의 마찰손실이 큰 경우 3. 흡입관경이 너무 작은 경우 4, 물이 고온일 경우

5. 펌프의 흡입압력이 유체의 증기압보다 낮은 경우

6. 임펠러 속도가 지나치게 큰 경우

1. 펌프의 설치위치를 가능한 낮게 한다.

2. 흡입관의 길이는 짧게, 흼은 적 게, 관경은 굵게 한다.

3. 펌프를 저회전 운전

4. 지나친 고양정 펌프를 피한다.

5. 예상토출량보다 현저하게 벗어 나는 운전을 피한다.

6. 양 흡입펌프를 사용 한다 7. 펌프의 흡입 측을 가압 한다 배관의 압력이 서 1. 옥상수조의 배관에 설치된 외관으로 배관의 누수가 확인이 안

Dalam dokumen 소방학개론 - 강원도립대학교 (Halaman 159-182)